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룡산성(蛟龍山城)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교룡산성 |
한글표제 | 교룡산성 |
한자표제 | 蛟龍山城 |
상위어 | 산성(山城) |
관련어 | 교룡산(蛟龍山), 고룡군(古龍郡), 남원부(南原府), 임진왜란(壬辰倭亂), 석축산성(石築山城) |
분야 | 정치/군사·국방/방어시설 |
유형 | 건축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곽낙현 |
장소 | 전라북도 남원시 산곡동(山谷洞) |
관련 인물 | 이정암(李廷馣), 최염(崔濂)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교룡산성(蛟龍山城)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선조실록』 26년 12월 3일, 『선조실록』 30년 5월 9일, 『숙종실록』 38년 6월 14일 |
전라북도 남원시 산곡동에 있는 석축산성으로 임진왜란 당시 호남의 대표적인 방어 산성.
개설
교룡산성의 축성 시기는 확실하지 않으나, 백제 때 축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조선 선조대와 숙종대에 수축이 이루어졌으며 산세가 험준하여 방어에 유리한 지형이었다.
위치 및 용도
전라북도 남원시 산곡동(山谷洞)에 있는 산성으로, 해발 518m인 교룡산(蛟龍山)의 험준함에 의지하여 축조된 석축산성(石築山城)이며 둘레가 3,120m이다. 성안에는 우물이 99개나 있었고, 계곡도 있어서 유사시에 주변의 주민들을 징발하여 성을 지키기에 좋은 곳이었다.
변천 및 현황
남원은 백제 때 고룡군(古龍郡)이라 불렀다 한다. 『삼국사기』 등의 사서에는 교룡(蛟龍)·거물(居勿)·기문(基汶) 등의 명칭도 보이는데, 이는 모두 고룡의 전사(轉寫)로 추정된다. 즉 옮겨 적는 과정에서 표기가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 이 산성을 백제시대에 쌓았다고 확증할 수는 없다. 다만 조선초기에 이미 산성에 군대의 창고가 있었다는 『세종실록지리지』의 기록을 보면 그 연혁은 조선초기 이전으로 소급된다. 『동국여지승람』에도 교룡산성이 남원부 서쪽 7리(약 3㎞)에 있다는 기사가 보인다.
임진왜란 중인 1593년(선조 26)에 비변사에서 왕에게 아뢰기를, “전일 전라감사이정암(李廷馣)의 장계에 의하면, 도내의 산성을 살펴보니 남원의 교룡산성, 담양의 금성산성(金城山城), 순천의 건달산성(乾達山城), 강진의 수인산성(修仁山城), 정읍의 입암산성(笠巖山城)이 모두 자연의 형상이 요새로 되어 있어 난을 당하여 화를 피하는 데는 이보다 좋은 데가 없다고 하였습니다.”라고 하여 성의 수축이 이루어졌다(『선조실록』 26년 12월 3일). 그 후 1597년(선조 30)에는 남원부사최염(崔濂)이 주변 일곱 고을의 군사를 징발하여 수축하였고(『선조실록』 30년 5월 9일) 숙종 때에도 중수 공사가 있었다(『숙종실록』 38년 6월 14일).
형태
성은 교룡산의 동쪽 수구(水口)에 동문을 설치하고, 산세에 따라 양쪽의 능선을 감싸고 있는 석축산성이다. 동문은 성문을 보호하기 위해 문 주위에 반원 모양으로 쌓은 옹성(饔城)에 둘러싸여 있어 남쪽에서 성벽을 따라 들어가다가 다시 서쪽으로 ㄱ자형으로 꺾인 곳에 홍예문이 있다. 홍예문의 측면은 장대석을 3단으로 쌓고, 그 위의 액부(額部)는 아홉 개의 돌을 아치형으로 맞춘 것이다.
관련사건 및 일화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남원성의 관군과 백성은 모두 교룡산성으로 옮겨와 일대 결전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원군으로 와 있던 명나라 장수 양원이 이러한 사정을 잘 모르고 평지인 남원성에서 싸우기를 고집하여 교룡산성을 버리고 나왔다가 남원성에서 참패를 당한 일이 있다.
참고문헌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6 - 지리산 자락』, 2009, 돌베개.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