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군 녀 복합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osamneung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잔글 (→‎정의)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태실조사카드
 
{{태실조사카드
|사진=OGPC_Bokeok_Front_View01.JPG
+
|사진=SSNPC033_001.jpg
|사진출처=서삼릉 연산군 왕녀 복합 태실 전경
+
|사진출처=서삼릉 태실 집안지 연산군 왕녀 복합 태실 전면
 
|식별자=PC033
 
|식별자=PC033
 
|분류=왕자공주 태실
 
|분류=왕자공주 태실
45번째 줄: 45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태실 지식 관계망===
+
===계보도 지식 관계망===
{{NetworkGraph | title=복합_태실.lst}}
+
{{NetworkGraph | title=복합_계보도.lst}}
 
 
  
 
=='''시각자료'''==
 
=='''시각자료'''==
55번째 줄: 54번째 줄:
 
===스틸샷 갤러리===
 
===스틸샷 갤러리===
  
 +
<gallery>
 +
File:SSNPC033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복합 태실 전면
 +
File:SSNPC033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복합 태실 후면
 +
</gallery>
 +
 +
<gallery mode="slideshow">
 +
File:SSNPC033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복합 태실 전면
 +
File:SSNPC033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복합 태실 후면
 +
</gallery>
  
 
=='''수치지형도'''==
 
=='''수치지형도'''==

2020년 2월 2일 (일) 16:16 기준 최신판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연산군 왕녀 복합 태실(燕山君 王女 福合 胎室)
서삼릉 태실 집안지 연산군 왕녀 복합 태실 전면
식별자 PC033
분류 왕자공주 태실
한글명 연산군 왕녀 복합 태실
한자명 燕山君 王女 福合 胎室
영문명 Placenta Chamber of Princess Bokhap
피안자 명칭 복합(福合)
피안자 이칭 이복합(李福合)
피안자 부 연산군(燕山君)
피안자 모 미상
피안자 생년월일 1501
피안자 몰년월일 미상
안태 연월일 1501.06.17 『복합옹주 태지석』
안태지 기록 황해도 황주군 인교면 『서삼릉 복합 태실 후면 각자』
안태지 주소 황해도 황주군 인교면 능산리
문화재 지정여부 미지정
이안 연월일 1929 추정
이안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안지 좌표(위도) 37°66'45.61"N,
이안지 좌표(경도) 126°86'06.29"E
지문 弘治十四年辛酉生,王女福合胎,弘治十四年辛酉,六月,十七日,藏于黃州郡仁橋面,昭和四年,月,日移藏
지문 찬자 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지문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태항아리 복억옹주 태지석 및 외항아리 일습
태항아리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내용[편집]

연산군의 왕녀로 어머니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이 태실은 북한 황해도 황주에 조성된 태실로 현재 정밀한 조사를 하기 힘들다. 추후 남북의 여건에 따라 재조사가 필요하다.

지식 관계망[편집]

계보도 지식 관계망[편집]


시각자료[편집]

파노라마[편집]

스틸샷 갤러리[편집]

수치지형도[편집]

전자지도[편집]

참고 자료[편집]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편집]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편집]

주석[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