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화루(慕華樓)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모화관이 증축되기 전의 옛 이름.

개설

모화루(慕華樓)는 1407년(태종 7)에 지은 정자로 중국 사신 및 중국에 보내는 사절을 맞이하고 영접하고 전송하던 곳이었다. 그 밖에도 기우제, 각종 연회, 왕실 휴가, 국상 때의 노제(路祭) 등이 행해졌다. 중국에 보낼 외교문서를 최종 점검하는 장소이기도 했다. 세종 때 모화관(慕華館)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이후 수차례 개·보수와 증축이 시행되었다. 후에 독립협회의 사무실로 이용되었다.

위치 및 용도

모화루는 한성부의 돈의문(敦義門) 밖 서북쪽에 위치한 객관(客館)이었다. 현재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에 속한다. 원래는 무악재를 넘나드는 관원을 위한 곳으로 조성되었으나, 위치와 규모의 특성상 외국 사신을 주로 영접하였다. 그 밖에 무과 시험, 격구(擊毬) 관람, 군사 훈련 등이 행해졌다.

변천 및 현황

모화루는 송도(松都)의 연빈관(延賓館)을 모방하여 설립하였으며, 이름은 성석린(成石璘)이 지어 올린 모화(慕華)로 정하였다(『태종실록』 7년 8월 22일). 이듬해에 모화루 남쪽에 연못을 팠으며(『태종실록』 8년 4월 22일), 모화루를 2층으로 증축하고 연못 주변에 담을 세워 버드나무를 식재한 후 모화관으로 이름을 바꾸었다[『세종실록』 지리지 경도 한성부].

이후 연산군 때에 모화루 주변에 열무정(閱武亭), 희우정(喜雨亭) 등을 추가로 조성하였다. 1537년(중종 32)에는 모화관 앞쪽에 영은문(迎恩門)을 설치하였으며, 대한제국 선포 후 1896년(고종 33)에 영은문 위치에 독립문을 세우고 모화관을 독립관으로 개축하였다.

형태

모화루는 정면 4칸, 측면 3칸으로 된 무실형 팔작지붕 형태였으며, 여러 개의 정자가 부속되었다. 남쪽에 길이 380척, 폭 300척, 깊이 2~3장(丈)의 깊고 큰 연못을 조성하고, 숭교사(崇敎寺) 연못의 연(蓮)을 배로 실어다 심었다(『태종실록』 8년 5월 19일). 사신 접대를 위한 의례·공연이나 무과 시험 및 군사 훈련을 할 수 있는 넓은 공터가 조성되었으며, 이 공터에는 공납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밤나무를 심었다(『태종실록』 10년 1월 9일).

관련사건 및 일화

1430년(세종 12)에 대사헌(大司憲) 이승직(李繩直) 등이 모화루 보수와 관련하여 해당 관리들에게 죄를 물을 것을 상소하였다. 모화루는 사신을 영접하는 곳인데 쓰러질 위험이 있어 안순(安純)·홍리(洪理) 등에게 보수를 감독하는 명을 내렸으나 제대로 공사를 시행하지 않았고, 개천에 쌓은 돌이 며칠 지나지 않아 비가 오니 모두 무너졌다는 내용이었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경성부사(京城府史)』
  • 『궁궐지(宮闕志)』
  • 『대전회통(大典會通)』
  •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考)』
  • 『문헌비고(文獻備考)』
  • 『별건곤(別乾坤)』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통문관지(通文館志)』
  • 『한경지략(漢京識略)』
  • 『동아일보(東亞日報)』, 1978년 11월 3일.
  • 이현종, 「明使接待考」, 『鄕土서울』, 196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