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안군(遂安郡)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황해도 동북부 지역에 있으며 북쪽으로 평안도 중화, 동쪽으로 황해도 곡산, 남쪽으로 신계, 서쪽으로 평안도 성천과 접경하는 지역에 설치되어 주민들을 관할하던 관청이자 행정구역.

개설

수안군(遂安郡)은 고려시대 1310년(고려 충선왕 2)부터 수주(遂州)라 불렸고, 조선 건국 후 수안군이 되었으며, 조선말까지 명칭이나 구역의 변화가 없었다. 평안도와 황해도의 접경 지역에 있어 한양에서 의주로 이어지는 직로의 동쪽 편 영애로(嶺隘路)의 방위를 담당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땅으로 고소어(古所於)라 불렸다. 통일신라시대 748년(신라 경덕왕 7)부터 장새현(獐塞縣)이라 하였으며 서암군(栖巖郡)에 속하였다. 고려 때 수안이라 바뀌었고, 1018년(고려 현종 9)에 곡주(谷州)의 속현이 되었으며, 곧이어 현령이 파견되었다. 1270년(고려 원종 11)에 원의 동녕부(東寧府)에 속하였다가 8년 만에 수복되었다. 1310년에 이 지역 출신으로 원나라 환관이 된 이대순(李大順)의 요구로 수주(遂州)가 되었으며 지군사(知郡事)가 파견되었다. 조선 건국 후에 수안군이 되었다. 1394년(태조 3)에 경기우도에 편입되었으며(『태조실록』 3년 6월 23일), 얼마 후 다시 황해도로 환속되었다.

조직 및 역할

군수는 4품이며 문관과 무관, 음관이 교대로 보임되었다. 좌수 1명, 별감 3인, 군관 50명, 아전 22명, 지인 13명, 사령 21명, 관노 18명, 관비 18명이 있었다.

평안도와 황해도 접경에 위치한 읍으로 황해도 영애 방어를 담당한 문산진과 위라진이 있었으며, 위라진에는 1680년(숙종 6)에 만호가 설치되었다(『숙종실록』 6년 1월 6일). 유사시에는 수도권 방어에 동원되었으며 평시에도 훈련도감 소속 군병 547명, 어영청 소속 548명, 금위영 소속 645명 등이 있었다.

변천

1653년(효종 4)에 사비(私婢)가 주인을 살해한 사건이 일어나 현으로 격하되었다가(『효종실록』 4년 윤7월 14일), 10년 후인 1662년(현종 3)에 읍호를 회복하였다(『현종개수실록』 3년 1월 2일).

1895년(고종 32)에 전국을 23부로 재편할 때 개성부 수안군이 되었으며, 1896년(고종 33)에 13도제 시행 때 다시 황해도 수안군이 되었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여지도서(輿地圖書)』황해도(黃海道) 수안(遂安)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고승희, 「조선후기 황해도 內地 방어체계」, 『한국문화』38,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