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운진(開雲鎭)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상좌도의 7진 가운데 하나.

개설

동래부 소속의 진보(鎭堡)로 무관인 정3품의 수군절도사가 주재하는 경상좌수영에서 관장했다. 부산진(釜山鎭)·다대진(多大鎭)·서생진(西生鎭)·두모진(豆毛鎭)·서평진(西平鎭)·포이진(包伊鎭)과 함께 경상좌도의 7진 가운데 하나이다.

변천 및 현황

『비변사등록』에 비변사에서 좌수영(左水營)에서 관리하는 부산진·다대진·서생진·개운진·서평진·두모진·포이진 등 7개 진이 모두 가까운 변경의 중요한 길목에 있음에도 장수와 군졸들은 기강이 무너져 태만하고 고을에는 권장할 만한 기구가 없어 군사 업무와 변방의 방비가 지극히 소홀하니 이에 절미해서 3백 석을 좌수영과 동래에 이미 시행한 전례에 따라 매년 가분곡의 모조를 획급하여 좋은 쪽으로 나누어 주도록 할 것을 청하자 윤허했다는 기록이 있다.

1876년(고종 13) 의정부에서 개운(開雲)과 두모(豆毛) 두 진(鎭)이 모두 다 왜관(倭館)과 10리(약 4㎞)도 안 되는 거리에 있으며, 또 두 진이 서로 지척도 안 되는 곳에 마주하고 있는데, 두모진이 더욱 가까워서 초량진(草梁鎭)의 업무에 지장이 많다는 이유로 두모진은 혁파하고, 해당 진의 일은 개운만호(開雲萬戶)로 하여금 주관하도록 하며 그 관사와 종들은 담당하는 곳에 소속시킬 것을 청하여 윤허를 받았다(『고종실록』13년 10월 22일).

1866년(고종 3) 병인양요와 1871년(고종 8) 신미양요 등의 외침을 겪은 조선 정부는 국방과 치안을 위한 관제 개정, 군제개편, 군사시설의 확충과 경비의 강화, 군기(軍器)의 정비와 실험 등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1872년(고종 9) 전국 각 지역의 군사시설 등에 대한 파악의 일환으로 총 458매의 군현지도를 제작하였다. 그 가운데 개운진 지도는 경상도에서 만들어 올린 지도이다. 이 지도에는 개운진뿐만 아니라 인근의 부산진, 두모진, 왜관까지 같이 그려져 있다.

참고문헌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