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本草)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본초 |
한글표제 | 본초 |
한자표제 | 本草 |
상위어 | 역학(譯學) |
관련어 | 왜학(倭學), 취재(取才) |
분야 | 정치/인사/선발 |
유형 | 문헌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정승혜 |
저편자 | 唐愼微 |
간행처 |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본초(本草)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12년 3월 18일 |
조선초기 일본어를 가르치기 위하여 수입한 교재의 하나로, 송나라의 당신미가 편찬한 의서.
목차
[숨기기]개설
『본초(本草)』의 원명(原名)은 『경사증류대관본초(經史證類大觀本草)』였다. ‘본초’란 약품을 기재한 책의 통칭으로, 황제(黃帝)가 기백(岐伯)으로 하여금 일찍이 본초를 맛보아 『본초경(本草經)』을 짓고 의방(醫方)을 만들어 질병을 치료한 데에서 유래하였다. 약에는 초(草)·목(木)·옥(玉)·석(石)·충(蟲)·어(魚)·조(鳥)·수(獸) 등 여러 종류가 있으나 초류가 가장 많은 까닭에 ‘본초’라는 이름으로 모든 약을 대표하였다. 1430년(세종 12) 상정소(詳定所)에서 제학(諸學)의 취재 출제서를 정하여 계문(啓文)을 올렸다(『세종실록』 12년 3월 18일). 『본초』는 왜학(倭學), 즉 일본어 취재 출제서 중 하나였다.
편찬/발간 경위
『본초』는 일본의 흠명천황(欽明天皇) 대에 백제의 채약사(採藥師) 시덕(施德) 심량풍(瀋量豊), 고덕(固德) 정유타(丁有陀)에 의하여 일본에 처음으로 전해졌다고 하였다. 엔기[延喜] 연간에는 심근보인(深根輔仁)이 『신초화명본초(新鈔和名本草)』를 지었다. 또 소야란산(小野蘭山)이 편찬한 『본초강목계몽(本草綱目啓蒙)』(전18권)이 있어 송나라의 이시진이 편찬한 『본초강목(本草綱目)』의 약물에 대한 이명(異名)과 일본식 명칭, 그에 대한 방언과 산지 등이 기록되었다. 그러나 『조선왕조실록』에 보이는 『본초』가 일본어 번역판인지, 전혀 다른 책인지는 알 수 없었다. 1554년(명종 9)에 간행된 『경국대전주해』 취재(取才) 조에는 ‘본초’ 항목에 ‘송당신미찬(宋唐愼微撰)’이라는 기록이 있어, 송대의 당신미(唐愼微)가 편찬한 『본초』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다만, 이 책이 역과 왜학의 취재에 사용된 것으로 보아 일본판 『본초』를 수입한 것으로 여겨졌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경국대전주해(經國大典註解)』
- 정광, 『사역원 왜학연구』, 태학사, 1988.
- 정승혜, 『조선후기 왜학서 연구』, 태학사, 2003.
- 한우근 외, 『경국대전 역주』(역주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