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군통어사(水軍統禦使)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수군통어사 |
한글표제 | 수군통어사 |
한자표제 | 水軍統禦使 |
동의어 | 삼도통어사(三道統禦使), 통어사(統御使) |
분야 | 정치/행정/관직·관품 |
유형 | 직역 |
지역 | 경기 교동도(喬桐島)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김경옥 |
관품 | 종이품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수군통어사(水軍統禦使)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인조실록』 21년 5월 2일, 『영조실록』 39년 11월 29일, 『정조실록』 13년 5월 26일, 『영조실록』 39년 11월 29일, 『철종실록』 3년 5월 2일, 『고종실록』 11년 8월 4일 |
17세기에 통어영에 파견되었던 종2품 수군 무관직.
개설
수군통어사(水軍統禦使)는 일명 ‘통어사(統御使)’ 혹은 ‘삼도통어사(三道統御使)’라 칭한다. 17세기에 조선은 방어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통제영(統制營)과 통어영(統禦營)을 중심으로 개편되었다. 즉 서남 해안을 방비하기 위해 통제영을 개설하고, 경기(京畿) 방어를 목적으로 통어영을 설치하였다. 조선 정부는 통어영에 수군통어사를 파견하였다.
담당 직무
17세기 일본과 외교 관계가 안정된 반면, 중국 황당선이 서남해안에 출몰하여 수군방어 체계를 강화하였다. 특히 경기도 강화도 방어를 위해 경기수영(京畿水營)을 통어영으로 개편하였다. 통어영은 강화도 옆의 교동도(喬桐島: 현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에 설치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수군통어사’ 또는 ‘삼도통어사’를 찾아보면, 가장 먼저 확인되는 기사가 1643년(인조 21)이다. 즉 “이완(李浣)을 경기수사(京畿水使) 겸 3도 방어사로 임명하였다.”라는 기록이다(『인조실록』 21년 5월 2일). 17세기 수군통어사는 경기수군절도사를 겸하였다.
1763년(영조 39)에 어영대장김한구(金漢耈)가 이르기를, “경기수사가 교동도에 주둔하고 있어서 만약 영종도에 긴급한 상황이 발생해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다.”라고 보고하였다. 이에 경기수군을 교동도와 영종도를 중심으로 좌·우로 나눠 방어사를 파견하였다. 즉 교동도가 황해도와 평안도로 연결되는 해로(海路)를 방비하고, 영종도가 충청도·전라도·경상도로 연결되는 뱃길을 방어하였다. 이때 경기유수가 삼도통어사를 겸하였다(『영조실록』 39년 11월 29일).
1789년(정조 13)에 삼도통어사를 경기도 교동도에 다시 배치하였다. 경기수군이 모두 강화도 방비에만 편중되어 있어서 삼남 지방인 충청도·전라도·경상도로 가는 뱃길을 제대로 지킬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때 강화유수가 삼도통어사를 겸직하는 것을 혁파하고, 교동부사(喬桐府使)를 수군절도사로 임명하였다(『정조실록』 13년 5월 26일).
변천
17세기 경기도 교동도에 통어영을 설치하고 강화도 방어망을 구축하였다. 초창기 수군통어사는 경기수사가 겸직하였다.
18세기 중엽에 어영대장김한구가 강화도를 더 효율적으로 방비하기 위한 계책으로 경기좌·우도로 나누어 관방하는 체제로 정비하였다. 이때 강화유수가 삼도통어사를 겸하였다(『영조실록』 39년 11월 29일).
18세기 말엽에 우의정채제공(蔡濟恭)이 “통어영을 강화도로 이속시킨 것은 옛사람들의 뜻에 크게 벗어난 일”이라고 하면서, 삼도통어사를 경기도 교동도에 다시 설치하자고 제안하였다.
19세기 수군통어사는 경기수군절도사겸삼도통어사교동부사로 임명하여 과거의 규례로 복구하였다. 임기는 1년을 주기로 하여 교체된 것으로 확인된다(『철종실록』 3년 5월 2일), (『고종실록』 11년 8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