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 태실지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1번째 줄: 51번째 줄:
 
성종 태실은 1458년 아기태실로 처음 조성되었다. <ref>『成宗胎誌石』, 1458, 皇明天順元年七月三十日戌時生 懿敬世子男慶新胎 天順二年三月初一日戊子子時藏.</ref>
 
성종 태실은 1458년 아기태실로 처음 조성되었다. <ref>『成宗胎誌石』, 1458, 皇明天順元年七月三十日戌時生 懿敬世子男慶新胎 天順二年三月初一日戊子子時藏.</ref>
  
초안지는 경기도 광주부 경안역(慶安驛) 뒤로<ref>『正祖實錄』 8년(1784) 9월 15일 정묘, 成宗大王胎封廣州 慶安驛後.</ref> 가봉은 1471년에 이루어졌다.<ref>『成宗大王胎室碑』, 1823, 成化七年閏九月日立.</ref> 1578년, 1625년, 1823년에 걸쳐 태실비가 개수된 사실이 『성종대왕태실비』에 기록되어있어 성종 태실이 지속적인 관리를 받아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위의 금석문, 萬曆六年五月日改立 順治九年十月日改立 道光三年五月日改立.</ref>
+
초안지는 경기도 광주부 경안역(慶安驛) 뒤로<ref>『正祖實錄』 8년(1784) 9월 15일 정묘, 成宗大王胎封廣州 慶安驛後.</ref> 가봉은 1471년에 이루어졌다. 1578년, 1625년, 1823년에 걸쳐 태실비가 개수된 사실이 『성종대왕태실비』에 기록되어있어 성종 태실이 지속적인 관리를 받아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28년 9월경 이왕직에서는 전국의 태실을 체계적 관리하겠다는 명목으로 서삼릉으로 이안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성종태실과 태실비를 창경궁 내로 이전하였다. 그 이유는 역대 국왕의 가봉태실 가운데 가장 상태가 좋은 것이 성종태실이기에 이를 옮겨 향후 조성할 서삼릉 태실의 표본으로 삼고 연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라 선전했다.<ref>「新設할 標本은 成宗의 胎室」,《매일신보》, 1928년 9월 10일.</ref><ref>나각순, 『창경궁과 문묘』, 종로문화원, 2005, 138~139쪽.</ref> 하지만 실제 서삼릉 이안지에는 이왕직의 선전과 달리 태주의 이름과 초안지 주소, 건립연도만을 단순히 기입한 표석비를 다수 조성해 이를 나열하여 태실이 가졌던 역사경관적 의미를 퇴색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1928년 9월경 이왕직에서는 전국의 태실을 체계적 관리하겠다는 명목으로 서삼릉으로 이안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성종태실과 태실비를 창경궁 내로 이전하였다. 그 이유는 역대 국왕의 가봉태실 가운데 가장 상태가 좋은 것이 성종태실이기에 이를 옮겨 향후 조성할 서삼릉 태실의 표본으로 삼고 연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라 선전했다.<ref>「新設할 標本은 成宗의 胎室」,《매일신보》, 1928년 9월 10일.</ref><ref>나각순, 『창경궁과 문묘』, 종로문화원, 2005, 138~139쪽.</ref> 하지만 실제 서삼릉 이안지에는 이왕직의 선전과 달리 태주의 이름과 초안지 주소, 건립연도만을 단순히 기입한 표석비를 다수 조성해 이를 나열하여 태실이 가졌던 역사경관적 의미를 퇴색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Seosamneung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젝트: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