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시경(睦時敬)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목시경 |
한글표제 | 목시경 |
한자표제 | 睦時敬 |
분야 | 인물 |
유형 | 문신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숙종~영조 |
집필자 | 최양규 |
자 | 사무(士懋) |
호 | 이계(伊溪) |
출신 | 양반 |
성별 | 남자 |
출생 | 1694년(숙종 20) |
사망 | 1739년(영조 15) |
본관 | 사천(泗川) |
주거지 | 서울[京] |
증조부 | 목행선(睦行善); 문과 급제, 강원도 감사(監司) |
조부 | (양조부) 목종유(睦宗儒) (생조부) 목창명(睦昌明); 병조 판서(判書) |
부 | 목중광(睦重光); 진사(進士) |
모_외조 | 안동김씨(安東金氏); 부사(府使) 김봉지(金鳳至)의 딸 |
형제 | (형) 목달경(睦達敬) |
처_장인 | 연안이씨(延安李氏); 이지방(李之昉)의 딸 |
자녀 | (1자) 목조순(睦祖醇)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목시경(睦時敬) |
총론
[1694년(숙종 20)∼1739년(영조 15) = 46세.] 조선 후기 숙종~영조 때의 문신. 행직(行職)은 예조 좌랑(佐郎)이다. 자(字)는 사무(士懋)이고, 호(號)는 이계(伊溪)이다. 본관은 사천(泗川)이고, 거주지는 서울[京]이다. 아버지 진사(進士)목중광(睦重光)이고, 어머니 안동김씨(安東金氏)는 부사(府使)김봉지(金鳳至)의 딸이다.
숙종 시대 활동
1719년(숙종 45) 사마시(司馬試) 생원과(生員科)로 급제하였는데, 나이가 26세였다.[<사마방목>]
영조 시대 활동
1727년(영조 3) 정시(庭試) 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는데, 나이가 34세였다.[<문과방목>]
1736년(영조 12) 승문원 정자(正字)에 되었다가, 성균관 전적(典籍)이 되었다. 그 뒤에 예조 좌랑(佐郎)에 임명되어 춘추관 기주관(記注官)을 겸임하였다.
1737년(영조 13) 영조가 문신(文臣)에게 실시한 중시(重試)에서 을과(乙科)로 뽑혔는데, 나이가 44세였다.[<문과방목>] 그 뒤에 예조 정랑(正郞)으로 승진되었다.
1739년(영조 15) 병으로 갑자기 돌아갔는데, 향년이 46세였다.
부인과 후손
부인 연안이씨(延安李氏)는 이지방(李之昉)의 딸이다.[<방목>] 아들은 목조순(睦祖醇)이다.[족보]
참고문헌
- 『영조실록(英祖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영조]
- 『국조방목(國朝榜目)』
- 『사마방목(司馬榜目)』
- 『번암집(樊巖集)』
- 『성호전집(星湖全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