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작(木斫)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논밭의 흙덩이를 내리쳐서 깨뜨리고 평탄하게 만드는 도구인 메(곰방메)의 한자어.

개설

목작(木斫)은 본래 논밭의 기경 작업에서 흙덩이를 부수어 전토 표면을 평탄하게 만드는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제민요술(齊民要術)』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목작을 수전의 평탄 작업에 사용한다. 중국에서 목작의 다른 이름은 우(耰)인데, 중국의 왕정(王禎)에 따르면 우는 흙덩이를 내리쳐서 깨뜨리고 전주(田疇)를 평탄하게 만드는 데 사용하는 도구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기록으로 볼 때 목작은 우리 농기구 명칭 가운데 메, 곰방메에 해당하는 도구이다. 목작은 논밭을 평평하게 고를 때 사용하는 써레를 가리키는 용어이기도 하다. 논밭을 쟁기질한 다음에 생겨난 흙덩이를 부수고, 농지 표면을 평탄하게 만드는 데 사용하는 농기구가 써레이다. 조선시대 사료에서는 목작이 주로 논밭 평탄 작업에 활용하는 써레를 가리키는 용어로 등장한다.

연원 및 변천

중국 문헌에서 목작은 주로 논밭의 흙을 고르게 하는 도구로 등장한다. 반면 조선 시대에 편찬된 『농사직설(農事直說)』을 보면 목작의 향명(鄕名)을 소흘라(所訖羅) 즉 써레로 부른다고 서술하고 있다. 『농사직설』에서 설명하는 수전과 한전의 전토 표면 평탄 작업에 목작 즉 써레가 집중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써레의 등 부분은 파종한 뒤에 씨를 덮어주는 복종(覆種) 작업에서도 활용되었다. 『농사직설』이 편찬된 이후 목작을 써레로 파악하는 설명이 많이 보인다.

목작을 써레로 파악하는 것은 약간 복작한 설명이 개입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목작이라는 도구가 중국에서 활용될 때의 본래 용도와 형태는 써레와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18세기 말 서호수(徐浩修)는 『해동농서(海東農書)』에서 우(耰)의 향명이 ‘메’이고 흙덩이를 깨뜨리는 도구이며, 우의 다른 이름이 목작이라고 설명하였다.

『농사직설』에서 목작을 메(곰방메)로 향명을 표시하지 않고 소흘라 즉 써레로 표기한 것은 태종대에 편찬된 『농서집요(農書輯要)』에서 그 단서를 찾을 수 있다. 『농서집요』의 편찬자는 중국 북토고원(北土高原)의 수도(水稻) 경작법을 이두문으로 번역하면서 “목작을 가지고 평탄한다”라는 『제민요술』의 구절을 “소흘라(所訖羅)로 평정(平正)하게 한다”라고 하였다. 조선에서 전토의 평탄작업에 이용하는 도구가 써레였기 때문에 목작을 향명인 ‘메’로 번역하지 않고 ‘써레’로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 『농사직설』을 편찬할 때 『농서집요』를 참고하였기 때문에, 수전의 평탄 작업에 활용하는 써레를 ‘목작’으로 표기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사료에 나오는 목작은 대부분은 써레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해도 무방하다. 다만 때로 메, 곰방메를 지칭할 때도 있다는 점에는 주의해야 한다.

형태

곰방메의 형태를 보면 지름이 6㎝ 내외, 길이 30㎝ 내외의 둥근 나무토막의 가운데 부분에 긴 자루를 박은 모습이다. 전체적인 형태가 T자형인데, 둥근 나무토막 부분으로 논밭의 흙덩이를 깨뜨려서 덩어리진 흙이 없게 한다.

써레의 경우 긴 토막나무에 둥글고 끝이 뾰족한 이(齒) 6~10개를 빗살처럼 나란히 박고 위에는 손잡이를 가로 댄 형태이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참고문헌

  • 『농서집요(農書輯要)』
  • 『농사직설(農事直說)』
  • 가사협(賈思勰), 『제민요술(齊民要術)』
  • 왕정(王禎), 『농서(農書)』
  • 서호수(徐浩修), 『해동농서(海東農書)』
  • 김광언, 『한국의 농기구』, 민속자료 보고서 20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9.
  • 김용섭, 『증보판 조선후기농업사연구』Ⅱ, 일조각, 1990.
  • 김용섭, 『조선후기 농학사 연구』, 일조각, 1988.
  • 염정섭, 『조선시대 농법 발달 연구』, 태학사, 200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