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신(馬臣)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태조누르하치가 흥기하던 시기에 그를 도와 조선·명과 교섭을 벌인 인물.

개설

마신은 누르하치([奴兒哈赤], nurhaci)가 건주여진을 통일하던 시점에 아버지 마삼비(馬三非)와 함께 조선·명과의 교섭을 담당하였다. 중국어에 능통하였다고 알려져 있고, 조선의 기록에는 부장(副將) 혹은 차장(次將) 등으로 나타났다. 마삼비가 도독(都督) 혹은 도지휘(都指揮) 등의 관직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미루어 그 역시 명의 관직을 받았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확인할 수는 없다. 마신은 본명이 시하(時下)였는데 이를 바꾼 이름이었다(『선조실록』 29년 1월 30일). 다른 여진인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누르하치의 총애를 받았다고 한다.

가계

부친은 마삼비이다(『선조실록』 28년 12월 5일).

활동 사항

1595년 7월 조선과 건주여진 사이에 월경과 관련한 분쟁이 발생하였다. 조선은 명의 유격호대수(胡大受)에게 사건의 중재를 요청하였고, 호대수는 수하의 여희원(余希元)을 평안도 만포진(滿浦鎭)으로 보내어 교섭을 진행하게 하였다. 당시 건주여진에서 명·조선과 교섭을 담당한 인물은 마삼비였으나, 그가 북경으로 조공하러 가 있었던 이유로 아들인 마신이 교섭을 담당하였다(『선조실록』 28년 12월 5일). 여희원은 이해 8월 만포진(滿浦鎭)에 도착하여 자신의 가정(家丁)과 조선 향통사(鄕通事) 하세국(河世國)을 파견하였는데, 11월 마신은 만포진으로 왔다. 이때 마신은 누르하치를 대신하여 만포첨사유염(柳濂)과 변경 문제를 논의하고 사건의 해결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향후 서신을 통하여 왕래할 것을 제안하였다(『선조실록』 28년 11월 20일). 또 마신은 여희원과 사건 해결의 대가로 비단을 요구하면서 지급 기한을 논의하였으며, 교섭의 대가로 건주여진의 군사들이 배치된 상황과 철수하는 정황을 확인할 것을 요구하기도 하였다(『선조실록』 28년 12월 1일)(『선조실록』 28년 12월 5일).

조선에서는 마신 일행이 만포진을 방문하였던 것에 대한 답례를 명분으로 신충일(申忠一)을 파견하여 건주여진을 정탐하고 또 변경 문제에 대한 교섭을 담당하게 하였다. 마신은 이때 신충일과 접촉하면서 전반적인 교섭을 주도하였으며, 누르하치도 필요한 사항은 주로 마신을 통해서 신충일 일행에게 전달하였다(『선조실록』 29년 1월 30일). 마신은 1596년 2월 여희원이 건주여진을 방문하고 돌아올 때 그를 따라 만포진으로 와서 조선의 변장들과 잔치를 하였는데, 이때 조선의 총통(銃筒)을 요구하였고(『선조실록』 29년 3월 2일), 같은 해 4월 9일에는 마신의 부하 동평고(童坪古) 등이 소금을 무역하는 일로 조선을 방문하기도 하였다(『선조실록』 29년 4월 26일).

참고문헌

  • 『명신종실록(明神宗實錄)』
  • 『건주기정도기(建州紀程圖記)』
  • 『동이고략(東夷考略)』
  • 『산중견문록(山中見聞錄)』
  • 장정수, 「16세기 말~17세기 초 조선과 건주여진의 배후 교섭과 신충일의 역할」, 『한국인물사연구』 25,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