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청보(雙靑堡)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함경남도 길주목 단천군에 속한 진보.

개설

쌍청보는 함경남도 길주목(吉州牧) 단천군(端川郡)에 속한 진보(鎭堡)로 종9품의 수장(守將)인 권관(權管)이 파견되었다. 쌍청이라는 지명은 세종대부터 보이고, 세조대부터 구자(口子)가 설치되었다. 성종대에 원래 위치에서 30여 보(步)를 뒤로 물려 축조하였고, 진보의 혁파 논의가 계속되었으나 조선후기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나 철종대에 황토기(黃土岐)와 함께 혁파되었다.

위치 및 용도

쌍청보는 현재 함경남도 허천군 사탑리에 위치하고, 성터가 남아 있다고 한다. 이곳은 서쪽으로 양강도 풍산군, 동쪽으로 단천의 남대천과 허천선 철도가 지나간다. 쌍청보는 동북의 모련위(毛憐衛), 서북의 건주위(建州衛)에서 내려오는 길목이다. 특히 혜산(惠山)에서 갑산(甲山)을 거쳐 단천으로 들어오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구축되었다.

변천 및 현황

쌍청이라는 지명은 『세종실록』「지리지」에 단천군의 파독천(波獨川)과 이마이천(泥亇耳川)의 발원지인 쌍청동(雙靑洞)에서 먼저 보인다. 이곳에 본격적인 진보가 구축된 것은 1460년 이전으로 보인다(『세조실록』 7년 6월 24일). 1475년(성종 6) 9월에 쌍청보 성내에 샘이 없고, 협착하다는 이유로 풍년을 기다려 30여 보를 퇴축하기로 하였다(『성종실록』 6년 9월 17일).

1490년 3월에 단천의 쌍청구자에 높이 10척(약 3m), 둘레 893척(약 271m)의 석성(石城)을 쌓았다(『성종실록』 21년 3월 30일). 한편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높이 8척(약 2.4m), 둘레가 1,382척(약 419m)이라고 한다. 그런데 1493년에 함경남도의 진보를 혁파하려는 논의가 있었으나, 쌍청구자는 오로지 연금동(鉛金洞)·사리동(沙里洞)·가선동(加先洞) 세 곳의 적로(賊路) 때문에 보를 설치한 것이니 혁파할 수 없다는 의견에 따라 그대로 두었다(『성종실록』 24년 2월 13일).

1723년(경종 3) 4월에도 이동보(梨洞堡)와 쌍청보 둘 중 하나를 예별덕으로 이설(移設)하여 마천령(磨天嶺)의 후원이 되게 하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비변사에 의해 보류되었다(『경종실록』 3년 4월 13일). 한편 『속대전』에 의하면 함경남도에 권관이 파견된 8개소 중 한 곳이 쌍청보이다. 결국 1853년(철종 4) 4월에 황토기(黃土岐)·쌍청의 권관을 혁파하였다(『철종실록』 4년 4월 19일).

형태

쌍청보성은 현재 함경남도 허천군 사탑리에 위치한다. 현재 북한 국가지정문화재보존급 제432호로 지정되어 있다. 쌍청보성은 둘레 600m, 남북 길이 200m, 동서 길이 100m 정도의 장방형 석성이다. 성벽은 밑너비 3m, 위 너비 1.5m가 되게 쌓았는데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높이는 2m이다. 동서남북에 문터가 있다고 한다.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국조보감(國朝寶鑑)』
  • 『속대전(續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여지도서(輿地圖書)』
  • 『만기요람(萬機要覽)』
  • 『경세유표(經世遺表)』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평화문제연구소 편, 『조선향토대백과』, 평화문제연구소,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