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심(䔲心)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등심 |
한글표제 | 등심 |
한자표제 | 䔲心 |
상위어 | 약재(藥材) |
동의어 | 등심(燈心) |
분야 | 문화/의학·약학 |
유형 | 약재 |
집필자 | 차웅석 |
산지 | 경상도 |
채취시기 | 양력 8월, 9월 |
효능 | 청심화(淸心火), 이소변(利小便), 치심번실면(治心煩失眠), 요소삽통(尿少澀痛), 구설생창(口舌生瘡)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등심(䔲心) |
골풀(Juncus effusus var. decipiens) 줄기의 수(髓)를 햇볕에 말린 것.
개설
등심(䔲心)은 심장의 열을 내려 주고[淸心火], 소변을 잘 통하게 하며[利小便], 가슴이 두근거리고 잠을 자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하고[治心煩失眠], 소변이 줄고 통증이 수반되는[尿少澁痛] 증상 등에 효능이 있다.
산지 및 유통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경상도에서 생산되는 토산물이다.
약재화 방식 및 효능
양력 8월, 9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열병으로 소변이 진하고 통증이 있으며, 작열하는 통증이 있고, 가슴이 답답하며 심장이 두근거리고 불안한 정신 상태가 지속되는 증상에 많이 응용한다. 등심을 태워서 사용하면 종기를 아물게 하고 열도 내려 주기 때문에 뒤통수가 붓고 열이 나는 증상[乳蛾]를 치료하는 데 사용한다. 약의 효력이 약한 편이라 가벼운 증상에 사용하거나 다른 약을 보조하는 약재로 많이 사용한다. 주사(朱砂)와 같이 사용하면 몸 안의 화기를 내려 주며 정신을 안정시킨다.
참고문헌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 『본초강목(本草綱目)』
- 『동의보감(東醫寶鑑)』
- 신전휘·신용욱, 『향약집성방의 향약본초』,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 이시진, 『(신주해)본초강목 1~15』, 여일출판사, 2007.
-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편, 『동양의학대사전』, 경희대학교출판국,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