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창군(淳昌郡)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라북도 순창군에 설치된 조선시대 지방 관청이자 행정구역 명칭.

개설

본래 백제의 도실군(道實郡)이었는데 고려에 와서 순창현으로 이름을 삼고 1175년(고려 명종 5)에 감무를 두었다. 1341년(고려 충숙왕 1)에는 승려 국통(國統) 정오(丁午)의 고향이라 하여 순창군으로 승격시켰다. 조선이 건국한 후 1409년(세종 9)에 순창군이 관할해 오던 2현과 5소를 순창군에 편입하였다. 1455년(세조 1)에 순창군을 전라도 남원도(南原道)의 우익으로 삼았다. 1457년(세조 3)에는 순창군이 전라도에는 7진 가운데 하나인 남원진에 소속되었다. 1678년(숙종 4)에 순창이 금성산성(金城山城)의 협수장(挾守將)을 맡았다. 1873년(고종 10)에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 한자 추가)에 별포군(別砲軍) 46명을 추가로 설치하였을 때 순창군에도 50명을 두었다. 1895년(고종 32)에 8도제가 폐지되고 23부제가 시행되면서 순창군이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에는 고려에 와서 순창현으로 고치고 남원부에 소속시켰다고 되어 있다. 1175년에 감무를 두었다. 1341년에는 승려 국통 정오의 고향이라 하여 지군사(知郡事)로 승격시켰다. 조선이 건국한 후에도 이것이 이어졌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1409년에 도관찰사(都觀察使)윤향(尹向)이 건의하여, 수령이 파견되지 않은 전라도의 현과 향·소·부곡은 거의 모두 본 고을에 합쳐졌다. 이때 순창군이 관할해 오던 2현과 5소가 순창군의 직촌(直村)이 되었다. 2현은 복흥(福興)과 적성(赤城)이며, 5소는 치등(置等)·유등촌(柳等村)·감물토(甘勿吐)·잉좌(芿佐)·고도암(古道巖)·궁진(弓津)이다.

조직 및 역할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순창군에 종4품 군수(郡守) 1인과 종9품 훈도(訓導) 1인을 둔다고 되어 있다. 군수는 종4품 병마동첨절제사(兵馬同僉節制使)를 겸하였다. 훈도는 5백 호 이상인 고을에는 모두 두기로 한 것에 따른 것이다(『세종실록』 12년 1월 21일). 순창군수 밑에 중앙 관제와 마찬가지로 이·호·예·병·형·공 6방을 두었다. 군수 아래 향청(鄕廳)의 향임(鄕任)으로 좌수(座首)와 별감(別監) 등을 두었다. 이들은 6방을 나누어 장악하여 군수의 지방 행정을 보좌하였다. 향임은 대부분 부세의 분배와 징수, 향풍의 교정, 향리의 감찰 등을 맡았다.

변천

1455년에는 각 도의 내지(內地)에도 거진(巨鎭)을 설치하고 주변의 여러 고을을 중·좌·우익으로 나누어서 소속을 정하였다. 순창은 전라도 남원도의 우익으로 삼았다(『세조실록』 1년 9월 11일).

1457년(세조 3) 각 도의 중·좌·우익을 폐지하고 거진을 설치하였다. 이른바 진관(鎭管) 체제로 바뀌면서 전라도에는 7곳에 거진이 설치되었는데 남원도 그중 하나이다. 순창을 비롯하여 임실·장수·운봉·옥과·곡성·구례가 남원진에 속했다(『세조실록』 3년 10월 20일).

1678년(숙종 4)에 담양과 순창이 금성산성의 관장을 둘러싸고 다툼이 있었다. 그래서 담양을 수성장(守城將)으로 삼고, 순창을 협수장으로 삼아 수성장의 명령을 받도록 조치하였다(『숙종실록』 4년 11월 23일).

1873년(고종 10)에 해안 방어를 강화하면서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에 별포군 46명을 추가로 설치하였을 때, 순창군에도 50명을 두었다(『고종실록』 10년 2월 27일).

1895년에 8도 체제가 폐지되고 23부제가 시행되면서 순창군이 폐지되었다. 1896년(고종 33)에 전국 23부를 다시 13도로 개정할 때 전라남도와 전라북도가 분리되었다. 전라북도는 수부(首府)를 전주에 두었으며, 순창군을 비롯한 26개 군으로 편성되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
  •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전통편(大典通編)』
  • 『대전회통(大典會通)』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대동지지(大東地志)』
  • 『여지도서(輿地圖書)』
  • 『의안·칙령(議案·勅令)』
  • 박종기, 『지배와 자율의 공간, 고려의 지방사회』, 푸른역사, 2002.
  • 손정묵, 『한국지방제도·정치사연구(상)-갑오경장~일제강점기-』, 일지사, 2001.
  • 이수건, 『조선시대 지방행정사』, 민음사, 1989.
  • 이존희, 『조선시대 지방행정제도 연구』, 일지사, 1990.
  • 『순창군지』, 순창군지편찬위원회, 1982.
  • 『전라남도지』, 전라남도지편찬위원회, 1993.
  • 『전라북도지』, 전라북도, 198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