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청부(北靑府)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함경도 북청 지방을 관할하던 관청이자 행정구역.

개설

북청부(北靑府)는 1416년(태종 16) 설치되어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편에 따라 북청군(北靑郡)으로 변경되기까지 함경도 남부 지역의 행정과 군사 중심지로 기능하였다. 북청에는 남병영(南兵營)이 설치되었으며, 남병사(南兵使)가 부사(府使)를 겸임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본래 고구려의 옛 땅으로,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 때에는 남경남해부(南京南海府) 지역이었다. 발해가 멸망한 뒤 여진(女眞)이 거주하였다.

고려 때 천리장성을 쌓아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였는데, 당시 북청 지방은 장성 밖에 있어서 여진의 영역이었다. 1107년(고려 예종 2)에 윤관(尹瓘)을 보내어 여진을 몰아내고 9개의 성을 쌓았다가, 다시 여진에게 돌려주었다. 뒤에 이 지역에 원(元)나라의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가 설치되었는데, 당시에는 삼살(三撒)이라 불렀다. 1356년(고려 공민왕 5)에 쌍성총관부를 혁파하고, 더 북진하여 삼살 지방을 수복하였다. 수복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안북천호방어소(安北千戶防禦所)를 두었고, 1372년(고려 공민왕 21)에 북청주만호부(北靑州萬戶府)로 고쳤다.

조선이 건국한 뒤 1398년(태조 7)에 동북면의 주(州)·부(府)·군(郡)·현(縣)의 이름을 나누어 정할 때 청주부(靑州府)로 개칭하였다가, 1416년(태종 16)에 충청도의 청주목(淸州牧)과 음이 같다 하여 북청(北靑)으로 이름을 고쳤다(『태조실록』 7년 2월 3일) (『태종실록』 16년 8월 10일).

조직 및 역할

종2품의 남병사가 도호부사(都護府使)를 겸임하였다. 남병사는 함경남도의 군사 업무에 전념하였으므로, 문관 종5품의 판관(判官)이 북청부의 행정 업무를 보좌하였다. 남병사의 겸임이 폐지된 1721년(경종 1) 이후로는 문관(文官)이나 음관(蔭官) 종3품이 도호부사를 맡았으며, 임기는 60개월이었다. 간혹 정3품 당상관으로 임명할 경우에 임기는 30개월이었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부사에 소속된 이속(吏屬)으로 좌수(座首) 1명, 향소(鄕所) 3명, 대동감관(大同監官) 1명, 전세감관(田稅監官) 1명, 관청감관(官廳監官) 1명, 각창(各倉) 감관(監官) 13명, 각사(各社) 풍헌(風憲) 19명, 군적감관(軍籍監官) 1명, 군기감관(軍器監官) 1명, 군관(軍官) 50명, 기고관(旗鼓官) 1명, 기패관(旗牌官) 32명, 마병별장(馬兵別將) 1명, 천총(千摠) 1명, 파총(把摠) 2명, 초관(哨官) 12명, 봉무사별장(烽武士別將) 2명, 호장(戶長) 1명, 아전(衙前) 63명, 지인(知印) 26명, 사령(使令) 32명, 관노(官奴) 67명, 기생(妓生) 42명, 관비(官婢) 34명이 있었다.

『여지도서』에 따르면 북청의 관할 행정구역으로는 관아가 소재한 노덕사(老德社)를 위시하여 양가사(良家社), 양천사(梁川社), 보청사(甫靑社), 거산사(居山社), 가회사(佳會社), 평포사(平浦社), 거서사(車書社), 중평사(中坪社), 해안사(海岸社), 인후사(仁厚社), 중산사(中山社), 대속후사(大俗厚社), 소속후사(小俗厚社), 종산사(鍾山社), 양화사(陽化社), 덕성사(德城社), 성대사(聖代社), 이곡사(泥穀社)의 19사(社)가 있었다.

변천

1466년(세조 12)에는 병마절도부사(兵馬節度副使)를 설치해 부사가 겸임하게 했다. 이듬해 길주(吉州)의 역적인 이시애(李施愛)를 토벌하고, 함경남도와 함경북도의 거리가 너무 멀다는 이유로 함경남도병마절도사(咸鏡南道兵馬節度使) 즉 남병사로 승격시켰다. 또 진관(鎭管)의 거진(巨鎭)으로서 단천(端川)과 이성(利城)·홍원(洪原)을 관할하였다. 1590년(선조 23)에 병마우후(兵馬虞候)를 설치했다. 1721년(경종 1)에 판관을 부사로 승격시켜 읍치를 담당하게 하였으며, 남병사의 부사 겸임을 폐지했다.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으로 인하여 1895년(고종 32) 지방관제가 대구역주의인 8도제에서 소구역주의인 23부제로 바뀌면서 함흥부(咸興府) 소속의 북청군으로 바뀌었다(『고종실록』 32년 5월 26일).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경국대전(經國大典)』
  • 『속대전(續大典)』
  • 『대전통편(大典通編)』
  • 『대전회통(大典會通)』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손정목, 『한국지방제도·자치사연구(상)』, 일지사, 199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