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가림(乏)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화살을 피하기 위한 가림막.

개설

조선시대의 보사(步射)에서 과녁인 후(侯)의 옆에 설치한 가림막으로 날아오는 화살을 피하기 위한 용도였다. 일명 ‘핍(乏)’이라고 한다. 후의 동쪽, 서쪽 각각 10보 자리에 설치하였다. 동쪽 살가림에는 고(鼓) 한 개를 치는 관리가 있고, 서쪽 살가림에는 금(金) 한 개를 치는 관리가 있어, 활을 쏘아 후에 맞히면 북을 치고 맞히지 못하면 금을 쳤다.

연원 및 변천

살가림은 무과 시험이나 대사례와 같은 활쏘기 행사 때에 쓰였다. 1402년(태종 2)에 무과를 처음 실시하면서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세종실록』 오례 무과전시에서 정비되었다. 그 뒤 『국조오례의』에서 최종적으로 정착되었다.

형태

살가림은 후의 옆에서 화살을 피하는 물건으로 병풍처럼 생겼다. 나무와 부드러운 가죽을 써서 만들었다. 가죽을 쓴 까닭은 화살이 뚫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였다. 높이와 나비가 각각 7척(尺)이고, 병풍처럼 3첩(疊)으로 되어 있다[『세종실록』 오례 군례 서례 사기 살가림·살그릇]. 후의 동쪽과 서쪽 각각 10보 떨어진 자리에 설치하였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임선빈·심승구 외, 『조선전기 무과전시의 고증연구』, 충남발전연구원, 1998.
  • 심승구, 「조선전기 무과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