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통사(朴通事)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박통사 |
한글표제 | 박통사 |
한자표제 | 朴通事 |
상위어 | 역학(譯學), 한학(漢學) |
관련어 | 『노걸대(老乞大)』 |
분야 | 정치/인사/선발 |
유형 | 문헌 |
집필자 | 정광 |
저편자 | 미상 |
간행처 | |
간행년일 | 미상 |
권책수 | 미상 |
사용활자 | 미상 |
표제 | 朴通事 |
소장처 | 원본이 전하지 않음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박통사(朴通事)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성종실록』 11년 10월 19일 |
조선시대 사역원의 중국어 교육에서 사용한 한어 중급 교재.
개설
『박통사(朴通事)』는 조선사역원에서 중국어의 학습에 사용한 교과서였다. 『노걸대』와 자매편으로 이 둘을 함께 『노박』으로 줄여 불렀다. 원본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나 후대의 수정본인 ‘산개본(刪改本)’, ‘신석본(新釋本)’이 있고 한글 발명 이후에 ‘번역본’, ‘언해본’이 간행되었다. ‘번역본’은 국회도서관에 을해자(乙亥字)본의 복각본이 상권만 전하며, 그 밖의 것은 한국과 세계 여러 곳에 다수 현전한다. 『박통사』의 ‘박(朴)’은 우리 고유의 성(姓)이며 ‘통사(通事)’는 역관의 통칭이었다. 따라서 박씨 성을 가진 역관이라는 뜻으로 고려역관을 말하였다. 『노걸대』가 비교적 짧고 간단한 문장으로 되었다면, 『박통사』는 길고 전문적이며 어려운 내용으로 되었기 때문에 전자를 초급 교재, 후자를 중급 교재로 보기도 하였다.
편찬/발간 경위
『박통사』의 원본은 전하지 않으나 조선 중종대에 최세진(崔世珍)이 편찬한 『노박집람(老朴集覽)』에 ‘구본(舊本) 박통사’가 자주 등장하였다. 이것이 『박통사』의 원본을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연구가 있었다. 따라서 『노걸대』의 원본처럼 원(元)대에 새로 등장한 한어(漢語)를 교육하기 위하여 고려말에 사역원의 역관들이 편찬한 한어 교재로 여겨진다. 이 교재는 성종대에 명인(明人) 갈귀(葛貴)가 『노걸대』를 산개(刪改)하면서 이를 함께 수정한 산개 『박통사』가 있고 이를 중종대에 정음(正音)으로 주음하고 우리말로 언해한 번역 『박통사』가 있다. 조선 영조 연간에 『노걸대』를 신석할 때에 역시 이를 수정하여 『신석박통사(新釋朴通事)』와 『신석박통사언해(新釋朴通事諺解)』를 간행하였다. 다만 『노걸대』와 달리 『박통사』는 ‘중간본’이 없었다.
『박통사』의 원본은 『노걸대』와 같이 고려말에 편찬되었다. 현전하는 『박통사』의 내용 가운데 1346년(원 혜종 14)에 대도(大都)에서 설법(說法)한 보우(普愚) 화상(和尙)의 이야기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원나라를 여행한 고려역관의 편찬으로 본다. 이 원본은 조선 성종대에 『노걸대』와 함께 산개되었다. 즉, 1480년(성종 11) 경연에서 시독관이창신이 지난번에 명령을 받고 한어를 두목 대경에게 질정하였는데, 대경이 『노걸대』와 『박통사』를 보고 “이것은 바로 원나라 때의 말이므로, 지금의 중국말[華語]과는 매우 달라서, 이해하지 못할 데가 많이 있다.”고 하고, 즉시 지금의 말로 두어 구절을 고치니 모두 해독할 수 있었다면서, 한어에 능한 자로 하여금 모두 고치게 하자고 아뢰었고 성종이 이를 받아들였다(『성종실록』 11년 10월 19일). 이로 볼 때 이 시기에 『노걸대』와 더불어 불필요한 곳은 잘라 내고 틀린 곳은 고쳐서 산개(刪改)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산개본’은 중종 연간에 최세진이 정음으로 번역하고 우리말로 언해하였다. 이때에 번역되어 을해자(乙亥字) 활자로 인쇄된 것의 복각 목판본 중 상권만 국회도서관에 소장되었다. 그리고 왜란(倭亂)과 호란(胡亂) 이후에 『노걸대』를 언해할 때에 『박통사』도 함께 언해하여 『박통사언해』라는 이름으로 간행하였다.
서지 사항
원본이 전하지 않아 알 수 없다. 다만 산개 『박통사』와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신석박통사』와 그 언해본은 여러 곳에 현전한다.
구성/내용
『박통사』는 처음부터 106과(課)로 나누어 장면을 설정하고 그에 맞는 대화를 소재로 하여 만든 한어 교재였다. 『노걸대』가 대도(大都)로 가는 여정(旅程)을 연속적으로 그린 것임에 비하여 『박통사』는 그러한 연결 없이 각 과(課)를 독자적으로 나눈 것이 특징이었다. 각 과의 주제는 당시의 북경, 즉 원나라의 수도인 대도에서 고려역관들이 수행할 임무와 생활의 모습이었다. 『박통사』는 『노걸대』와 함께 조선사역원의 각종 시험에서 출제서로 사용하였다. 즉, 사역원의 외국어 평가인 고강(考講)이나 원시(院試)에서는 『박통사』에서 빠지지 않고 출제되었다. 그리고 역관들에게 가장 중요한 최종 시험인 역과(譯科)에서는 『노걸대』가 초시(初試)·복시(覆試)에 모두 출제되었지만 『박통사』는 복시에만 출제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만큼 『노걸대』보다는 어려운 교재로 인식되었다.
『박통사』는 고려역관들이 원나라의 수도인 대도에서 어떤 역할을 하였고 어떻게 생활하였는지를 보여 주었다. 즉, 모두 106과의 주제가 역관들의 역할과 생활상이었기 때문에 이 자료를 통하여 당시 역관들의 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예를 들면 『박통사』의 제1과는 북경에 주재하는 역관들이 함께 모여 봄철에 상화(賞花) 연석(宴席)을 마련하는 장면이었다. 그를 위하여 돈을 추렴하고 그 돈으로 음식과 과일을 장만하며 광록시(光祿寺)에서 술을 구하고 교방사(敎坊司)에서 연희(演戱)하는 이를 불러오기도 하였다.
이 과에서 술을 관리하는 관청에서 술을 얻거나 다른 물건을 받아 올 때에 감합(勘合)이 필요한 사정을 알 수 있었다. 또 광록시의 관원인 관부(館夫)의 역할과 그들과의 접촉에서 필요한 예절들을 살필 수 있고, 당시 연회에서 사용하는 여러 음식의 종류와 그 제법을 보여 주기도 하였다. 그리고 음악과 연희(演戱)를 담당한 교방사(敎坊司)로부터 악공(樂工)들과 가인(歌人)들을 연석(宴席)에 불러오는 장면을 소재로 한 대화로부터 이 시대에 관리들의 연회(宴會) 문화를 엿볼 수 있었다. 106과가 모두 이러한 당시의 생활상을 내용으로 하였다.
참고문헌
- 정광, 『역학서 연구』, J&C, 2002.
- 정광, 『조선시대의 외국어 교육』, 김영사, 2014.
- 정광, 「<노박집람>과 <노걸대>·<박통사>의 구본」, 『진단학보』 89, 200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