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 태실지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정조 태실(正祖 胎室) | |
파일:OGPC Jeongjo Front View01.JPG 강원 영월군 영월읍 정양리의 정조 태실 터 전경 |
|
식별자 | PC017 |
---|---|
분류 | 국왕 태실 |
한글명 | 정조 태실 |
한자명 | 正祖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King Jeongjo |
피안자 명칭 | 정조(正祖) |
피안자 이칭 | 이산(李祘)·자(字) 형운(亨運)·호(號) 홍재(弘齋)·선황제(宣皇帝)·건릉(建陵) |
피안자 부 | 장조(莊祖) |
피안자 모 | 헌경왕후(獻敬王后) 홍씨(洪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752.10.28 |
피안자 몰년월일 | 1800.08.18 |
안태 연월일 | 1753.01.21 『정조 태지석』 |
안태지 기록 | 강원도(江原道) 영월부(寧越府) 하동면(下東面) 정양리(正陽里) 계족산(鷄足山) 서쪽 기슭 계좌정향(癸坐丁向) 『영조실록』 |
안태지 기록1 | 영월(寧越) 『정조실록』 |
안태지 기록2 | 강원 영월군 하동면 『서삼릉 정조 태실 후면 각자』 |
안태지 좌표(위도) | 37°16'26.02"N |
안태지 좌표(경도) | 128°49'42.29"E |
안태지 주소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정양리467 |
문화재 지정여부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4호 |
이안 연월일 | 1929 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66'45.61"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86'06.29"E |
지문 | 壬申年,九月,二十二日,丑時生,元孫阿只氏胎,乾隆十八年,正月,二十一日,午時藏 |
지문 찬자 | 조선 예조(朝鮮 禮曹)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석물 | 정조 가봉태실 안태지 옆 산 중턱에 복원 |
태항아리 | 정조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목차
- 1 정의
- 2 관련 기록
- 2.1 조선왕조실록
- 2.1.1 『영조실록』70권, 영조 28년(1752) 11월 25일 임오(壬午) 3번째 기사
- 2.1.2 『영조실록』79권,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2번째 기사
- 2.1.3 『정조실록』4권, 정조 1년(1777) 12월 24일 병진(丙辰) 1번째 기사
- 2.1.4 『정조실록』25권, 정조 12년(1788) 1월 13일 병자(丙子) 1번째 기사
- 2.1.5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8월 10일 갑인(甲寅) 3번째 기사
- 2.1.6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0월 9일 임자(壬子) 2번째 기사
- 2.1.7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8일 신사(辛巳) 1번째 기사
- 2.1.8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8일 신사(辛巳) 4번째 기사
- 2.1.9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11일 갑신(甲申) 1번째 기사
- 2.2 승정원일기
- 2.2.1 『승정원일기』 1088책 (탈초본 60책) 영조 28년(1752) 11월 23일 경진(庚辰) 15/19 기사
- 2.2.2 『승정원일기』 1088책 (탈초본 60책) 영조 28년(1752) 11월 24일 신사(辛巳) 23/28 기사
- 2.2.3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6일 임술(任戌) 7/15 기사
- 2.2.4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18/38 기사
- 2.2.5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27/38 기사
- 2.2.6 『승정원일기』 1410책 (탈초본 78책) 정조 1년(1777) 12월 24일 병진(丙辰) 9/12 기사
- 2.2.7 『승정원일기』 1447책 (탈초본 79책) 정조 3년(1779) 8월 25일 병자(丙子) 20/21 기사
- 2.2.8 『승정원일기』 1607책 (탈초본 86책) 정조 10년(1786) 윤 7월 29일 경자(庚子) 21/23 기사
- 2.2.9 『승정원일기』 1629책 (탈초본 86책) 정조 11년(1787) 7월 6일 신미(辛未) 25/28 기사
- 2.2.10 『승정원일기』 1635책 (탈초본 87책) 정조 11년(1787) 10월 10일 갑진(甲辰) 19/20 기사
- 2.2.11 『승정원일기』 1638책 (탈초본 87책) 정조 12년(1788) 1월 13일 병자(丙子) 20/21 기사
- 2.2.12 『승정원일기』 1647책 (탈초본 87책) 정조 12년(1788) 10월 28일 병진(丙辰) 26/40 기사
- 2.2.13 『승정원일기』 1686책 (탈초본 89책) 정조 15년(1791) 1월 28일 계묘(癸卯) 16/16 기사
- 2.2.14 『승정원일기』 1722책 (탈초본 91책) 정조 17년(1793) 10월 29일 기축(己丑) 11/12 기사
- 2.2.15 『승정원일기』 1836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801) 4월 16일 임술(任戌) 26/26 기사
- 2.2.16 『승정원일기』 1840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8월 10일 갑인(甲寅) 19/19 기사
- 2.2.17 『승정원일기』 1840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8월 16일 경신(庚申) 21/22 기사
- 2.2.18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10월 9일 임자(壬子) 42/42 기사
- 2.2.19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10월 15일 무오(戊午) 27/27 기사
- 2.2.20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10월 17일 경신(庚申) 19/30 기사
- 2.2.21 『승정원일기』 1843책 (탈초본 98책) 순조 1년(1301) 11월 11일 갑신(甲申) 10/26 기사
- 2.2.22 『승정원일기』 1843책 (탈초본 98책) 순조 1년(1301) 11월 18일 신묘(辛卯) 22/23 기사
- 2.1 조선왕조실록
- 3 지식 관계망
- 4 시각자료
- 5 수치지형도
- 6 전자지도
- 7 참고 자료
- 8 주석
정의
조선 추존 국왕 장조와 헌경왕후 홍씨 소생의 조선 22대 왕, 정조(正祖)의 안태지(安胎地).
관련 기록
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70권, 영조 28년(1752) 11월 25일 임오(壬午) 3번째 기사
『영조실록』79권,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2번째 기사
![]() |
《비변사에서 원손궁의 장태사는 종2품으로 고쳐서 계하할 것을 청하다》
비변사에서 아뢰기를, "원손궁(元孫宮)의 장태사(藏胎使)는 청컨대 종2품으로 고쳐서 계하(啓下)하게 하소서." 하니, 윤허하였다. 備邊司啓: "元孫宮藏胎使, 請以從二品改啓下。" 允之。 |
![]() |
출처: 『영조실록』79권,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2번째 기사 |
『정조실록』4권, 정조 1년(1777) 12월 24일 병진(丙辰) 1번째 기사
『정조실록』25권, 정조 12년(1788) 1월 13일 병자(丙子) 1번째 기사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8월 10일 갑인(甲寅) 3번째 기사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0월 9일 임자(壬子) 2번째 기사
![]() |
《영월부에 있는 선대왕의 태실 가봉을 거행하도록 명하다》
영월부(寧越府)에 있는 선대왕(先大王)의 태실(胎室) 가봉(加封)을 이달 27일에 거행하도록 하라고 명하였다. 寧越府先大王胎室加封, 命以今月二十七日擧行。 |
![]() |
출처: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0월 9일 임자(壬子) 2번째 기사 |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8일 신사(辛巳) 1번째 기사
![]() |
《사당을 주토한 뒤에 종묘에 고유하는 일에 관한 하교》
차대하였다. 임금이 예조 판서를 앞으로 나오라고 명하고 하교하기를, "태실(胎室)을 가봉(加封)한 뒤에 별단(別單)을 닦아서 들이는 것이 옳겠다." 하였다. 次對。 上命禮判進前, 敎曰: "胎室加封後, 別單修入可矣。" |
![]() |
출처: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8일 신사(辛巳) 1번째 기사 |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8일 신사(辛巳) 4번째 기사
![]() |
《선대왕의 태봉 금표 안의 민가 민전을 헐지 말고 묵히지 말라고 명하다》
선대왕(先大王)의 태봉(胎封) 금표(禁標) 안에 있는 민가(民家)와 민전(民田)을 헐지 말고 묵히지 말라고 명하였다. 命先大王胎封禁標內民家民田, 勿毁勿陳。 |
![]() |
출처: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8일 신사(辛巳) 4번째 기사 |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11일 갑신(甲申) 1번째 기사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1088책 (탈초본 60책) 영조 28년(1752) 11월 23일 경진(庚辰) 15/19 기사
『승정원일기』 1088책 (탈초본 60책) 영조 28년(1752) 11월 24일 신사(辛巳) 23/28 기사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6일 임술(任戌) 7/15 기사
![]() |
《職名이 없는 任鏡觀에게 口傳으로 軍職을 붙여줄 것을 청하는 吏曹의 草記》
李之億, 以吏曹言啓曰, 元孫阿只氏藏胎使從事官前正言任鏡觀, 時無職名, 令該曹口傳付軍職, 何如? 傳曰, 允。 |
![]() |
출처: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6일 임술(任戌) 7/15 기사 |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18/38 기사
![]() |
金致仁, 以備邊司言啓曰, 元孫宮藏胎使, 當以從二品差送, 而該曹誤以正二品啓下云。當該銓堂, 推考警責。發行擇日, 在於明日, 事勢甚急。分付該曹, 以從二品, 卽爲改啓下, 以爲趁卽發行之地, 何如?
傳曰, 允。 |
![]() |
출처: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18/38 기사 |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27/38 기사
![]() |
《朴正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吏曹口傳政事, 檢閱二, 朴正源·李命植單付, 元孫阿只氏藏胎使尹光毅。 |
![]() |
출처: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27/38 기사 |
『승정원일기』 1410책 (탈초본 78책) 정조 1년(1777) 12월 24일 병진(丙辰) 9/12 기사
『승정원일기』 1447책 (탈초본 79책) 정조 3년(1779) 8월 25일 병자(丙子) 20/21 기사
『승정원일기』 1607책 (탈초본 86책) 정조 10년(1786) 윤 7월 29일 경자(庚子) 21/23 기사
『승정원일기』 1629책 (탈초본 86책) 정조 11년(1787) 7월 6일 신미(辛未) 25/28 기사
『승정원일기』 1635책 (탈초본 87책) 정조 11년(1787) 10월 10일 갑진(甲辰) 19/20 기사
『승정원일기』 1638책 (탈초본 87책) 정조 12년(1788) 1월 13일 병자(丙子) 20/21 기사
『승정원일기』 1647책 (탈초본 87책) 정조 12년(1788) 10월 28일 병진(丙辰) 26/40 기사
![]() |
李洪載, 以觀象監官員, 以領事提調意啓曰, 寧越胎室加封事, 今春陳達, 旣承待秋成擧行之命矣。今則滌場不遠, 分付該曹, 使之卜日擧行, 何如?
傳曰, 待豐更稟, 可也。 |
![]() |
출처: 『승정원일기』 1647책 (탈초본 87책) 정조 12년(1788) 10월 28일 병진(丙辰) 26/40 기사 |
『승정원일기』 1686책 (탈초본 89책) 정조 15년(1791) 1월 28일 계묘(癸卯) 16/16 기사
『승정원일기』 1722책 (탈초본 91책) 정조 17년(1793) 10월 29일 기축(己丑) 11/12 기사
『승정원일기』 1836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801) 4월 16일 임술(任戌) 26/26 기사
『승정원일기』 1840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8월 10일 갑인(甲寅) 19/19 기사
『승정원일기』 1840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8월 16일 경신(庚申) 21/22 기사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10월 9일 임자(壬子) 42/42 기사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10월 15일 무오(戊午) 27/27 기사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10월 17일 경신(庚申) 19/30 기사
![]() |
宋祥濂, 以禮曹言啓曰, 今此莊陵奉審及胎室書標事進去, 本曹堂上所用奉使印信一顆, 依前例齎去之意, 敢啓。
傳曰, 知道。 |
![]() |
출처: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10월 17일 경신(庚申) 19/30 기사 |
『승정원일기』 1843책 (탈초본 98책) 순조 1년(1301) 11월 11일 갑신(甲申) 10/26 기사
『승정원일기』 1843책 (탈초본 98책) 순조 1년(1301) 11월 18일 신묘(辛卯) 22/23 기사
지식 관계망
태실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스틸샷 갤러리
수치지형도
전자지도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