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태전(交泰殿)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복궁의 내전 영역에서 왕비의 침전.

개설

경복궁은 1395년(태조 4)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며 조선왕조의 법궁으로 조성된 첫 궁궐이다. 그러나 태종이 주도한 왕자의 난을 겪으면서 1399년(정종 1) 개경으로 환도하여 경복궁은 4년 만에 빈 궁궐이 되었다. 1405년(태종 5) 태종이 한양으로 다시 돌아왔지만 경복궁 대신 창덕궁으로 거처를 정했으며, 이때부터 조선의 궁궐은 법궁과 이궁을 함께 운용하는 체제를 확립하였다(『태종실록』 5년 10월 25일).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경복궁의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이후 1868년(고종 5) 경복궁이 재건되어 왕실이 이어하기까지 276년간 빈터였으며, 유명무실한 존재로 법궁의 역할을 하지 못했다. 이런 배경에서 경복궁은 명확히 초창기 경복궁과 중창기 경복궁으로 나눌 수 있다.

교태전은 초창기 경복궁인 태조 때의 궁궐 영건 안에는 없었던 전각이다. 『조선왕조실록』 기사에 따르면 경복궁의 내전은 보평청(報平廳)을 포함한 그 북쪽의 건물들이었다. 연침은 연생전(延生殿)·경성전(慶成殿)이라 하는 동·서 소침을 따로 둔, 7칸 규모의 좌우에 방을 두었고 사방에 행각을 두른 강녕전(康寧殿)이라는 전각이었다(『태조실록』 4년 9월 29일). 따라서 통상적으로 경복궁의 강녕전은 왕의 침전이고 교태전은 왕비의 침전이라고들 하나, 이는 세종대 이전의 경복궁에는 적용되지 않는 설명이다.

정종이 경복궁을 뒤로하고 돌아간 개경의 궁에도 ‘중궁’의 공간은 존재하였고 창덕궁이 운영되었던 태종대에도 중궁전은 존재하였는데 경복궁의 중궁전은 따로 언급이 없다. 당시 창덕궁 침전의 이름은 ‘대조전(大造殿)’이 아닌 ‘양의전(兩儀殿)’이었다(『세조실록』 7년 12월 19일). 이름 그대로 왕과 왕비가 함께 거처하는 침전이었던 것으로 미루어 동·서 두 개의 소침을 가졌던 강녕전 또한 왕과 왕비가 함께 거처한 침전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교태전이 건립되기 이전까지 경복궁에서 거처하는 왕비에 관한 기록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태조의 후비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는 경복궁을 완공하고 왕실이 한양으로 이어한 지 일 년도 안 되어 승하하였는데, 그동안에도 병증에 시달리느라 주로 외부에서 머물렀다. 한양으로 돌아온 태종은 창덕궁을 영건하여 경복궁에 들어가지 않았다. 세종 때에 이르러 경복궁의 여러 전각이 보수되고 비로소 교태전을 건립하였다. 당시 『조선왕조실록』 기사에는 세종이 교태전을 건립하기 위해 왕과 왕비의 처소를 동궁으로 옮겼다고 하였다(『세종실록』 22년 9월 6일). 그러므로 ‘강녕전’이 창덕궁의 ‘양의전’처럼 왕과 왕비가 쓰던 침전이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그 후 세종은 동궁의 궐내 거취 문제를 논의하면서, 강녕전·사정전 등은 정궁이지만 교태전은 자신이 세운 자그마한 집으로 정궁이 아니라며 교태전을 정의하였다.

세조대는 왕이 신료들과 함께 정사를 의논하고 왕비와 함께 연회를 베풀거나 외국 사신을 불러 나례와 같은 재주를 구경하고 접대하는 일 등을 교태전에서 하기도 하였다.

위치 및 용도

경복궁은 크게 임진왜란 이전과 고종시기의 궁궐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임진왜란으로 왜군에 의해 파괴되기 이전의 경복궁은 현존하는 자료의 부족으로 정확한 배치 상황과 그 형태를 알기가 어렵다. 270여 년 비어 있는 동안 경복궁의 기단과 초석이 보전되어 있어 새로 재건되는 경복궁의 배치가 옛터를 따를 수 있었지만 임진왜란 이전의 상황과 같을 수는 없다.

P00000836 01.PNG

1767년(영조 43) 이후에 그려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경복궁전도(景福宮全圖)」에 의하면, 광화문(光化門)부터 교태전까지 일직선상에 각 문을 비롯한 주요 건물이 놓이고 행각으로 전각 영역을 구획해 놓고 있다. 재건된 경복궁의 주요 건물과 배치 및 순서가 다르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고종 때 교태전은 궁궐의 중앙부에 놓이는데, 이 지도에서 교태전은 후원과 인접하여 궁궐 전각 가운데 가장 북쪽, 굳이 분류하자면 후궁 영역에 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교태전은 강녕전의 북쪽에 있으면서 강녕전과 같은 영역, 한 행각 안에 들어 있고 강녕전의 좌우에 놓인 연생전, 경성전과는 행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교태전 행각 밖 좌우에는 함원전(含元殿), 인지당(麟趾堂)을 배치해 두었고 자미당(紫薇堂), 청연루(淸讌樓) 같은 주변 건물을 거느리고 있었다.

1868년(고종 5) 재건된 경복궁은 초창기 경복궁의 주요 건물이 놓인 축과 다르지 않은 배치를 하고 있다. 하지만 동북쪽에 대비전인 자경전(慈慶殿)이 들어서고 후원 영역이 확대되면서 교태전이 중앙에 들어가게 되었다. 또한 교태전을 둘러싼 부속 건물의 배치가 조밀해지면서 영역을 나누는 행각의 형태가 달라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변천 및 현황

교태전은 1440년(세종 22) 창건되었다(『세종실록』 22년 9월 6일). 세조 때 전각의 사용이 가장 활발하였으나 창덕궁·창경궁을 시어소로 자주 사용하였기 때문에 교태전을 사용했던 기록은 많지 않다. 명종대에는 교태전 처마가 짧아 비바람을 피하기가 어렵다며 처마를 보충하는 공사를 명한다. 당초에 교태전은 전각을 밝게 하기 위해 처마가 짧았는데, 이때 보수를 시작한 것이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고 궁궐의 대부분이 소실되었을 때 교태전도 함께 소실되었다. 그대로 폐허인 채 270여 년이 흘렀고, 1865년(고종 2) 대왕대비 조씨(趙氏)의 공식 표명으로 경복궁의 재건이 시작되었다. 4월 2일의 공식 표명 이후 11일 만에 공역이 시작되었고 그해 6월 2일에 정초, 10월 11일에 상량하였다. 1867년(고종 4) 8월 18일에는 교태전을 비롯한 주요 전각의 전호와 당호, 각 문의 이름이 정해졌던 것으로 보아 주요 전각들의 공역은 끝이 난 듯하다. 다음 해에 왕실이 이어하였고 교태전은 중궁의 거처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1873년(고종 10) 12월 자경전 곁에 있던 순희당(純熙堂)에서 불이 나면서 교태전을 함께 잃었다. 이 화재로 왕실은 창덕궁으로 이어하였고 국가 재정상의 이유로 1875년 5월이 되어서야 복구를 시작하였다. 이때 약간의 변화가 생겼다. 교태전 전후의 건물이 서로 붙어 있고 회랑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에 취약하니 구조를 변경하자는 주장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약간의 변화를 수용하며 1876년(고종 13) 3월에 공사를 완료하였다.

그런데 그해 11월에 또다시 내전 일곽이 화재를 입는다(『고종실록』 13년 11월 4일). 이번에는 교태전에서 발화되었는데, 무려 830여 칸을 잃는 대재앙이었다. 사정전(思政殿)까지 불길이 번지지는 않았지만 자경전, 교태전, 강녕전 등의 주요 전각과 주변 건물을 잃게 되었다. 다음해에 다시 창덕궁으로 이어하였고 1888년(고종 25)까지 내전 일곽이 재건되었고 교태전 북쪽의 향원정(香遠亭)·건청궁(乾淸宮)·집옥재(集玉齋) 일곽이 새로이 조성되거나 증축되었다. 이렇듯 어렵게 완공된 교태전은 1917년 창덕궁 대조전의 화재를 복구하기 위한 대체 건물로 창덕궁으로 이건되었고, 지금까지 창덕궁의 대조전으로 탈바꿈하여 보존되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 훼철된 교태전은 1990년에 ‘경복궁 복원 정비 사업’을 시작하면서 1993년 상량하였고 1995년에 침전 지역이 중건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형태

고종대에 재건된 교태전은 조선과 왕실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경복궁의 중창과 함께 조성되어 조선왕실이 행한 마지막 영건 작업인 1888년의 재건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난의 기록을 함께했던 전각이다. 1888년 재건된 교태전은, 1907년(융희 1) 전후 제작된 것으로 판단되는 「북궐도형(北闕圖形)」과 일부 남아 있는 사진으로 인해 비교적 형태를 정확히 알 수 있다.

P00000836 02.PNG

「북궐도형」에 의하면, 교태전 본체는 정면 9칸 측면 4칸 집이고 동·서 양쪽의 끝 칸은 ‘루(樓)’로 구성되어 있다. 전각의 중앙은 대청마루로 정면 3칸, 측면 2칸 총 6칸의 규모이고 양쪽에 정면 2칸, 측면 2칸씩의 온돌을 배치하였다. 전각의 전·후면은 툇간을 놓아 전면은 모두 툇마루이고, 후면의 대청마루 부분은 툇마루, 온돌방으로 구성되었다. 이 집은 장대석 네 개의 기단 위에 올려놓았고 월대는 없다. 대신 중앙에 5단짜리 계단 셋을 놓았다. 후면에도 중앙에 계단 하나가 있다. 기둥은 각기둥을 썼고 이익공 겹처마 집에 용마루 없는 무량각 팔작지붕을 얹었다.

교태전의 전정 마당은 장방형이고 마당과 교태전을 ‘口’ 형태로 행각이 두르고 있다. 동익각이 ‘원길헌(元吉軒)’, 10칸 규모의 무익공집이고 서익각이 ‘함홍각(含弘閣)’, 13칸 무익공집이다. 후면 마당은 아미산으로 화계(花階)를 조성해 아름답게 꾸몄다. 교태전의 북동쪽 끝, 두 칸에 잇대어 아미산 일부를 침범해 14칸 무익공의 ‘ㄱ’자형 평면 ‘건순합(健順閤)’을 부속채로 들여놓았다. 이 건순합은 1888년(고종 25) 재건 때 들여놓은 것이다.

P00000836 03.PNG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궁궐지(宮闕志)』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임하필기(林下筆記)』「경복궁전도(景福宮全圖)」「북궐도형(北闕圖形)」
  • 문화재청, 『경복궁침전지역 중건공사 보고서』, 문화재청, 200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