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루(禁漏)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궁중에서 시각을 알리기 위해 설치한 물시계, 또는 물시계 관청이나 이를 담당하는 관리.

개설

궁중에 설치된 누각(漏刻)을 뜻하며, 금루를 맡은 관청, 혹은 금루관(禁漏官)을 지칭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 물시계를 경루라고 하였는데 조선 세종대에는 자격루(自擊漏)를 금루라고 불렀다. 1398년(태조 7)에 종루 근처에 금루방이라는 관청을 두었는데, 금루방에는 물시계인 경루가 설치되어 있었다. 금루는 궁중에 설치된 물시계로 표준시계 역할을 하였으며, 수시(授時)의 상징이자 왕정의 표상이었다.

내용 및 특징

금루는 궁궐에 설치되어 있는 물시계를 말하는 것으로 왕이 거처하는 대궐에 있다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따라서 금루는 왕조시대에 궁궐에 설치되어 있는 물시계를 가리키며 조선 세종대에는 자격루(自擊漏)를 지칭하기도 했다.

조선시대 왕의 중요한 임무 가운데 하나는 백성들에게 정확한 시각을 알려주는 것이었다. 왕은 백성들에게 일어날 시각과 일할 시간, 쉬는 시간 등을 알려주어 일상생활의 리듬을 규제하고 통제함으로써 사회생활의 질서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시계는 권위와 질서의 상징이었고 통치의 수단이었다.

옛날에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주로 해시계와 물시계를 이용하였다. 해시계는 해 그림자로 태양의 위치를 파악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낮에만 사용할 수 있는 시계이다. 반면에 물시계는 물의 증가량 또는 감소량으로 시간을 측정하기 때문에 24시간 작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었지만 제작이나 관리가 해시계에 비해 불편하고 복잡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낮 시간보다는 밤 시간을 통제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통치 차원에서 물시계가 매우 중요했다.

조선 세종대에는 삼국시대부터 이용하던 물시계의 시각을 알리는 장치를 자동화하고 이를 ‘스스로 치는 시계’라는 뜻의 자격루를 제작하였다. 자격루는 세종의 명으로 장영실(蔣英實)이 완성하였으며, 1434년 경회루 남쪽 보루각(報漏閣)이라는 전각에 설치하여 국가의 표준시계로 삼았다. 이 시계는 도성의 성문을 열고 닫는 밤 10시경 통행금지 시각인 인정(人定)과 새벽 4시경 통금해제 시각인 파루(罷漏), 낮 12시인 오정(午正)을 알려주는 데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서울 사람들에게 아침과 점심, 저녁 시간을 알려주어 생활의 리듬을 잡아주는 등 조선시대 사람들의 생활 표준시계 역할을 하였다. 신호체계는 자격루의 시각을 알려주는 인형이 치는 종소리와 북소리를 듣고 이를 신호로 광화문과 종루에서 북과 종을 쳐서 시각을 알렸으며, 이 소리에 따라 궁궐의 문과 서울의 도성문인 숭례문(崇禮門), 흥인문(興仁門), 돈의문(敦義門)이 열리고 닫혔다.

자격루는 보루각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보루각루(報漏閣漏), 왕이 거처하는 대궐에 있다고 하여 금루(禁漏), 스스로 시간을 알리는 궁궐 시계라 하여 자격궁루(自擊宮漏)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다양하게 불렸다. 세종대에 만들어진 자격루는 그대로 보존되지 못하고 1536년(중종 31)에 다시 만들어졌는데 물항아리인 파수호(播水壺)와 수수호(受水壺)가 현재까지 남아 있다.

한편, 금루는 금루를 담당하는 금루관을 의미로 사용되기 했다. 금루관은 일종의 기술직으로 세종대에 정해진 인원은 40명이었다. 이 사람들이 10명씩 짝을 이뤄 4개조를 이루었고 조별 단위로 하루에 4번 교대로 근무했다. 이들의 일은 낮에 시간을 알리고 밤에는 물시계를 지키는 것이었다. 이들의 승진 기준은 숙직한 횟수였다. 금루를 맡은 자는 종전에 있어서는 7품이 1인, 8품이 1인, 9품이 1인이었는데, 9품 1인을 더 두었다(『세종실록』 7년 11월 29일). 세조대 금루직의 임무는 밤마다 5인이 서로 번갈아 경루를 지키고, 또 모든 제향 하는 곳을 아뢰는 것이었다. 세조대에도 금루의 정원은 세종 대와 마찬가지로 그 중요성이 인정되어 40인에 달하였다(『세조실록』 4년 1월 19일).

변천

조선 세종대에 금루, 즉 궁중 시계인 자격루의 제작으로 조선은 백성들에게 정확한 시간을 알려줄 수 있었다. 그러나 세종대의 금루인 자격루는 여러 번 수리되기도 하고 새로 만들어 이용되기도 하였다. 1434년에 만든 자격루는 1455년에 고장 나서 못 쓰다가 1469년에 수리되어 다시 이용되었으며 1505년에는 창덕궁으로 이관되었다가 다시 경복궁으로 옮겨졌다.

궁중에서 표준시각을 알려주는 임무는 매우 중요하여 성종은 관상감(觀象監)의 관원이 시각을 알려주는 일을 소홀히 한다고 지적하고 금루의 착오를 바로잡으라고 지시하였으며, 보루각 창덕궁에도 추가로 금루를 설치하였다(『성종실록』 22년 11월 5일). 1536년(중종 30) 6월에 금루인 자격루가 하나 만들어져 창덕궁에 설치되었다. 그 구조는 그전 것과 거의 같은 것이지만 초경 3점에 종을 28번 치는 인경과 5경 3점에 종을 33번 치는 파루까지도 자동적으로 알려주게 하였다.

참고문헌

  • 『서운관지(書雲觀志)』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국조역상고(國朝曆象考)』
  • 『제가역상집(諸家曆象集)』
  • 나일성, 『한국천문학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남문현, 『장영실과 자격루』,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 이은성, 『역법의 원리분석』, 정음사, 1985.
  • 전상운, 『세종문화사대계』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 전상운, 『한국과학사』, 사이언스북스, 2000.
  • 남문현, 「혼천의, 자격루, 측우기」, 『한국사시민강좌』23, 1998.
  • Needham, Joseph.,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