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초(永初)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영초 |
한글표제 | 영초 |
한자표제 | 永初 |
분야 | 연호 |
유형 | 연호 |
지역 | 중국(中國) |
시대 | 후한(後漢) |
왕대 | 안제(安帝) |
집필자 | 김가람 |
사용지역 | 중국-후한 |
사용왕대 | 안제 |
사용기간 | 107년~113년(안제2~안제8)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영초(永初) |
중국(中國) 후한(後漢)의 안제(安帝) 대에 사용한 연호(107년~113년: 안제2~안제8).
그 외에
중국 남송(南宋)의 무제(武帝) 대에 사용한 연호(420년~422년: 무제1~무제3).
개설
중국 후한의 안제가 사용한 5개의 연호 가운데 첫 번째 연호이다(107년~113년).
조선(朝鮮)에서는 정치 · 사회 · 문화적 변화 및 자연 재해 등의 현상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중국의 예를 참조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영초(永初) 연호 또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등장하고 있다.
중국 남송의 무제 또한 영호 연호를 사용하였다(420년~422년). 이때의 연호 또한 후한의 안제가 사용한 연호와 같은 이유로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한다.
참고문헌
- 『성종실록(成宗實錄)』
- 『숙종실록(肅宗實錄)』
- 『후한서(後漢書)』
- 『송사(宋史)』
- 이현종 편, 『동양연표(東洋年表)』, 탐구당,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