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형산(高荊山)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453년(단종 1)~1528년(중종 23) = 76세.] 조선 중기 성종~중종 때의 문신. 행직(行職)은 찬성(贊成)이다. 자(字)는 정숙(靜叔)이다. 시호는 익평(翼平)이다. 본관은 횡성(橫城)이고, 거주지도 횡성(橫城)이다. 아버지는 전옥서 승(典獄署丞)고사신(高思信)이다.

성종 시대 활동

1480년(성종 11) 사마시(司馬試)에 생원(生員)으로 합격하였는데, 나이가 28세였다.[<사마방목>]

1483년(성종 14) 식년(式年) 문과의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는데, 나이가 31세였다.[<문과방목>]

연산군 시대 활동

연산군 때 해주목사, 함경북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역임하였다.

중종 시대 활동

중종 때 형조·호조·공조·병조의 판서 등 요직을 차례로 역임하고 찬성(贊成)에 이르렀다. 특히 수리에 밝고 행정능력이 뛰어나서 오랫동안 병조와 호조 판서를 지냈다.

1522년(중종 17) 나이가 70세가 되어 치사(致仕)하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조광조(趙光祖) 일파의 정치개혁을 반대하는 훈구파의 한 사람으로서 현량과(賢良科)의 실시 등을 극력 반대하였는데, 1519년(중종 14) 남곤(南袞) 일파와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사림파를 축출하였다.

성품과 일화

성품이 질박하고 정직하며 부지런하고 검소하였다. 오랫동안 군(軍)의 병사(兵事)와 금전과 양곡을 관리하는 직임(職任)을 맡았는데, 일처리가 매우 정밀하였으며, 일을 정비한 것이 많았다.[『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묘소

묘소는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 정암3리 망백마을에 있다.

참고문헌

  •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 『중종실록(中宗實錄)』
  • 『국조방목(國朝榜目)』
  • 『사마방목(司馬榜目)』
  • 『검재집(儉齋集)』
  • 『경수당전고(警修堂全藁)』
  • 『국조보감(國朝寶鑑)』
  • 『기묘록보유(己卯錄補遺)』
  • 『기묘록속집(己卯錄續集)』
  • 『기재잡기(寄齋雜記)』
  • 『남계집(南溪集)』
  • 『남파집(南坡集)』
  • 『대산집(大山集)』
  • 『동각잡기(東閣雜記)』
  • 『동고유고(東皐遺稿)』
  • 『명미당집(明美堂集)』
  • 『묵재집(默齋集)』
  • 『번암집(樊巖集)』
  • 『벽오유고(碧梧遺稿)』
  • 『사재집(思齋集)』
  • 『순암집(順菴集)』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암유고(旅菴遺稿)』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용재집(容齋集)』
  • 『우복집(愚伏集)』
  • 『운석유고(雲石遺稿)』
  • 『은봉전서(隱峯全書)』
  • 『음애집(陰崖集)』
  • 『일두집(一蠹集)』
  • 『임하필기(林下筆記)』
  • 『자저(自著)』
  • 『정문익공유고(鄭文翼公遺稿)』
  • 『정암집(靜菴集)』
  • 『지퇴당집(知退堂集)』
  • 『지호집(芝湖集)』
  • 『청강집(淸江集)』
  • 『충암집(冲庵集)』
  • 『충재집(冲齋集)』
  • 『패관잡기(稗官雜記)』
  • 『학포집(學圃集)』
  • 『한강집(寒岡集)』
  • 『호음잡고(湖陰雜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