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당성(南塘城)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평안도 안주(安州)의 남당리(南塘里)에 있는 성곽으로 안주읍성의 외성(外城).

개설

18세기 중엽 안주의 방어체계 정비를 위해 평안병사구선행의 주도로 축조되었다. 안주의 군사적 중요성은 17세기 이후 계속되어 안주읍성의 정비도 지속되었다. 특히 18세기 중엽 대청 무역의 확대와 국내 상업의 발달로 안주 지역의 상업이 급속히 발달하면서 안주성 밖 남당촌(南塘村) 일대에 시장이 크게 형성되었다. 따라서 청천강에 연하여 남당촌 일대를 둘러싸는 외성 축조가 요구되었다. 이에 먼저 청천강을 준설하고 제방을 건설하는 공사에 착수하여 1768년(영조 44) 10월 완성하였다. 곧바로 남당성 공사를 시작하여 이듬해 9월 완공하였다. 일부 석축을 제외하고 토축(土築)으로 이루어진 남당성의 완공으로 안주성 일대의 방어체계는 완비되었다.

위치 및 용도

남당성이 위치한 안주는 북쪽으로는 청천강이 서해로 흘러 들어가고 강을 따라 유역 평야가 발달된 곳으로 동부의 구릉지대를 제외하고 넓은 안주평야가 펼쳐져 있다. 특히 관서의 주요 대로가 만나는 중요한 지점이고 청천강을 따라 수상교통도 발달한 교통의 요지였다. 이에 조선초기에는 안주읍성을 수축하였고 17세기 초인 인조대에는 영변의 병영(兵營)이 안주로 이전하였다. 18세기 이후 대청 무역과 국내 상업이 발달하면서 지형적으로 교통의 요지인 안주는 주위의 물산이 집결하여 매우 번성하였다. 이에 각종 창고와 재화가 성 밖 남당촌 일대에 있어 불시에 적군이 공격하면 적군의 손에 들어갈 우려가 높았다. 이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남당촌 일대에 대한 외성으로서 남당성이 건설되었다.

변천 및 현황

1488년(성종 19) 안주읍성이 완성되고 한동안 안주의 방어체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17세기 들어 북방의 위협이 본격화되자 안주로 평안병영이 이전하는 등 방어체계가 크게 강화되었으나 정묘호란 및 병자호란으로 큰 피해를 입고 17세기 후반까지 정비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18세기 초 서해안 해적 출몰의 경보를 계기로 안주성 일대에 대한 정비에 본격 착수하였다. 1713년(숙종 39) 5월 둘레 3,043보(약 5.5㎞)의 석성(石城)인 안주성의 수축이 완료되고 아울러 안주성을 바라볼 수 있는 규봉(窺峰) 주위의 구릉지대를 둘러싸도록 둘레 1,800보(약 3.3㎞)의 새로운 성을 완성하면서 안주성은 기본적으로 이중의 성곽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18세기 중반 이후 상업 발달로 안주성 밖 남당촌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남당촌을 둘러싼 외성 축조가 요구되었다. 그러나 안주성 바로 앞의 청천강이 18세기 중반 물길이 바뀌어 강줄기가 읍에서 앞쪽으로 더 나아감에 따라 안주성 방어에 있어 청천강이 가진 천연 장애물로서의 역할이 크게 약화되었다. 이에 1768년 2월 청천강을 준설하고 제방을 건설하여 물길을 새로 뚫고 나서 그해 10월 평안병사구선행의 주도로 남당성 축조를 시작하였다. 이듬해인 1769년(영조 45) 9월 남당성을 완공하였다(『영조실록』 45년 9월 25일). 남당성은 흙으로 축조하여 물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어 이후 물에 닿는 부분은 일부 석축으로 개수하는 문제가 제기되었고 일부 여장(女墻) 등을 개축하기도 하였다.

형태

남당성은 안주성의 신흥문(新興門)에서 출발하여 천제봉(天祭峰)을 지나 남장대(南將臺)에 이르는 구간에 건설되었다. 아울러 안주성의 규봉이었던 태조봉(泰造峰)에는 추가로 용도(甬道)가 건설되었다. 남당성은 둘레 1,800보이고 흙으로 축조되었다. 방어시설로는 성문 위에 세운 망루인 초루(譙樓) 5개소, 문 네 군데, 수문 한 군데가 있었다.

관련사건 및 일화

안주성은 청천강이 바로 앞을 지나가고 있는데 영조대 후반 안주성을 둘러싼 청천강의 물길이 바뀌어 강줄기가 읍에서 앞쪽으로 더 나아감에 따라 안주성 방어에 있어 청천강이 가진 천연 장애물로서의 역할이 크게 약화되었다. 이에 청천강을 준설하고 제방을 건설하여 물길을 새로 뚫는 방안이 강구되었다. 1768년 2월 청천강 물길 공사를 시작해 그해 10월에 완성하였다(『영조실록』 44년 2월 17일). 이어서 안주의 남당촌 일대에 대한 외성 축조에 착수하였다.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일성록(日省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여지도서(輿地圖書)』
  • 『만기요람(萬機要覽)』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권내현, 『조선 후기 평안도 재정 연구』, 지식산업사, 2004.
  • 노영구, 「조선후기 평안도 지역 내지 거점방어체계」, 『한국문화』34,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