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문연(到門宴)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도문연 |
한글표제 | 도문연 |
한자표제 | 到門宴 |
동의어 | 문희연(聞喜宴) |
관련어 | 곡강회(曲江會), 문과(文科), 무과(武科),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
분야 | 정치/인사/선발 |
유형 | 의식·행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최진옥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도문연(到門宴) |
과거시험에 합격한 사람이 고향 집에 돌아가 친지들을 초청하여 베푸는 잔치.
개설
과거 합격을 자축하기 위한 잔치로 문과와 무과, 생원진사시의 합격자가 모두 거행하였다. 친척과 친지들을 불러 큰 잔치를 베풀고, 광대와 악공을 동원하여 풍악을 울리며 즐겼다. 고을의 관리나 스승·친지·이웃을 초청하여 대접하고, 초청에 응한 사람들은 종일 춤추고 노래하며 합격을 축하하였다. 문희연(聞喜宴)이라고도 하였다.
연원 및 변천
『매천집(梅泉集)』에 의하면 당(唐)나라에서 진사 급제자를 발표한 다음, 이들을 장안(長安)의 곡강정(曲江亭)에 모아 놓고 주연을 베풀었는데, 이를 문희연 또는 곡강회(曲江會)라고도 하였다. 도문연의 유래를 문희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절차 및 내용
방방의가 끝나면 왕에게 사은례(謝恩禮)를 올리고 성균관에 가서 공자 신위에 참배하는 알성(謁聖)의 예를 올렸다. 그리고 광대와 재인을 동반하고 3일 동안 거리를 행진하는 유가(遊街)를 하였다. 이를 모두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가 고을의 관리, 스승과 친척·친지를 초청하여 큰 잔치를 베푸는 것이 도문연이었다. 합격한 사람이 귀향할 때 광대를 앞세우고 피리를 불면서 돌아오는 것을 솔창(率倡)이라고 하였다.
도문연이 큰 잔치이기에 적지 않은 비용이 들었다. 살림이 넉넉하지 않으면 빚을 내는 경우도 있었다. 초청을 받은 사람은 과거 합격의 영광을 축하하여 부조를 보냈다.
조선말의 공인(貢人) 지규식(池圭植)의 『하재일기(荷齋日記)』에는 도문연에 부조한 기록이 있었다. 1892년 5월 26일에 조근수(趙近守)의 도문연에 10냥을 부조하였고, 5월 28일에는 함장섭(咸章燮)의 도문연에 10냥을 부조하였다. 5월 29일에는 김진한(金鎭漢) 도문연에 10냥, 정도경(鄭道京) 도문연에 15냥을 부조하였다.
1893년 5월 27일의 일기에 의하면 지규식은 석촌 김교관 댁에서 도문연에 쓸 돈 1,500냥을 빚 얻어 달라는 부탁을 받고, 5월 29일에 도산(陶山) 안생원 댁에서 1,000냥을 5푼 변리로 빚을 얻어 도문연에 쓸 비용을 마련해 주었다. 그 역시 6월 12일에 김교관 댁에 20냥을 부조하고 온종일 춤추고 노래를 부르다 저녁이 되어서 돌아왔다.
참고문헌
- 『매천집(梅泉集)』
- 『하재일기(荷齋日記)』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