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무대(景武臺)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종대에 경복궁 후원에 조성한 문과와 무과의 시험 장소이자 군대 사열 장소.

개설

고종대에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북문인 신무문(神武門) 북쪽에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그곳을 경무대라 하였다. 중심 전각은 융문당(隆文堂)과 융무당(隆武堂)이다. 경무대는 융문당, 융무당과 함께 경복궁 중건 공사가 거의 마무리된 1868년(고종 5) 9월에 조성되었다.

위치 및 용도

경복궁 후원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며 훤하게 트인 지형이다. 이곳에서 왕이 친림하는 최종 시험인 문무전시(文武殿試)를 시행하거나 망배례(望拜禮) 등을 행하였다. 행사에 참석하는 종친과 관료, 유생과 군인 등은 서쪽의 문인 추성문(秋成門)으로 출입하였다.

변천 및 현황

경복궁 신무문 북쪽은 원래 경복궁 궁역 밖이었지만 고종대 이전에는 민간의 출입이 통제되었다. 이곳에는 신하가 왕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회맹제(會盟祭)를 치르는 회맹단이 있었다. 숙종대에 회맹제를 하기 위하여 나아갈 때 경복궁에 들렀는데 이때 김수항(金壽恒)이 “경복궁의 북문 밖은 바로 회맹단으로 삼청동에서 멀지 않아 경치가 좋은데도 후원에 들어 있지 않다.”고 한 사실을 보면, 이 일대는 조선후기에도 경복궁 후원의 범위 밖이었음을 알 수 있다(『숙종실록』 6년 8월 28일).

고종대에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창덕궁 후원의 춘당대(春塘臺)처럼 경복궁의 북쪽 일대를 과거시험과 군대 사열, 휴식을 위한 공간 등으로 만들었는데 그 중심 지역이 바로 경무대였다. 현재는 청와대의 영역이다.

관련사건 및 일화

1873년(고종 10) 고종은 즉위 10년의 친정 실시를 전후하여 경무대에서 문과와 무과의 정시(庭試), 전시(殿試)를 개최하고 합격한 유생의 전강(殿講)에 친림하며 왕실 종친을 위한 행사를 열었다(『고종실록』 10년 8월 19일). 일례로 1871년(고종 8) 경무대에서 대종회(大宗會)를 개최하여 선파유생(璿派儒生)을 대상으로 응제(應製)를 실시하여 100명을 선발하였다(『고종실록』 8년 3월 20일). 이러한 행사는 고종이 자신의 권한을 확대해 가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던 행사라고 볼 수 있다.

1885년(고종 22) 이후에는 융무당에서 시사(試射)나 군영의 조련에 친림하는 횟수가 증가하여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이전까지 지속적으로 시행되었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북궐도형(北闕圖形)」
  • 김세은, 「고종초기(1863~1873) 국가의례 시행의 의미」, 『조선시대사학보』31, 200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