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여학교(淑明女學校)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906년(광무 10) 5월 22일 고종의 비인 엄귀비가 근대적인 여성 교육을 위해 세운 여자 학교.

개설

1897년(광무 1) 대한제국이 선포된 이후 근대 교육에 대한 열망이 높아지면서 여성의 교육을 위한 학교 설립이 추진되었다. 1897년에 평양 출신의 양현당(養賢堂) 김씨가 여성 민간인의 손으로 서울에 정선여학교(貞善女學校)를 설립하였고, 1898년(광무 2)에는 기독교계 여성들이 순성여학교(順成女學校)를 세웠다. 특히 1905년(광무 9) 을사조약 이후에는 국민들의 애국열이 교육열로 연결되어 여학교 설립이 활발해졌다. 1908년(융희 2)에는 조동식(趙東植)이 동덕여자의숙(同德女子義塾)을 운영하였는데, 학교 이름인 동덕(同德)은 『논어』의 동문수덕(同門修德), 즉 ‘한 배움의 보금자리에서 덕성과 학문을 연마한다’는 구절에서 인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근대적 여성 고등 교육 기관의 설립 와중에 세워진 것이 숙명여학교(淑明女學校)이다. 1906년 4월 고종의 비인 엄귀비(嚴貴妃)가 토지를 희사해 진명여학교(進明女學校)를 세웠다. 이후 4월 22일에는 숙명여학교의 발회식(發會式)을 한일부인회관(韓日婦人會館)에서 거행하였다. 한일부인회관은 고종이 하사한 가사(家舍)로 보신관(普信館)이란 사액(賜額)을 받았다. 5월 22일 엄귀비의 하사 자금과 영친왕궁의 토지 1,000정보를 기반으로 교장이정숙(李貞淑)과 학감(學監)연택능혜(淵澤能惠) 등의 주도하에 숙명여학교를 설립하였다. 초기 교명은 ‘명신여학교(明新女學校)’였다. 학교가 위치한 곳은 한성부 박동의 용동궁 자리이며, 교사(校舍)는 480평의 대지에 75칸의 한옥 건물이었다. 학교 운영비는 황실에서 보조금으로 전액 지원하였다. 엄귀비 사망 이후에는 하사받은 황해도 등의 농지를 기본 재산으로 삼아 재단을 설립했다.

숙명여학교는 일본인 교사들로 구성되었다. 초기 학생은 5명이었는데, 이들은 엄비가 보낸 경운궁의 상궁들이었다. 엄비가 황실의 내부 운영을 근대적으로 시행하고자 상궁들에게 근대 교육을 받게 한 것이다. 당시 유럽식 양장을 입고 졸업 사진을 찍은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개교 당시에는 학도들의 복장과 학용품 일체는 물론 식비까지도 학교에서 부담하면서 학도 모집에 노력하였다. 그 후 1908년 12월에는 엄귀비의 조카인 엄주익(嚴柱益)을 설립자로 하여 사립 명신고등여학교(明新高等女學校)로 개칭하였으며, 1909년(순종 2) 5월에는 사립 숙명고등여학교(淑明高等女學校)로 명칭을 고쳤다. 이때의 학제는 수업 연한을 4년제로 했고, 2년제 예과(豫科)를 두어 보통학교 학과를 이수케 하였다. 1911년 4월에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4명이 졸업하였다.

대한제국이 근대적 정책을 시도하는 국가였다고는 하지만 당시까지도 일반인들은 유교적 내외법에 젖어서 여성의 교육에 부정적 인식이 강했다. 여성이 집 밖에 나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부터 용인되기 어려웠다. 따라서 여학생은 구하기도 어렵고, 구해 놓아도 하루가 멀다 하고 빠져 나가기 일쑤였다. 또한 학생이 되었더라도 적당한 혼처가 나면 시집가는 것이 곧 졸업이었다. 그럼에도 숙명여학교는 엄귀비가 지원하고 세운 학교라는 명분이 있어서 다른 여학교들과는 달리 황실로부터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다.

내용 및 특징

1908년(융희 2) 4월 2일에 칙령(勅令) 제22호인 고등여학교령(高等女學校令)이 반포되었다(『순종실록』 1년 4월 2일). 이로 인해 여성의 고등 교육이 법적으로 보장되었다. 여학교의 위상은 1909년 5월 12일에 순종 부부가 참석한 북일영(北一營)의 관립고등여학교(官立高等女學校) 운동회에서 나타났다. 이때 황족(皇族)과 대신(大臣)들이 부인들과 함께 참가하였다(『순종실록』 2년 5월 12일). 이로 인해 황실에서 여성들의 교육을 주목하고 있고 지원도 해 준다는 인상을 대외적으로 알렸다.

특히 황실에서는 숙명여학교에 대한 관심이 깊었다. 1912년 4월에는 고종이 졸업식을 거행하던 숙명여자고등학교(淑明女子高等學校)에 공책 200권과 연필 24타(打)를 하사하였다(『순종실록부록』 5년 4월 6일). 한편, 1913년 4월 1일에는 졸업생이 합작한 조화(造花) 1롱(籠)을 고종에게 헌상(獻上)하였고(『순종실록 부록』 6년 4월 1일), 9월 8일에는 숙명여학교의 생도들이 고종 탄신일을 봉축하며 선물을 올렸다(『순종실록부록』 6년 9월 8일). 고종도 개교기념일에 맞추어 과자 두 상자를 내려주었고(『순종실록부록』 6년 5월 22일), 학용품을 주기도 했다(『순종실록부록』 6년 10월 14일).

이와 같은 황실과 숙명여학교의 관계는 엄귀비가 학교를 건립했다는 유래에 근거한 것이다. 일제강점기에도 영친왕이 생모가 건립한 학교라는 것에 따라 졸업식에 선물을 보내거나 수학여행 시 동경의 사저에 학생들을 초대하기도 하였다.

변천

1910년 일제강점기를 거쳐 오늘날까지 숙명여자고등학교, 숙명여자대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
  •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한국근대여성연구』, 숙명여자대학교, 1987.
  • 丁堯燮, 『한국여성운동사』, 일조각, 1971.
  • 朱耀翰·鄭英助, 『保護條約時期의 학회 및 단체운동』, 대성문화사, 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