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만적(郭萬績)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곽만적 |
한글표제 | 곽만적 |
한자표제 | 郭萬績 |
분야 | 인물 |
유형 | 문신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숙종 |
집필자 | 이현숙 |
자 | 중희(仲熙) |
호 | 춘수당(春睡堂) |
출신 | 양반 |
성별 | 남자 |
출생 | 1653년(효종 4) |
사망 | 1720년(숙종 46) |
본관 | 청주(淸州) |
주거지 | 서울[京] |
묘소소재지 | 충청남도 공주(公州) |
증조부 | 곽희태(郭希泰); 성균관 직강(直講) |
조부 | 곽지흠(郭之欽); 사헌부 집의(執義) |
부 | 곽창징(郭昌徵); 돈녕부 도정(都正) |
모_외조 | 함평이씨(咸平李氏); 도정(都正) 이초로(李楚老)의 딸→(자녀) 3남 |
형제 | (형) 곽세적(郭世績) (동생) 곽희적(郭熙績) |
처_장인 | 단양우씨(丹陽禹氏); 공조 정랑(正郞) 우창하(禹昌夏)의 딸→(자녀) 3남 4녀 |
자녀 | (1자) 곽진한(郭鎭漢) (2자) 곽진기(郭鎭基); 군수(郡守) (3자) 곽진정(郭鎭鼎) (1녀) 이한기(李漢紀)의 처 (2녀) 이의백(李義白)의 처 (3녀) 이부(李敷)의 처 (4녀) 이종추(李宗樞)의 처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곽만적(郭萬績) |
총론
[1653년(효종 4)∼1720년(숙종 46) = 68세.] 조선 후기 숙종 때의 문신. 행직(行職)은 사간원 헌납(獻納)이다. 자(字)는 중희(仲熙)이고, 호(號)는 춘수당(春睡堂)이다.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거주지는 서울[京]이다. 아버지는 돈녕부 도정(都正)곽창징(郭昌徵)이고, 어머니 함평이씨(咸平李氏)는 도정(都正)이초로(李楚老)의 딸이다.
숙종 시대 활동
1684년(숙종 10) 사마시(司馬試)에서 생원(生員)으로 합격하였는데, 나이가 32세였다.[<사마방목>] 1699년(숙종 25) 증광(增廣) 문과의 갑과(甲科)로 급제하였는데, 나이가 47세였다.[<문과방목>] 바로 제용감 직장(直長)에 보임되었다. 이후 의금부 도사(都事)⋅형조 좌랑(佐郞)⋅호조 좌랑을 역임하고, 양성현감(陽城縣監)으로 나갔다.
1706년(숙종 32) 아버지의 상(喪)을 당하였는데, 상례(喪禮)를 치른 후, 호조 정랑에 임명되었는데, 곧 이어 서흥현감(瑞興縣監)이 되어 외방으로 나갔다.
1713년(숙종 39) 사간원 정언(正言)이 되었으며, 사헌부 지평(持平)을 거쳐서 1715년(숙종 41) 세자시강원 필선(弼善)이 되었으나, 그해에 어머니의 상을 당하였다. 상례를 마친 후, 1717년(숙종 43) 사간원 헌납(獻納)에 임명되었다. 그때 노론의 영수이며 좌의정이이명(李頤命)이 숙종과 독대(獨對)를 하고난 후, 연잉군(延礽君: 후일의 영조)이 병약한 세자의 뒤를 잇도록 정하였는데, 숙종이 연잉군으로 하여금 세자 대리청정을 명하자 곽만적은 그 불가함을 수차례 간언하였다. 그러나 대리청정을 주장하는 반대파의 탄핵을 받고 관직에서 물러난 후 고향으로 돌아가 당호를 ‘춘수당(春睡堂)’이라 하고 글을 지으며 여생을 보냈다.
1720년(숙종 46) 7월 24일 세상을 떠났는데, 향년이 68세였다.
묘소와 후손
묘소는 충청남도 공주(公州)에 있고,西堂) 이덕수(李德壽)가 지은 묘갈명(墓碣銘)이 남아있다.
부인 단양우씨(丹陽禹氏)는 공조 정랑(正郞)우창하(禹昌夏)의 딸인데, 자녀는 3남 4녀를 두었다. 장남은 곽진한(郭鎭漢)이고, 차남은 군수(郡守)곽진기(郭鎭基)이며, 삼남은 곽진정(郭鎭鼎)이다. 장녀는 이한기(李漢紀)의 처이고, 차녀는 이의백(李義白)의 처이고, 삼녀는 이부(李敷)의 처, 사녀는 이종추(李宗樞)의 처가 되었다.
참고문헌
- 『숙종실록(肅宗實錄)』
- 『국조방목(國朝榜目)』
- 『사마방목(司馬榜目)』
- 『검재집(儉齋集)』
- 『도암집(陶菴集)』
- 『서당사재(西堂私載)』
- 『야당유고(野堂遺稿)』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옥천집(玉川集)』
- 『풍고집(楓皐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