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大定)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대정 |
한글표제 | 대정 |
한자표제 | 大定 |
분야 | 연호 |
유형 | 연호 |
지역 | 중국(中國) |
시대 | 금(金) |
왕대 | 세종(世宗)~장종(章宗) |
집필자 | 김가람 |
사용지역 | 중국-금 |
사용왕대 | 세종 |
사용기간 | 1161년~1189년(세종1~장종1)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대정(大定) |
중국(中國) 금(金)나라의 세종(世宗)과 장종(章宗)이 사용한 연호(1161년~1189년).
개설
중국 금나라의 제 5대 황제인 세종과 제 6대 황제인 장종이 사용한 연호이다(1161년~1189년).
세종은 금나라의 역대 왕 가운데 최고의 명군으로 칭송 받는 인물로서, 송(宋)나라와 화평을 맺는 등 국가의 안정화를 위하여 노력한 인물이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의 『세조실록(世祖實錄)』세종1년(1455년) 7월 5일자 기사에서는 사회 안정을 이룩한 중국 군주들을 나열하였는데, 이때 세종의 대정(大定) 연간이 언급된다. 이는 세조가 쿠데타로 정권을 탈취하였기 때문에, 민심 수습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판단에 논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사회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민심을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하면서, 과거에 본받을 군주들을 나열하였고, 이 가운데 대정 연간도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다만 대정 연간에 사회는 어느 정도 안정적이기는 하였으나, 덕을 많이 쌓지 못하여 오래 유지되지 못하였다고 지적하는 것을 보아, 최고의 안정기로 보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세조실록(世祖實錄)』
- 『금사(金史)』
- 이현종 편, 『동양연표(東洋年表)』, 탐구당,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