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원자 묘

SeosamneungWiki.
Jih8288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월 13일 (월) 02:40 판 (→‎정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고종원자 묘(高宗元子 墓)
서삼릉 왕자공주 분묘 집장지 고종원자 묘
식별자 RT015
분류 분묘
한글명 고종원자 묘
한자명 高宗元子 墓
영문명 Tomb of Emperor Gojong's Grand prince
피장자 명칭 고종 원자(高宗 元子)
피장자 이칭 미상
피장자 부 고종(高宗)
피장자 모 명성황후(明成皇后) 민씨(閔氏)
피장자 생년월일 1871.11.04
피장자 몰년월일 1871.11.08
초장 연월일 미상
초장지 기록 경성부(京城府) 북아현정(北阿峴町)고종원자묘비
초장지 기록1 양주 의령원 좌강(左岡) 축좌미향(丑坐未向) 선원계보기략
초장지 기록2 고양군 연희면 의령원(懿寧園) 국내(局內) 능원묘천봉안
문화재 지정여부 미지정
이장 연월일 1936.05.18
이장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장지 좌표(위도) 37°66'49.51"N
이장지 좌표(경도) 126°85'95.20"E
지문 元子之墓
지문 찬자 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지문 소장처 조선왕릉 서부지구관리소



목차

내용

고종과 명성황후 민씨 소생 원자의 묘이다.

1871년(고종 8) 11월 4일에 출생하였고, 같은 달 8일에 대변이 통하지 않은 증상으로 사망하였다. 초장지는 의소세손의 묘역인 의령원 좌강에 안장되었다가 1936년 서삼릉 경내로 이장되었다.


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권8, 고종 8년(1871) 11월 4일 경인(庚寅) 1번째 기사

Quote-left blue.png 《원자가 탄생하다》

전교하기를,

"중궁전이 오늘 묘시(卯時)에 원자(元子)를 탄생하였으니, 여러 가지 거행은 해당 조로 하여금 규례대로 하게 하라."

하였다.

初四日。 敎曰: "中宮殿, 今日卯時, 誕生元子。 諸般擧行, 令該曹依例爲之。"

Quote-right blue.png
출처: 『고종실록』권8, 고종 8년(1871) 11월 4일 경인(庚寅) 1번째 기사



『고종실록』권8, 고종 8년(1871) 11월 4일 경인(庚寅) 3번째 기사

Quote-left blue.png 《원자의 탄생을 축하하며 왕대비에게 치사, 전문, 표리를 올리기로 하다》

전교하기를,

"국가의 복이 무궁하여 원자가 탄생하였다. 이는 우리 종묘사직이 묵묵히 도운 덕분이지만, 또한 우리 자성께서 성대한 공적과 큰 덕망을 지니시어 손자를 보는 경사를 불러들인 것이기도 하니, 그 아름다움을 드날리고 싶은 마음 간절하기만 하다. 겸양하시는 거룩한 뜻을 받들어 감히 크게 의식을 벌리지는 못하지만, 대궐 뜰에서 진하하는 날 치사(致詞), 전문(箋文), 표리(表裏)를 대왕대비전께 친히 올리겠다."

하였다.

敎曰: "邦籙無疆, 元良誕生, 我宗社之所默佑陰騭, 亦我慈聖豐功大德, 有以致含飴之慶也。 揄徽揚美, 誠忱攸切。 而仰體撝謙之盛, 雖不敢張大其儀, 當於庭賀之日, 親上致詞、箋文、表裏于大王大妃殿矣。"

Quote-right blue.png
출처: 『고종실록』권8, 고종 8년(1871) 11월 4일 경인(庚寅) 3번째 기사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4일 경인(庚寅) 4/22 기사

Quote-left blue.png 전교하기를, “중궁전이 오늘 묘시에 원자를 낳았다. 여러 가지 거행을 해조로 하여금 규례대로 하게 하라.” 하였다.

傳曰, 中宮殿, 今日卯時, 誕生元子, 諸般擧行, 令該曹依例爲之。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4일 경인(庚寅) 4/22 기사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4일 경인(庚寅) 5/22 기사

Quote-left blue.png 정원이 아뢰기를, “약방의 세 제조가 삼가 중궁전의 순산과 원자의 탄생 소식을 듣고 기뻐 어쩔 줄 몰라 하며 와서 청대(請對)하였습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시원임 대신, 종정경, 의빈, 여러 각신, 유신, 예조 당상이 함께 입시하도록 하라.” 하였다.

政院啓曰, 藥房三提調, 伏聞中宮殿順産, 元子誕降, 不勝懽欣慶抃, 來詣請對矣。 傳曰, 時原任大臣·宗正卿·儀賓·諸閣臣·儒臣·禮堂, 同爲入侍。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4일 경인(庚寅) 5/22 기사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4일 경인(庚寅) 13/22 기사

Quote-left blue.png 예조가 아뢰기를, “전교하기를, ‘중궁전이 오늘 묘시에 원자를 낳았다. 여러 가지 거행을 해조로 하여금 규례대로 하게 하라.’ 하였습니다. 삼가 등록을 상고해 보건대, 3일째 되는 날 종묘, 영녕전, 사직, 경모궁에 사유를 고하고 7일째 되는 날 교지를 반포하고 진하(陳賀)하였습니다. 이번에도 그대로 거행할 것인지 감히 여쭙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그대로 거행하도록 하라.” 하였다.

禮曹啓曰, 傳曰, 中宮殿, 今日卯時, 誕生元子, 諸般擧行, 令該曹依例爲之事, 命下矣。 謹稽謄錄, 則告宗廟·永寧殿·社稷·景慕宮, 行於第三日, 領敎陳賀, 行於第七日, 今亦依此擧行乎? 敢稟。 傳曰, 依此擧行。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4일 경인(庚寅) 13/22 기사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4일 경인(庚寅) 14/22 기사

Quote-left blue.png 또 아뢰기를, “이번에 원자가 탄생한 경사로 진하할 때 대전, 대왕대비전, 왕대비전, 대비전, 중궁전의 진하 전문(箋文), 방물(方物), 물선(物膳)을 규례대로 봉진할 일을 경외에 지시하고, 전문의 머리글을 문임으로 하여금 짓도록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전교하기를, “윤허한다. 지방 도의 방물과 물선은 그만두도록 하라.” 하였다.

又啓曰, 今此元子誕生, 稱慶陳賀時, 大殿·大王大妃殿·王大妃殿·大妃殿·中宮殿, 陳賀箋文, 方物·物膳, 依例封進事, 知委京外, 箋文頭辭, 令文任撰出, 何如? 傳曰, 允。 外道方物·物膳, 置之。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4일 경인(庚寅) 14/22 기사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5일 신묘(辛卯) 6/13 기사

Quote-left blue.png 정원이 아뢰기를, “방금 사직서 관원이 와서 말하기를, ‘이번에 원자 탄생 고유제를 행하기 위해 신위판(神位版)을 내어 안치하고 봉안(奉安)할 때에 제조 1명이 참석해야 하는데, 도제조 이유원은 약방에 직숙하였고 제조 심승택(沈承澤)은 신병이 있어서 참석할 수 없습니다.’ 하였습니다. 제조를 즉시 패초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전교하기를, “제조를 체차하고 전망 단자를 들이라.” 하였다.

政院啓曰, 卽者社稷署官員來言, 今此元子誕生告由祭, 神位版出安奉還時, 提調一員, 當爲進參, 而都提調李裕元藥院直, 提調沈承澤有身病, 不得進參云, 提調卽爲牌招, 何如? 傳曰, 提調許遞, 前望入之。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5일 신묘(辛卯) 6/13 기사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5일 신묘(辛卯) 8/13 기사

Quote-left blue.png 또 아뢰기를, “방금 사직서 관원이 와서 말하기를, ‘이번에 원자 탄생 고유제를 행하기 위해 신위 판을 내어 안치하고 봉안할 때에 제조 1명이 참석해야 하는데, 제조 이유원은 약방에 직숙하였고 제조 조석우는 신병이 있어 참석할 수 없습니다.’ 하였습니다. 제조를 즉시 패초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전교하기를, “체차하고 전망 단자를 들이라.” 하였다.

又啓曰, 卽者社稷署官員來言, 今此元子誕生告由祭, 神位版出安奉還時, 提調一員, 當爲進參, 而都提調李裕元藥院直, 提調曺錫雨有身病, 不得進參云, 提調卽爲牌招, 何如? 傳曰, 許遞, 前望入之。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5일 신묘(辛卯) 8/13 기사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6일 임진(壬辰) 6/11 기사

Quote-left blue.png 약방이 구전으로 아뢰기를, “오늘은 중궁전이 분만하신 지 3일째 되는 날입니다. 세수하고 머리 감는 길일을 택해 들여야 하겠으나, 수고스럽게 움직이시거나 바람을 쐬게 되지 않도록 십분 신중을 기해야 할 듯합니다. 그리고 원자궁을 보호하는 절목은 더욱 신중히 하지 않을 수 없으니, 수건으로 대충 닦기만 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감히 아룁니다.” 하니, 알았다고 답하였다.

藥房口傳啓曰, 今日乃中宮殿, 分娩後第三日也。 洗沐吉時擇入, 而不無勞動觸風之慮, 似當十分謹愼, 元子宮保護之節, 尤不可不愼, 只用手巾略拭, 恐爲得宜, 敢啓。 答曰, 知道。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6일 임진(壬辰) 6/11 기사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8일 갑오(甲午) 2/13 기사

Quote-left blue.png 원자가 갑자기 세상을 떠난 뒤에 대전, 대왕대비전, 왕대비전, 대비전, 중궁전에 종친, 의빈, 내각, 정원, 옥당이 구전으로 문안하니, 알았다고 답하였다. 백관이 단자로 문안하니, 알았다고 답하였다.

元子卒逝後, 大殿·大王大妃殿·王大妃殿·大妃殿·中宮殿, 宗親·儀賓·內閣·政院·玉堂口傳問安。 答曰, 知道。 百官單子問安。 答曰, 知道。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8일 갑오(甲午) 2/13 기사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8일 갑오(甲午) 9/13 기사

Quote-left blue.png 전교하기를, “오늘 해시에 원자가 대변이 통하지 않는 증상으로 불행을 당하고 말았다. 산실청을 철수시키도록 하라.” 하였다.

傳曰, 今日亥時, 元子以大便不通之症, 不幸, 産室廳撤罷。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8일 갑오(甲午) 9/13 기사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8일 갑오(甲午) 10/13 기사

Quote-left blue.png 전교하기를, “일전에 삼가 묘사(廟社)와 비궁(閟宮)에 경건히 고유제를 지냈었다. 원자가 지금 이미 불행을 당하고 말았으니 일로 보면 고유제만 거행해야 하겠다만, 이는 전례가 없는 일이다. 예조 판서가 묘당으로 가서 의논하여 즉시 거행하도록 하라.” 하였다.

傳曰, 日前祗告廟社與閟宮矣。 元子今旣不幸, 則事當只行告由, 而此無已例, 禮判就議廟堂, 卽爲擧行。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8일 갑오(甲午) 10/13 기사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9일 을미(을미) 6/12 기사

Quote-left blue.png 예조가 아뢰기를, “전교하시기를, ‘일전에 묘사와 비궁(閟宮)에 경건히 고유제를 지냈었다. 원자가 지금 이미 불행을 당하였으니 일로 보면 고유제만 거행하야 하겠다만, 이는 전례가 없는 일이다. 예조 판서가 묘당으로 가서 의논하여 즉시 거행하도록 하라.’고 하셨습니다. 신 이삼현(李參鉉)이 삼가 하교하신 대로 묘당에 가서 의논하였더니, 여러 대신들이 ‘앞서 이미 경건히 고유하였는데 지금 불행을 당하였으니 사유만 고하는 것이 합당하다.’ 하였습니다. 그대로 거행하되, 종묘, 영녕전, 사직, 경모궁의 고유문을 이번 11월 10일에 거행할 일로 분부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하니, 전교하기를, “윤허한다. 고유문만 거행하도록 하라.” 하였다.

禮曹啓曰, 傳曰日前祗告廟社與閟宮矣。 元子今旣不幸, 則事當只行告由, 而此無已例, 禮判就議廟堂, 卽爲擧行事, 命下矣。 臣參鉉, 謹依下敎, 就議廟堂, 則諸大臣以爲, 前此而旣祗告矣, 今其不幸, 則只行告由, 允合事宜云矣。 依此擧行, 而宗廟·永寧殿·社稷·景慕宮告由文, 今十一月初十日擧行事, 分付, 何如? 傳曰, 允。 只行告由文擧行。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70책(탈초본 129책), 고종 8년(1871) 11월 9일 을미(을미) 6/12 기사



『승정원일기』2773책(탈초본 130책), 고종 9년(1872) 2월 29일 계미(癸未) 7/9 기사

Quote-left blue.png 돈녕부가 아뢰기를, “어첩(御牒)과 보책(譜冊)을 수정하는 일은 이미 초기(草記)하여 윤허받았습니다. 지난해 원자(元子)의 탄강과 졸서는 규례대로 입록(入錄)해야 할 것이고, 왕자는 전례대로 첨록(添錄)하고 옹주의 졸서도 첨록하되, 왕자는 아직 봉작(封爵)하지 않았더라도 이름자는 수록(修錄)해야 할 것입니다. 이는 으레 대내에서 써서 내렸거니와, 이번에도 써서 내리겠습니다. 감히 아룁니다.” 하니, 알았다고 전교하였다.

敦寧府啓曰, 御牒·譜冊修整事, 已爲草記, 允下矣。 昨年元子誕降與卒逝, 當依例入錄, 王子, 依前例添錄, 翁主卒逝, 亦爲添錄, 而王子, 雖未封爵, 名字當爲修錄, 則例是自內書下矣。 今番, 亦爲書下之意, 敢啓。 傳曰, 知道。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73책(탈초본 130책), 고종 9년(1872) 2월 29일 계미(癸未) 7/9 기사



『승정원일기』2774책(탈초본 130책), 고종 9년(1872) 3월 22일 병오(丙午) 8/14 기사

Quote-left blue.png 김성근이 종친부의 말로 아뢰기를, “《선원보략(璿源譜略)》 및 《국조어첩(國朝御牒)》을 수정하는 일에 대한 초기(草記)를 이미 윤허하여 내리셨습니다. 작년에 원자(元子)가 탄생한 것과 죽은 사실을 마땅히 전례대로 기록해 넣고, 왕자는 전례대로 죽은 사실을 추가로 기록하여야 하며, 죽은 옹주 역시 추가로 기록하여야 합니다. 그런데 왕자의 경우에는 비록 봉작(封爵)을 받지 않았더라도 이름을 마땅히 수정하여 기록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으레 대내에서 써서 내렸습니다. 그러니 이번에도 역시 써서 내리시기 바랍니다. 감히 아룁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알았다. 왕자의 이름은 먼저 어릴 적의 이름으로 써서 내리겠다. 그러니 이것으로 수정하여 기록하라.” 하였다.

金聲根, 以宗親府言啓曰, 璿源譜略及國朝御牒修正事, 已爲草記允下矣, 昨年元子誕降與卒逝, 當依例入錄, 王子依前例添錄卒逝, 翁主亦爲添錄, 而王子雖未封爵, 名字當爲修錄, 而例是自內書下矣, 今番亦爲書下之意, 敢啓。 傳曰, 知道。 王子名字, 先以幼名, 當書下矣, 以此修錄, 可也。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74책(탈초본 130책), 고종 9년(1872) 3월 22일 병오(丙午) 8/14 기사



『승정원일기』2774책(탈초본 130책), 고종 9년(1872) 3월 22일 병오(丙午) 9/14 기사

Quote-left blue.png 또 돈녕부의 말로 아뢰기를, “《국조어첩》 및 《선원보략》을 수정하는 일에 대해 초기(草記)를 이미 윤허하여 내리셨습니다. 작년에 원자가 탄생한 것과 죽은 사실을 마땅히 전례대로 기록해 넣고, 왕자는 전례대로 추가로 기록하여야 하며, 옹주가 죽은 사실 역시 추가로 기록하여야 합니다. 그런데 왕자의 경우에는 비록 봉작을 받지 않았더라도 이름을 마땅히 수정하여 기록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으레 대내에서 써서 내렸습니다. 그러니 이번에도 역시 써서 내리시기 바랍니다. 감히 아룁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알았다. 왕자의 이름은 이미 종친부에 써서 내렸다.” 하였다.

又以敦寧府言啓曰, 御牒譜冊修整事, 巳爲草記允下矣, 昨年元子誕降與卒逝, 當依例入錄, 王子依前例添錄, 翁主卒逝, 亦爲添錄, 而王子雖未封爵, 名字當爲修錄, 則例是自內書下矣, 今番亦爲書下之意, 敢啓。 傳曰, 知道。 王子名字, 已爲書下於宗府矣。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74책(탈초본 130책), 고종 9년(1872) 3월 22일 병오(丙午) 9/14 기사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현재의 묘역

초장 추정지

갤러리

동영상

전자지도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능원묘천봉안(陵園墓遷奉案)』, 1929 ~ 194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