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골지(麻骨紙)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마골지 |
한글표제 | 마골지 |
한자표제 | 麻骨紙 |
상위어 | 책지(冊紙) |
관련어 | 고정지(藁精紙), 모절지(麰節紙), 유목지(柳木紙), 책지(冊紙) |
분야 | 교육·출판/출판/종이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손계영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마골지(麻骨紙)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문종실록』 즉위년 10월 10일 |
껍질을 벗긴 삼대와 닥나무를 혼합하여 만든 종이.
내용
1434년(세종 16)에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인쇄하기 위해 조지서(造紙署) 및 전국에 종이를 만들 것을 명하였다. 이때 만들어진 종이가 삼대[麻骨] 등을 닥나무와 혼합한 마골지이다. 삼대 등의 단섬유와 닥나무 등의 장섬유를 5:1로 혼합하면 귀한 닥나무를 적게 쓰고도 질기면서도 책을 박기 적합한 종이가 되었다.
마골지의 생산지는 충청도 지역이었다. 1450년(문종 4) 각 지역에서 책지(冊紙)를 진상할 때 경상도에서 모절지(麰節紙)·유목지(柳木紙), 전라도에서 고정지(藁精紙)·유목지, 충청도에서 마골지, 강원도에서 유목지를 진상하였다. 마골지는 15세기 이전까지 사용되다가 이후에는 없어졌다. 성현(成俔)의 『용재총화(慵齋叢話)』에 세종 때에 고정지·유엽지(柳葉紙)·유목지·의이지(薏苡紙)·마골지·순왜지(純倭紙) 등 매우 정교하고 서책 인출에 좋은 종이들이 있었으나 고정지와 유목지 이외에는 모두 사라졌다고 기록하였다.
용례
前縣監李云卿上書曰 外方進上冊紙 設都會所造之 其楮與軍人 分定各官 聚於都會所 累月立役 父子兄弟 齎糧代立 往來艱甚 臣願 進上冊紙 令京中造紙所造之 各品受賜冊紙 限五六年蠲減 以歇民生 (중략) 乃下傳旨于禮曹曰 前此一年 進上各色冊紙 慶尙道六千五百卷 全羅道四千五百卷 忠淸江原道各二千卷 自今每年 慶尙道進麰節柳木紙各二千卷 全羅道蒿精柳木紙各二千卷 忠淸道麻骨紙一千卷 江原道柳木紙一千卷 其餘竝皆蠲減(『문종실록』 즉위년 10월 10일).
참고문헌
- 『용재총화(慵齋叢話)』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