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목하(斡木河)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려말 조선초에 여진족 추장 동맹가첩목아 등 알타리 부족이 거주하였던 지역.

개설

여말선초(麗末鮮初)에 알타리(斡朶里)의 추장 동맹가첩목아(童猛哥帖木兒)가 알목하가 빈틈을 타서 들어와 거주하였다. 알목하(斡木河)는 지금의 함경도 회령 일대를 의미하였다. 동맹가첩목아는 1411년에 요동의 개원(開原) 일대로 이주하였다가 1423년에 알목하로 귀환하였다. 그러나 1433년에 칠성야인(七姓野人)과 손잡은 양목답올(楊木答兀)에게 살해당하였다. 조선은 이 틈을 이용하여 6진을 개척하였고, 회령진을 설치하였다.

형성 및 변천

알목하는 오음회(吾音會), 아목하(阿木河)라고도 하였다. 이곳은 지금의 함경도 회령 일대로 원래 고구려의 옛 땅이었다. 고려말에 알타리의 추장 동맹가첩목아가 송화강(松花江)·목단강(牧丹江)의 합류처인 삼성(三姓) 지역에서 두만강 유역으로 이주한 뒤, 조선초에 알목하 일대에 거주하였다. 이후 1395년(태조 4) 1월에 동맹가첩목아가 조선에 직접 내조하는 등 이들은 조선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조선의 영향력 안에 편입하였다.

그러나 동맹가첩목아는 태종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405년부터 시작된 명 영락제(永樂帝)의 초유에 따르며 조선과 점차 멀어졌다. 결국 동맹가첩목아는 1411년에 봉주(鳳州) 부근으로 이주하였다. 그는 명에 자주 내조하며 건주좌위(建州左衛)를 개설 받았고, 영락제의 북정(北征)에 참여하는 등 명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반면, 이 때문에 동맹가첩목아는 오이라트[瓦剌]의 압력을 받아 1423년(세종 5)에 회령으로 다시 돌아왔다(『세종실록』 5년 4월 25일).

동맹가첩목아는 회령으로 이주한 뒤, 조선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자 하였다. 동맹가첩목아는 직접 조선에 내조(來朝)하거나, 아들 권두(權豆), 혹은 관하인을 파견하며 양자는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그런데 1433년에 칠성야인(七姓野人)과 손잡은 양목답올(楊木答兀)이 알목하를 공격하여 동맹가첩목아 등을 살해한 ‘알목하 사변’이 발생하였다(『세종실록』 15년 11월 19일). 이를 계기로 범찰(凡察)이 멸족의 위기를 겪게 된 건주좌위를 정비하였다.

한편 세종은 이를 기회로 6진을 개척하였다. 특히, 건주좌위의 중심지였던 알목하에 영북진(寧北鎭)을 설치하며 성을 쌓고, 조선인의 이주를 추진하여 회령도호부로 승격시켰다[『세종실록』 「지리지」, 함길도, 회령도호부]. 이러한 조선의 압박을 견디지 못한 범찰 등은 건주본위의 이만주(李滿住)에 이주하였다.

1411년에 동맹가첩목아가 개원으로 이주할 때, 그리고 1440년에 범찰과 동창 등이 환인, 신빈 지역으로 이주할 때에도 부족원 가운데 상당수는 회령 등지에 남아 있었다. 이들은 명과 조선 양쪽에 복속 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실질적으로 더 가까이에 있는 조선에 더욱 순응하며 조선의 영향력 아래에 편입하였다. 따라서 조선은 시간이 지날수록, 이들을 성저야인(城底野人), 혹은 번호(藩胡)·번리(藩籬) 등으로 부르며 자신의 울타리로 인식하였다.

참고문헌

  • 『국조보감(國朝寶鑑)』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만기요람(萬機要覽)』
  • 『대동지지(大東地志)』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해동역사(海東繹史)』
  • 한성주, 『조선전기 수직여진인 연구』, 경인문화사, 2011.
  • 園田一龜, 『明代建州女直史硏究』, 東京國立書院, 1948.
  • 河內良弘, 『明代女眞史の硏究』, 同朋舍, 1992.
  • 김구진, 「吾音會의 斡朶里 女眞에 대한 연구」, 『사총』 17, 1973.
  • 박원호, 「永樂年間 明과 朝鮮間의 女眞問題」, 『亞細亞硏究』 85, 1991.
  • 박정민, 「조선 건국기 여진인 내조와 조선의 외교구상」, 『역사학연구』 49, 2013.
  • 서병국, 「童猛哥帖木兒의 建州左衛硏究」, 『백산학보』 11, 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