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파정(伏波亭)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한강 일대에 세워진 정자.

개설

복파정(伏波亭)은 양화진(楊花津) 일대 강안(江岸)에 세워진 정자로 당대의 명사들이 이곳을 찾아와 강을 조망하며 주변 경관을 즐기던 곳이다. 현재 이름만 전해 오거나 간단한 내역만 전해지는 누정 중 하나이다.

위치 및 용도

복파정은 양화나루 부근에 위치하였다. 현재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수동에 속한다. 주로 풍류 묵객들이 이곳을 찾아 시문을 읊조렸다. 양화진은 잠두봉(蠶頭峯) 주변에 있었던 나루터로 버드나무가 무성하고 주변 자연경관이 빼어나 양화답설(楊花踏雪)이라고도 불렸다. 조선시대에는 중국 사신이 방문했을 때 이곳에서 유람선을 띄워 뱃놀이를 즐겼다. 잠두봉은 봉우리가 누에의 머리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예로부터 풍류객들이 산수를 즐기고 나룻배의 일꾼들이 휴식을 취하던 곳이었다. 인근에 경치가 뛰어난 양화진을 끼고 있어 더욱 명승을 이루었던 곳으로 중국 사신들도 자주 찾았다.

왕족이나 사대부들은 여가를 즐기기 위해 한강변에 별서나 누정을 조성하였다. ‘마포팔경(麻浦八景)’이라 하여 용호제월(龍湖霽月), 마포귀범(麻浦歸帆), 방학어화(放鶴漁火), 율도명사(栗島明沙), 농암모연(籠岩暮烟), 우산목적(牛山牧笛), 양진낙조(楊津落照), 관악청람(冠岳晴嵐)으로 마포 일대의 승경(勝景)을 묘사하였는데 복파정이 있던 일대가 포함되었다.

변천 및 현황

복파정은 당대의 명사들이 찾아 세상의 괴로움을 한때나마 잊을 수 있는 장소였다. 그 밖에 절두산과 양화도도 풍류 묵객들이 자주 찾아 명소로 이름이 있었다. 복파정이 있던 양화진은 서강(西江) 일대에 위치하였으며, 이곳을 찾은 명사들은 서강을 드나드는 배와 잠두봉·선유봉(仙遊峯)에서 내려다보는 한강 일대의 승경을 조망하며 서호팔경의 경관을 시문에 넣어 풍류 문화를 즐겼다. 조영자(造營者)는 민영(民營)이었으며 현재는 소실된 상태로 이름만 전해진다.

관련사건 및 일화

고종 때 이곳에서 돈을 주조(鑄造)하도록 명하였다(『고종실록』 25년 5월 18일). 춘천부(春川府)의 세입이 얼마 되지 않아 달리 조획(措劃)할 수 없으니 서강의 복파정과 탁영정(濯纓亭)에서 돈을 주조하도록 허락하여 적절하게 나누어 설치하게 하였다.

참고문헌

  • 신석호, 『시련에 선 왕조』, 신구문화사, 1969.
  • 임의제, 「조선시대 서울 누정의 조영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