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신공주 묘

SeosamneungWiki.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숙신공주 묘(淑愼公主 墓)
서삼릉 왕자공주 분묘 집장지 숙신공주 묘
식별자 RT005
분류 분묘
한글명 숙신공주 묘
한자명 淑愼公主 墓
영문명 Tomb of Princess SookShin
피장자 명칭 숙신공주(淑愼公主)
피장자 이칭 미상
피장자 부 효종(孝宗)
피장자 모 인선왕후(仁宣王后) 장씨(張氏)
피장자 생년월일 1635
피장자 몰년월일 1637
초장 연월일 미상
초장지 기록 고양 청담촌 선원계보기략
초장지 기록1 고양 서산(西山) 경기도감영장계등록
초장지 기록2 고양군 신도면 지축리 능원묘천봉안
문화재 지정여부 미지정
이장 연월일 1936.05.17
이장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장지 좌표(위도) 37°66'49.51"N
이장지 좌표(경도) 126°85'95.20"E
지문 淑愼公主之墓
지문 찬자 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지문 소장처 조선왕릉 서부지구관리소



목차

내용

조선의 제17대 왕인 효종(孝宗)과 인선왕후(仁宣王后) 장씨의 장녀인 숙신공주(1635~1637) 묘 이다.

1769년(영조 45) 3월 사당을 중건하였다. 초장지는 현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으로, 1936년 5월에 서삼릉 경내로 이장하였다.

관련 기록

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49권, 정조 22년(1798) 9월 7일 정묘(丁卯) 2번째 기사

Quote-left blue.png 예조가 아뢰기를, "내수사(內需司)가 보고해 온 데 따라 인성 대군(仁城大君)의 묘소에 한식(寒食) 제사를 드릴 때의 제품(祭品) 기수(器數)를 마련하여 별단(別單)으로 들입니다. 그런데 수진궁(壽進宮)의 등록(謄錄)을 가져다 보건대, 병신년 4월 전교하신 데 따라 본궁(本宮)에서 각 사판(祠版)에 대한 시향(時享)과 묘제(墓祭)를 행할 때의 찬품(饌品) 및 의절(儀節)을 고루 나누어 규정으로 만든 뒤 지금까지 준행해 오고 있었습니다. 그 가운데 사판에 대한 시향은 2월과 8월 중순의 정일(丁日)에 행하고 묘제는 매년 한식에 행하는 등 모두가 예(禮)의 뜻에 맞았고, 제품의 기수를 정해놓은 것도 늘리거나 줄일 만한 것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명선 공주(明善公主)와 명혜 공주(明惠公主)의 경우 사판에 대해 시향을 드릴 때와 묘제를 올릴 때의 찬품에 약간 차이가 있는 만큼 한 가지 예로 거행하는 것이 마땅할 듯합니다만, 이것이 어디까지나 전교하신 데 따라 준행해 온 것인 이상 아래에서 감히 바꾸자고 경솔하게 의논드릴 수 없는 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사향(祀享)하는 의절(儀節)을 궁속(宮屬)에게 상세히 물어 보았더니, 대군(大君)·왕자(王子)·공주(公主)·옹주(翁主)의 사판에 시향을 드릴 때는 애당초 내시(內侍)가 제사 일을 맡는 예가 없이 본궁의 궁인(宮人) 스스로가 거행해 왔고, 대군·왕자·귀인(貴人)의 묘제를 행할 때는 내시가 그곳에 나아가 제사 일을 맡았다고 하였습니다. 똑같은 사향인데 내시가 어떤 때는 맡고 어떤 때는 맡지 않는 것은 예제(禮制)에 흠이 되는 일인 듯싶고, 또 정해진 규정도 없으니, 이 뒤로는 사판에 대한 시향이든 아니면 묘소에서 지내는 절향(節享)이든 간에 모두 내시를 차정(差定)해 거행하도록 하소서." 하였다. 【수진궁에서 담당하는 궁내의 사판 및 산소(山所)의 제품(祭品)·제의(祭義)·제일(祭日)에 관한 별단은 다음과 같다. 1. 5묘(廟)에서 15위(位)의 사판을 봉안(奉安)하고 있는데, 평원 대군(平原大君)·강령 부부인(江寧府夫人)·제안 대군(齊安大君)·상산 부부인(商山府夫人)·영창 대군(永昌大君)·용성 대군(龍城大君) 이상 6위를 1묘에 봉안하고, 의창군(義昌君)·양천 군부인(陽川郡夫人)·평선군(平善君)·동원 군부인(東原郡夫人) 이상 4위를 1묘에 봉안하고, 숙신 공주(淑愼公主) 1위를 1묘에 봉안하고, 명선 공주(明善公主)·명혜 공주(明惠公主) 이상 2위를 1묘에 봉안하고, 귀인(貴人) 김씨(金氏), 소의(昭儀) 유씨(劉氏) 이상 2위를 1묘에 봉안하고 있다. 이상은 모두 봄 가을의 가운데 달 가운데 정일에 시향을 거행한다. 2. 묘소에 20위를 봉안하고 있다. 평원 대군·강령 부부인·제안 대군·상산 부부인·영창 대군·명선 공주·명혜 공주 이상 7위의 묘소는 광주(廣州)에 있고, 용성 대군·의창군·양천 군부인 이상 3위의 묘소는 풍양(豊壤)에 있고, 낙선군(樂善君)·동원 군부인 이상 2위의 묘소는 청송(靑松)에 있고, 숙신 공주의 묘소는 서산(西山)에 있고, 귀인 김씨의 묘소는 망우리(忘憂里)에 있고, 소의 유씨의 묘소는 진관(津寬)에 있는데, 매년 한식에 묘소에서는 한 번만 제사를 지낸다. 대군 아지씨(大君阿只氏)의 묘소는 광주에 있고, 숙의(淑儀) 나씨(羅氏)의 묘소는 서산에 있고, 숙원(淑媛) 장씨(張氏)의 묘소는 연서(延曙)에 있고, 명빈(明嬪) 김씨(金氏)의 묘소는 아차산(峩嵯山)에 있고, 증 경빈(慶嬪) 이씨(李氏)의 묘소는 풍양에 있는데, 이상은 매년 한식에 제사를 설행한다.】

禮曹啓言: "因內需司所報, 仁城大君墓寒食祭祭品器數, 磨鍊別單以入。 而取見壽進宮謄錄, 則丙申四月因傳敎, 本宮各祠版時享墓祭饌品儀節, 分排定式, 至今遵行。 祠版時享, 則行於二八月中丁, 墓祭行於每年寒食, 儘合禮意, 而祭品精約, 無可增損。 至於明善、明惠兩公主祠版時享墓祭饌品, 略有同異, 似宜一例, 而此是因傳敎遵行, 自下有不敢輕議變改。 祀享儀節, 詳問宮屬, 則大君、王子、公主、翁主祠版時享, 初無內侍將事之例, 而自本宮宮人擧行, 大君、王子、貴人墓, 則內侍進去將事云。 同是祀享, 而內侍將事, 或行或否, 似欠禮制, 亦無定規, 此後則無論祠版時享及墓所節享, 請皆以內侍差定擧行。 【壽進宮所在宮內祠版及山所祭品、祭儀、祭日別單。 一, 五廟奉安十五位祠版, 平原大君、江寧府夫人、齊安大君、商山府夫人、永昌大君、龍城大君以上六位一廟奉安, 義昌君、陽川郡夫人、平善君、東原郡夫人以上四位一廟奉安, 淑愼公主一位一廟奉安, 明善公主、明惠公主以上二位一廟奉安, 貴人 金氏、昭儀 劉氏以上二位一廟奉安。 以上春秋仲朔中丁日設行。 一, 墓所奉安二十位。 平原大君、江寧府夫人、齊安大君、商山府夫人、永昌大君、明善公主、明惠公主以上七位墓在廣州, 龍城大君、義昌君、陽川郡夫人以上三位墓在豐壤, 樂善君、東原郡夫人以上二位墓在靑松, 淑眞公主墓在西山, 貴人 金氏墓在忘憂里, 昭儀 劉氏墓在津寬, 一只祭每年寒食墓所。 大君阿只氏墓在廣州, 淑儀 嚴氏墓在西山, 淑媛張氏墓在延曙, 明嬪 金氏墓在峩嵯山, 贈慶嬪 李氏墓在豐壤, 以上每年寒食祭設行。】

Quote-right blue.png
출처: 『정조실록』49권, 정조 22년(1798) 9월 7일 정묘(丁卯) 2번째 기사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 4년(1911) 12월 2일 (양력) 1번째 기사

Quote-left blue.png 이왕직 사무관(李王職事務官)을 파견하여 총독부(總督府) 농상공부(農商工部) 출장원들이 각릉(各陵) 각원(各園) 각묘(各墓)의 경계를 정하고 조정할 때 입회하게 하였다. 【광릉(光陵), 경릉(敬陵), 창릉(昌陵), 온릉(溫陵), 희릉(禧陵), 태릉(泰陵), 효릉(孝陵), 강릉(康陵), 명릉(明陵), 익릉(翼陵), 홍릉(弘陵), 예릉(睿陵), 순창원(順昌園), 순강원(順康園), 소경원(昭慶園), 소녕원(昭寧園), 수길원(綏吉園), 휘경원(徽慶園), 숙의 나씨묘(淑儀羅氏墓), 안빈 이씨묘(安嬪李氏墓), 숙신 공주묘(淑愼公主墓), 소의 유씨묘(昭儀劉氏墓), 영빈 김씨묘(寧嬪金氏墓), 귀인 김씨묘(貴人金氏墓), 영조 대왕(英祖大王)의 첫째딸 묘(墓), 태왕 전하의 넷째아들 묘, 인성 대군묘(仁城大君墓), 명빈 김씨묘(明嬪金氏墓), 연산군묘(燕山君墓), 경빈 이씨묘(慶嬪李氏墓), 공빈 김씨묘(恭嬪金氏墓), 광해군묘(光海君墓)이다.】

派本職事務官, 立會于總督府農商工部出張員各陵園墓定界調製時。 【光陵、敬陵、昌陵、溫陵、禧陵、泰陵、孝陵、康陵、明陵、翼陵、弘陵、睿陵、順昌園、順康園、昭慶園、昭寧園、綏吉園、徽慶園、淑儀羅氏墓、安嬪李氏墓、淑愼公主墓、昭儀劉氏墓、寧嬪金氏墓、貴人金氏墓、英祖大王第一女墓、今太王第四男墓、仁城大君墓、明嬪金氏墓、燕山君墓、慶嬪李氏墓、恭嬪金氏墓、光海君墓】

Quote-right blue.png
출처: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 4년(1911) 12월 2일 (양력) 1번째 기사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272책 (탈초본 14책) 숙종 5년(1679) 8월 3일 을축(乙丑) 7/15 기사

Quote-left blue.png 傳于安如石曰, 淑愼公主·羅淑儀兩墓, 今方改莎草云。令本官, 役軍一百名定給, 使之二日赴役事, 分付該道。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 272책 (탈초본 14책) 숙종 5년(1679) 8월 3일 을축(乙丑) 7/15 기사



『승정원일기』 1018책 (탈초본 55책) 영조 23년(1747) 7월 26일 갑인(甲寅) 24/27 기사

Quote-left blue.png 李喆輔, 以宗親府郞廳, 以有司堂上意啓曰, 淑寧翁主, 今方遷葬云。本府乃是接待衙門, 取考禮曹謄錄, 則曾在戊申年。貞愼翁主遷葬時及甲子年貞淑翁主遷葬時, 皆有啓稟之例, 則今番不可異同, 臣等旣有所聞, 惶恐敢啓。傳曰, 其令該曹, 一依淑愼公主例擧行。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 1018책 (탈초본 55책) 영조 23년(1747) 7월 26일 갑인(甲寅) 24/27 기사


『승정원일기』 1018책 (탈초본 55책) 영조 23년(1747) 7월 29일 정사(丁巳) 26/29 기사

Quote-left blue.png 又以戶曹言啓曰, 因宗親府草記, 淑寧翁主遷葬時, 一依淑愼公主例擧行事, 命下矣。取考謄錄, 則曾無淑愼公主遷葬可據之例, 何以爲之? 敢稟。傳曰, 擔持軍, 其令該道題給, 葬需參酌, 自本曹顧助。上同。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 1018책 (탈초본 55책) 영조 23년(1747) 7월 29일 정사(丁巳) 26/29 기사



『승정원일기』 1178책 (탈초본 65책) 영조 36년(1760) 2월 17일 임진(壬辰) 12/12 기사

Quote-left blue.png 上曰, 洪相殷若來詣, 則使之入來, 可也。臣煜承命出, 引司禦洪相殷入。上曰, 汝家有己卯年明文, 而淑愼公主, 序居第二乎? 相殷曰, 臣考見家中文書, 則臣之高祖母, 本無入瀋之事, 而淑愼公主, 序居第二矣。上曰, 其爲壽進宮也, 明矣。汝則退去, 相殷先退。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 1178책 (탈초본 65책) 영조 36년(1760) 2월 17일 임진(壬辰) 12/12 기사



『승정원일기』 1195책 (탈초본 66책) 영조 37년(1761) 7월 9일 을사(乙巳) 9/12 기사

Quote-left blue.png 上曰, 壽進宮龍城大君·淑愼公主祭需, 非徒自古翌年取用, 方有自該宮修補巨役, 而該曹以翌年多不爲聽施云, 此則其雖翌年, 自爲逐年應下者, 謂以翌年, 其若越年, 非徒修補, 於祭需, 其將狼狽。已預下條蕩滌, 今年以當年條上下, 此後不獲已外, 翌年條, 其勿請得事, 申飭。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 1195책 (탈초본 66책) 영조 37년(1761) 7월 9일 을사(乙巳) 9/12 기사



『승정원일기』 1227책 (탈초본 69책) 영조 40년(1764) 2월 13일 을미(乙未) 37/46 기사

Quote-left blue.png 戶曹判書具允明曰, 龍城大君房, 淑愼公主房祭需, 甲申條纔已輸送於內司矣。乙酉丙戌兩年條預下事, 自內司手本判下, 而翌年條, 其勿請得事, 辛巳年有特敎, 何以爲之乎? 上曰, 其時下敎, 予忘之而判下, 依前傳敎, 勿施, 可也。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 1227책 (탈초본 69책) 영조 40년(1764) 2월 13일 을미(乙未) 37/46 기사



『승정원일기』 1240책 (탈초본 69책) 영조 41년(1765) 윤 2월 18일 계해(癸亥) 23/23 기사

Quote-left blue.png 上曰, 壽進宮奉享祭式, 謄來乎? 允明進之, 上下覽後, 命書傳敎曰, 壽進宮春秋仲朔時祭及生辰茶禮外, 皆用素膳, 六俗節及冬至, 亦素膳而勝於脯醢, 而無過五器, 其他饌品, 一從書下件施行, 江寧府夫人素膳, 一從前規, 器品亦從書下擧行, 龍城大君·淑愼公主器品, 從書下, 忌祭外用肉, 依前擧行。出傳敎。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 1240책 (탈초본 69책) 영조 41년(1765) 윤 2월 18일 계해(癸亥) 23/23 기사



『승정원일기』 1286책 (탈초본 71책) 영조 44년(1768) 11월 30일 갑인(甲寅) 20/21 기사

Quote-left blue.png 上曰, 承旨書之。命書左副書之曰, 噫。今予望八暮年事爲, 豈欺臣僚? 昔覽一故事, 一人, 見古帝王枯骨, 其皆瘞之, 其夜, 古帝王皆令稱謝云, 古人古帝亦然, 況當今乎? 噫, 今年拜謁一闕, 今日一行祗迎者, 心若何? 古人云, 以己之心, 度他人之心, 況憶先乎? 頃者因壽進宮圖署年月, 特審其宮古事, 雖莫知千千萬萬夢想之外, 歷瞻諸廟, 亦豈偶然? 初意則此處何能成樣? 此正百聞不若一見, 臨見七大君之廟, 偃然在中, 而有淑愼公主廟, 亦有羅淑媛·張貴人之一廟。以此觀之, 三廟井井方方, 而自昔年, 設中官命祭, 聖意深遠。以此觀之, 比諸後殿, 非比尋常若此, 而一年時果未薦。故今日忽憶各薦二果, 命中官而行禮, 頃年行壽進宮入瞻, 今日命中官薦果, 奚特當位? 嗚呼, 陟降庶照予心, 分付壽進宮八廟中, 可以修葺者待春, 卽爲隨聞修葺, 凡諸外祀, 不過一中官而已。齋沐何潔, 其誠何望? 不過騎公馬而去, 奠酌食餕餘而來, 神何其歆? 此後行祭中官, 必也闕中致齋而進詣, 其或不潔, 不敬其祖其父可知。雖食餕餘, 豈不充腹? 以此申飭內府。凡此等祭官, 必也愼擇, 莫令淆雜。若是下敎之後, 當該承傳色, 其不體此, 今朝其雖金圈, 來日豈不爲棘矜之民乎? 以此嚴飭內府。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 1286책 (탈초본 71책) 영조 44년(1768) 11월 30일 갑인(甲寅) 20/21 기사



『승정원일기』 1290책 (탈초본 72책) 영조 45년(1769) 3월 11일 갑오(甲午) 17/17 기사

Quote-left blue.png 上命運維書傳敎曰, 淑愼公主祠宇重建, 故有手本請得者, 而其數太多, 此等處, 例有該曹顧助之事, 特遣郞廳所入之物, 該曹顧助米布郞廳, 計其入量, 與兵曹顧助, 畢重建後, 亦令該曹修理。出傳敎。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 1290책 (탈초본 72책) 영조 45년(1769) 3월 11일 갑오(甲午) 17/17 기사



『승정원일기』 1344책 (탈초본 75책) 영조 49년(1773) 10월 6일 신축(辛丑) 15/19 기사

Quote-left blue.png 因命書傳敎曰, 今見壽進宮傳香, 予懷一倍, 淑愼公主贈號, 今日知焉。義昌君·樂善君, 建宇後只聞而已, 三昨拜慶運宮, 予心, 若何? 明日當詣壽進宮, 入見而來。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 1344책 (탈초본 75책) 영조 49년(1773) 10월 6일 신축(辛丑) 15/19 기사


비변사등록

『비변사등록』118책, 영조 23년(1747) 7월 30일 무오(戊午)

Quote-left blue.png 호조에서 아뢰기를, “종친부(宗親府)의 초기(草記)로 인하여 숙녕옹주(淑寧翁主)의 천장(遷葬) 때에 모든 것을 숙신공주(淑慎公主)의 예대로 거행하라고 명하셨는데 등록(謄錄)을 상고해보니 도무지 숙신공주를 천장할 때의 근거가 될 만한 예가 없으니 어떻게 할까요? 감히 여쭙니다.”하니, 전교하기를, “담지군(擔持軍)은 그 도(道)에서 제급(題給)하게 하고 장수(葬需)는 참작하여 본조(本曹)에서 도와주도록 하라.”

戶曹啓曰, 因宗親府草記, 淑寧翁主遷葬時, 一依淑愼公主例擧行事命下矣, 取考謄錄, 則曾無淑愼公主遷葬可(例脫)據之何以爲之, 敢稟, 傳曰, 擔持軍, 其令該道題給, 葬需, 參酌自本曹顧助。

Quote-right blue.png
출처: 『비변사등록』118책, 영조 23년(1747) 7월 30일 무오(戊午)



경기도감영장계등록

『경기도감영장계등록(京畿道監營狀啓謄錄)』4, 장계(狀啓)

Quote-left blue.png 甲辰三月 日

承政院開坼 前因備邊司啓下關, 道內各邑所在無後大君公主塚墓之禁伐, 有名無實者, 公子貴主墳山之貧窮不能守護者, 關問列邑, 待其報來, 先爲條列狀聞之意, 已爲馳啓爲白有在果, 該邑守令, 躬往墓在處, 子孫有無, 茔域完毁與否, 使之探問看審, 詳細枚報矣。 今始齊到, 故謹此開錄于左爲白乎旀, 其中無後墳墓, 自各宮房修治者, 每於春秋, 官家審察其禁伐形止, 若有有名無實之患, 則各別嚴飭, 俾無未盡之弊爲白遣, 或有絶祀而爲無主之塚者, 改莎封域, 俾免茂草之場, 而定給守墓之人, 使之禁伐是白遣, 或有子孫而貧窮流離, 不得守護者, 官出物力, 被莎補土, 俾無樵牧侵及之患。 自各其邑, 姑待農歇, 着意擧行後, 形止卽爲修報, 而所入物力, 報惠廳會減爲白乎矣, 此後段, 毋或仍以抛置, 這這申飭, 使我聖上親九族之德意, 遍曁於泉壤事, 亦爲勉飭於墓在各邑, 緣由竝以馳啓云云。

甲辰三月 日 〈後〉 平安大君, 江寧府夫人, 齊安大君, 商山府夫人, 永昌大君, 明善公主, 明惠公主, 大君阿只氏。 以上墓, 在廣州炭洞。 龍城大君, 義昌大君, 陽川郡夫人, 贈慶嬪李氏。 以上墓, 在楊州豊壤。 樂善君, 東原郡夫人。 以上墓, 在楊州靑松。 明嬪金氏墓, 在楊州峨嵯山。 貴人金氏墓, 在楊州忘憂里。 昭儀劉氏墓, 在楊州眞官。 淑媛張氏墓, 在楊州延曙。 淑儀羅氏, 淑愼公主。 以上墓, 在高陽西山。 以上二十墓, 壽進宮次知。(…후략…)


Quote-right blue.png
출처: 『경기도감영장계등록(京畿道監營狀啓謄錄)』4, 장계(狀啓)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현재의 묘역

초장 추정지

갤러리

동영상

전자지도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서

  • 인성대군 효소공 묘 치유문(仁城大君孝昭公墓致侑文)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 인성대군묘소북역조사(仁城大君墓所北域調査)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능원묘천봉안(陵園墓遷奉案)』, 1929 ~ 194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