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보상절(釋譜詳節)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447년(세종 29) 세종(世宗)의 명을 받은 수양대군(首陽大君)과 김수온(金守溫) 등이 석가모니의 일대기와 그 설법에 대하여 편찬한 책.

개설

『석보상절(釋譜詳節)』은 1447년(세종 29) 세종의 명을 받은 수양대군과 김수온(金守溫) 등이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명복과 대중을 불교에 귀의하게 하기 위하여 석가모니의 가계와 그 일대기를 서술한 책이다. 1459년(세조 5)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과 함께 묶여 『월인석보(月印釋譜)』로 편찬되기도 하였다. 『월인석보』 권1에 있는 「석보상절서(釋譜詳節序)」와 「어제월인석보서(御製月印釋譜序)」에 따르면 ‘석보(釋譜)’는 석가의 일대기, ‘상절(詳節)’은 ‘요긴한 것은 상세히, 요긴하지 않은 것은 생략한다’는 뜻이다.

이 책은 조선 초기 국어와 한자음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며, 유려한 문장으로 다른 불경언해와 달리 문학적 가치가 높다. 최초의 번역불경이자,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한글 활자본이라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편찬/발간 경위

『석보상절』의 편찬은 1446년(세종 28) 소헌왕후가 세상을 떠나면서 이루어졌다. 「석보상절서」와 「어제월인석보서」에 따르면 세상을 떠난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세종이 수양대군에게 석보를 만들어 한글로 번역하게 하였다. 수양대군은 신미(信眉)와 김수온 등의 도움을 받으면서 남제(南齊)의 승우(僧祐)가 편찬한 『석가보(釋迦譜)』와 당(唐)나라의 도선(道詵)이 편찬한 『석가씨보(釋迦氏譜)』를 참조하여 새롭게 한 권의 책을 편찬하고 우리말로 번역하였다. 『세종실록』에도 1446년 세종이 부사직(副司直)이던 김수온에게 『석가보』를 증보 수찬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등장한다.(『세종실록』 28년 12월 2일)

한편 1459년에는 세종(世宗)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하고, 세조가 지은 『석보상절』을 설명 부분으로 하여 합편하는 형식의 『월인석보(月印釋譜)』를 편찬하기도 하였다.(『세조실록』 5년 2월 9일)

서지 사항

24권이 전해지고 있다. 책의 크기는 세로 33.1cm, 가로 15.9cm이며, 지질은 한지이다.

이 책의 분량은 현전하는 권24의 내용으로 미루어, 모두 24권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갑인자로 된 활자본이다. 당시의 활자 인쇄술로 미루어 많은 부수가 간행되지 못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후 <임진왜란(壬辰倭亂)>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등의 난리로 인해 그나마 전해지던 책도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초간본은 영본으로 모두 7권만이 전하는데, 국립중앙도서관에 권6, 9, 13, 19,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권23, 24, 어느 개인 소장자에게 권20이 소장되어 있다.

『석보상절』의 중간본은 16세기 이후 이루어졌다. 권3과 권11만이 전하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원간본을 복각(覆刻)한 것이어서, 일부 오각·탈각을 제외하고는 원간본과 내용이 같다. 이 가운데 권11은 중앙국립도서관, 동국대학교 소장의 원간본과 함께 현재 보물 523-3호로 지정되어 있다.

구성/내용

「월인석보서」에 따르면 『석보상절』은 『석가보』와 『석가씨보』를 참고로 책을 만든 후 이를 번역하여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이는 번역에 앞서 한문으로 된 초고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석가보』와 『석가씨보』 외에도 『법화경(法華經)』ㆍ『아미타경(阿彌陀經)』 등의 불경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편찬 순서는 팔상도(八相圖)의 도솔래의(兜率來儀 : 부처님이 도솔천에서 내려옴)ㆍ비람강생(毘藍降生 : 룸비니 동산에서 이 세상에 태어남)ㆍ사문유관(四門遊觀 : 사대문으로 나가 봄)ㆍ유성출가(踰城出家 : 성을 넘어 출가함)ㆍ설산수도(雪山修道 : 설산에서 도를 닦음)ㆍ수하항마(樹下降魔 : 보리수 아래서 마귀를 항복시킴)ㆍ녹원전법(鹿苑轉法 : 녹야원에서 설법함)ㆍ쌍림열반(雙林涅槃 : 쌍림에서 열반에 듦)의 순서에 따랐다.

인쇄에 사용된 한글 활자는 한글이 창제된 후 최초로 만들어진 것으로, 현대의 고딕체와 모양이 유사하다. 방점과 아래아 ‘ㆍ’가 둥근 점(點)으로 되어, 한글 창제 당시의 모습을 보인다. 다만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에서 점으로 되어 있던 가로획과 세로획은 직선으로 바뀌었다. 이 점은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한글 가사가 보여주는 한글 자형과 같다. 이 한글 활자는 『석보상절』을 간행하기 위하여 주조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월인천강지곡』과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에도 이 한글 활자가 사용되었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책은 훈민정음 반포 다음해에 간행된 최초의 산문자료이다. 특히 한문 불경을 우리 문자로 옮긴 최초의 한글 경전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책의 편집 및 편찬 체제는 물론, 활자 하나하나에 이르기까지 모두 새로운 창안에 의해 이루어졌다. 번역에서 경(經)의 본문은 본문 그대로 당시 통용되던 우리말로 옮겼고, 계환(戒環)의 요해(要解) 부분은 협주로 옮겨서 가독성(可讀性)을 높이면서도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하였다. 둘째, 『석보상절』은 애초에 모두 24권으로 간행되었다. 이 중 현전하는 초간본은 7권이고, 중간본은 2권뿐이어서 모두를 합해도 9권에 지나지 않는다. 각 책은 모두 유일본으로 전해져 문헌적 가치가 높다. 셋째, 『석보상절』은 같은 내용이 시기를 달리해서 세 차례나 연달아 번역된 것으로 세 번에 걸쳐서 나온 대응 부분을 정리ㆍ제시하여 비교 연구가 가능하다. 이는 불교학 연구 및 국어사 연구 자료로 활용 가치가 크다. 넷째, 『석보상절』은 다른 불경언해서들과는 달리 원문이나 정음 구결문 없이 번역문만으로 된 책이다. 그만큼 원문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환경에서 찬술되었다. 그러므로 번역이 비교적 자유역(自由譯)에 가깝고, 어휘도 비록 한자어 기원의 어휘라고 해도, 정음으로 적힌 것이 많다. 권20에는 다른 문헌에 쓰인 적이 없는 희귀어 및 고어사전에 미수록된 어휘가 몇몇 보인다. 대표적인 어휘로는 ‘기장’, ‘데엋’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눈부시다’는 의미를 가진 형용사 ‘ㆍ-[耀]’와 ‘너그럽게, 큼직하게’의 뜻을 가진 ‘:게-[雄]’의 파생부사 ‘:게여ㆍ’도 처음 나오는 어휘이다.

기원적으로는 한자어지만, 이 책에서 정음으로 적힌 어휘에는, ‘양ㆍ/樣子/樣姿’, ‘:양/樣’, ‘샹ㆍ녜/常例’, ‘침노ㆍ-/侵勞,侵擄ㆍ-’, ‘풍류ㆍ-/風流ㆍ-’, ‘미혹ㆍ-/迷惑ㆍ-’, ‘:ㆍ뎍/行蹟’, ‘:위ㆍ-/爲ㆍ-’, ‘:쳔량/錢糧’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석보상절』이 학문적으로 갖는 가치는 첫째, 불교학적인 면에서 당시의 불교를 조직화한 것으로 조선 초기의 불교학 수준을 알 수 있으며, 최초의 번역 불경이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둘째, 문학적인 면에서 국문으로 된 최초의 산문 작품이지만, 세련된 문장이 유려하여 후대의 고전 소설 등의 문체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셋째, 국어학적으로 풍부한 어휘와 이에 따른 어법ㆍ음운ㆍ표기법 등 15세기 중엽의 국어 연구 및 한자음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넷째, 서지학적으로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최초의 한글 활자본이란 점에서 문화재로서의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참고문헌

  • 『세종실록(世宗實錄)』
  • 『세조실록(世祖實錄)』
  • 강규선ㆍ황경수, 『중세국어문법론』, 청운, 2003.
  • 고영근, 『표준 중세국어 문법론』, 집문당, 2010.
  • 고영근ㆍ남기심, 『중세어 자료 강해』, 집문당, 1976.
  • 김석득, 『역주 석보상절』,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