오경의(五經義)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오경의 |
한글표제 | 오경의 |
한자표제 | 五經義 |
상위어 | 과거(科擧) |
관련어 | 문과(文科), 사서의(四書疑), 생원시(生員試), 식년시(式年試), 오경의(五經義), 증광시(增廣試), 초시(初試), 초장(初場), 회시(會試) |
분야 | 정치/인사/선발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김경용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오경의(五經義)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태종실록』 7년 3월 24일, 『세종실록』 7년 10월 17일, 『광해군일기』 2년 1월 11일, 『숙종실록』 40년 8월 22일, 『명종실록』 8년 6월 9일, 『세종실록』 18년 3월 4일, 『인조실록』 10년 5월 19일, 『세종실록』 7년 10월 17일, 『문종실록』 즉위년 9월 10일, 『인조실록』 11년 7월 13일 |
조선시대 과거시험 중 식년시와 증광시 및 생원시의 고시 과목 중 하나.
개설
『주역』·『예기』·『춘추』·『시경』·『서경』 등 오경(五經)의 문구에 대한 뜻풀이를 하도록 하는 제술시험[필기고사]의 한 형식이었다(『태종실록』 7년 3월 24일)(『세종실록』 7년 10월 17일)(『광해군일기』 2년 1월 11일)(『숙종실록』 40년 8월 22일).
내용 및 특징
오경의는 사서의(四書疑)와 함께 식년시와 증광시의 문과초시 초장(사서의와 오경의 중 한 문제) 및 생원시 초시·회시의 고시 과목 중 하나였다.
오경의 문제는 오경 중 한 구절를 제시하여 뜻풀이를 하도록 하는 것[單句題]으로서 사서의(四書疑) 문제에 비해서 매우 간단하며, 역의(易義)·시의(詩義)·서의(書義)·예의(禮義)·춘추의(春秋義) 등 오경 중 무엇에 대한 문제인지 구분해서 표기하였다.
사서의는 사서 가운데 두 책 이상에서 출제하거나 한 책의 여러 군데에서 엮어 내어 출제하였고, 오경의는 오경 중 한 책에서만 출제하였다. 사서의는 사서의 전반적인 내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있는지 묻는 것이고, 오경의는 오경 각각에 대한 정통적 이해의 수준을 재려는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서의는 내용상 서로 관련이 있는 구절들을 엮어 질문하는 방식으로 출제되었고, 오경의는 각 경서의 어느 한 구절의 의미를 풀이하도록 출제된 것이다.
오경에 대한 시험이 사서에 대한 시험보다 더 어렵다고 인식되었다. 한정된 범위 안에서 시험문제를 출제해야 하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서와 오경에 대한 문제를 출제할 때 의(疑)·의(義)를 맞바꾸어 사서의(四書疑)는 사서의(四書義)로 오경의(五經義)는 오경의(五經疑)로 시행하자는 건의에 대하여 오경의(五經疑)를 출제한다면 답안을 작성할 수 없을 것이라고 한 적도 있다(『명종실록』 8년 6월 9일).
변천
조선초기에는 사서의보다 오경의를 중시하는 편이었으나(『세종실록』 18년 3월 4일), 조선후기로 가면서 사서의를 더 중시하는 쪽으로 바뀌었다.
조선초에 오경의 문제는 단구(單句)가 아니라 대구(對句)로 출제되다가 단구제(單句題)로 바뀌었으며(『인조실록』 10년 5월 19일), 두 개 또는 다섯 개의 경전에서 각기 한 문제씩 출제되다가(『세종실록』 7년 10월 17일)(『문종실록』 즉위년 9월 10일) 『경국대전』 규정대로 경전 하나에 대한 문제만 출제하도록 하였다(『인조실록』 11년 7월 13일).
사서(四書)를 통틀어 한 문제만 내는 사서의와 달리 오경의 문제는 두 개 또는 다섯 개의 경전에서 각기 한 문제씩 내어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는 수험생으로 하여금 자신이 가장 능한 경전에 답하도록 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인조대에 오경의도 사서의와 마찬가지로 한 문제만 내기로 함으로써 수험생의 부담이 더 커졌다. 오경 모두에 통달해야 어느 경전에 대한 문제가 나오든 답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식년문과초시·증광문과초시에 사서의와 오경의 중 한 문제를 출제하였는데, 조선후기 들어 1746년 『속대전』의 규정에 의하면 오경의가 폐지되어 사서의만 시행되는 것으로 바뀌었고, 1785년 『대전통편』의 규정에는 생원시에 오경의 중 춘추의가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 『속대전(續大典)』
- 『대전통편(大典通編)』
- 『춘관지(春官志)』
- 『과제각체(科題各體)』(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임헌공령(臨軒功令)』(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규장각, 『고문서 27』,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3.
- 이래종, 「의의(疑義)의 형식과 그 특성」, 『대동한문학』 제39집, 대동한문학회, 2013.
- 조좌호, 「학제(學制)와 과거제」, 『한국사 10』, 국사편찬위원회, 197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