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덕(景德)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경덕 |
한글표제 | 경덕 |
한자표제 | 景德 |
분야 | 연호 |
유형 | 연호 |
지역 | 중국(中國) |
시대 | 송(宋) |
왕대 | 진종(眞宗) |
집필자 | 김가람 |
사용지역 | 중국-송 |
사용왕대 | 진종 |
사용기간 | 1004년~1007년(진종8~진종11)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경덕(景德) |
중국(中國) 송(宋)나라의 진종(眞宗) 대에 사용한 연호(1004년~1007년).
개설
중국 송나라의 제 3대 황제인 진종이 사용한 5개의 연호 가운데 2번째 연호이다(1004년~1007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서 경덕(景德) 연호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등장한다. 우선 경덕 연간의 송나라 외교를 참고하기 위해서이다. 진종은 1004년 거란(契丹)이 침입하자 <찬저우(澶州)의 맹(盟)>이라 불리는 화의를 성립시켜 북방의 군사 관계를 안정시켰다. 그러나 이 화의로 송나라와 거란의 지위는 사대관계에서 동등한 관계로 바뀌었다. 동시에 거란에게 보내는 세폐 등으로 재정 부담이 증가하는 결과를 낳는 등 긴 맥락에서 이 외교는 송나라의 실패한 외교로 꼽힌다.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이때의 외교를 참고하여 거란과의 화친이 급한 것이 아님을 강조하였다.
또한 조선(朝鮮)에서 정치 · 사회 · 문화적 변화 및 자연 재해 등의 현상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중국의 예를 참고하던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덕 연호가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 외에도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서는 지방의 유래 및 변화를 설명하는 가운데 연대(年代)를 표시하기 위하여 경덕 연호를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 『태종실록(太宗實錄)』
- 『세종실록(世宗實錄)』
-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세조실록(世祖實錄)』
- 『성종실록(成宗實錄)』
- 『중종실록(中宗實錄)』
- 『명종실록(明宗實錄)』
- 『숙종실록(肅宗實錄)』
- 『정조실록(正祖實錄)』
- 『송사(宋史)』
- 이현종 편, 『동양연표(東洋年表)』, 탐구당,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