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언백(高彦伯)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고언백 |
한글표제 | 고언백 |
한자표제 | 高彦伯 |
분야 | 인물 |
유형 | 무신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선조~광해군 |
집필자 | 이현숙 |
봉작 | 제흥군(濟興君) |
출신 | 양반 |
성별 | 남자 |
사망 | 1608년(광해군 즉위) |
본관 | 제주(濟州) |
자녀 | (1자) 고덕해(高德海) (2자) 고덕재(高德載)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고언백(高彦伯) |
총론
[생년미상∼1608년(광해군 즉위)] 조선 중기 선조~광해군 때의 무신. 행직(行職)은 경상좌도 병마절도사이다. 봉작(封爵)은 제흥군(濟興君)이다. 본관은 제주(濟州)이다.
선조 시대 활동
교동의 향리로서 무과에 급제하였고, 군관(軍官)·변장(邊將)을 역임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영원군수(寧遠郡守)로서 대동강 근처에 주둔하고 있던 적을 상대로 기습 공격을 하여 많은 적을 죽이고 말 300여필을 빼앗는 등 군공을 세웠다. 고언백이 양주(楊州)로 돌아가 군사를 모아 적군을 치겠다고 청하자, 선조는 그해 7월 특별히 그를 양주목사(楊州牧使)에 임명하고 능침(陵寢)을 보호하도록 하였다. 그는 양주에서 장사(壯士)를 모집한 후, 산속의 험준한 곳에 진을 치고 매복하였다가 왜적을 공격하면서 크게 전공을 세웠다. 한때 왜군이 태릉(泰陵)을 침범한 적도 있었으나, 고언백이 수비를 잘 하면서 여러 능도 잘 보전될 수 있었다. 그 공으로 가자(加資)되었으며, 양주목사 겸 경기방어사(楊州牧使兼京畿防禦使)로 승진하였다.
1593년(선조 26) 조선에 온 명나라 군사를 도와 서울 탈환에 공을 세웠다. 이어 경상좌도 병마절도사로 승진하여 양주·울산·경주 등지에서 전공을 세웠다.
1596년(선조 29) 어머니의 임종이 다가왔다는 이유로 사임하면서 체직되었으나,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이 일어나면서 경상도 방어사(防禦使)가 되어 전공을 세웠다. 난이 수습된 뒤, 적을 토벌하고 능을 수호하는데 공을 세웠다고 하여,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宣武功臣) 3등에 녹훈되고, 제흥군(濟興君)에 봉하여졌다.
광해군 시대 활동
1608년(광해군 즉위) 광해군이 왕위에 오른 후, 일부 대신들과 명나라에서 그의 형 임해군(臨海君)을 왕으로 즉위시킬 것을 주장하였는데, 이를 불안하게 여긴 광해군이 임해군을 역모로 몰아 제거하였다. 당시 임해군의 심복으로 지목된 고언백은 모진 형벌을 받았으나 끝내 자복하지 않고 죽었으며, 아들 2명은 섬으로 유배되었다.
성품과 일화
성품이 웅걸(雄傑)하였고, 용맹함과 지략이 뛰어났다.[『동림집(東林集)』] 백사 이항복(李恒福)은 고언백이 이시언(李時言), 김응서(金應瑞), 이광악(李光岳)과 함께 임진왜란의 크고 작은 싸움을 백여 차례나 치르는 동안에 일찍이 좌절한 적이 없었고, 한마(汗馬)의 노고와 함께 적을 참획(斬獲)한 것이 많기로 항상 여러 장수의 선두였다며 극찬하였다.[『백사집(白沙集)』]
후손
슬하에 아들 2명을 두었는데, 장남은 고덕해(高德海)이고, 차남은 고덕재(高德載)이다.
참고문헌
- 『선조실록(宣祖實錄)』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 『가휴집(可畦集)』
- 『갑진만록(甲辰漫錄)』
- 『고대일록(孤臺日錄)』
- 『광해조일기(光海朝日記)』
- 『국조보감(國朝寶鑑)』
- 『귀록집(歸鹿集)』
- 『기언(記言)』
- 『기재사초(寄齋史草)』
- 『난중잡록(亂中雜錄)』
- 『남계집(南溪集)』
- 『내헌집(耐軒集)』
- 『눌은집(訥隱集)』
- 『도암집(陶菴集)』
- 『동강집(東岡集)』
- 『동림집(東林集)』
- 『만회집(晩悔集)』
- 『망우집(忘憂集)』
- 『명재유고(明齋遺稿)』
- 『모하당집(慕夏堂集)』
- 『문월당집(問月堂集)』
- 『미수기언(眉叟記言)』
- 『백곡집(栢谷集)』
- 『백사집(白沙集)』
- 『백헌집(白軒集)』
- 『번암집(樊巖集)』
- 『상촌고(象村稿)』
- 『상촌집(象村集)』
- 『서애집(西厓集)』
- 『서하집(西河集)』
- 『숙재집(肅齋集)』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약포집(藥圃集)』
-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연재집(淵齋集)』
- 『연천집(淵泉集)』
- 『오리집(梧里集)』
- 『오봉집(五峯集)』
- 『용주유고(龍洲遺稿)』
- 『우계집(牛溪集)』
- 『우복집(愚伏集)』
- 『운석유고(雲石遺稿)』
- 『운암잡록(雲巖雜錄)』
- 『월사집(月沙集)』
-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 『일사기문(逸史記聞)』
- 『입재유고(立齋遺稿)』
- 『재조번방지(再造藩邦志)』
- 『창석집(蒼石集)』
- 『취사집(炊沙集)』
- 『팔곡집(八谷集)』
- 『하담파적록(荷潭破寂錄)』
- 『한음문고(漢陰文稿)』
- 『해동역사(海東繹史)』
- 『후광세첩(厚光世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