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조선왕조실록) |
잔글 |
||
177번째 줄: | 177번째 줄: | ||
命除胎室安慰祭。 前此, 安胎後, 每三年一次行祭, 謂之胎室安慰祭。 至是, 禮曹令書雲觀稽舊例, 太祖、恭靖王安胎後, 竝不行安慰祭, 乃命罷之。|출처=『세종실록』13권, 세종 3년(1421) 10월 10일 기해(己亥) 5번째 기사}} | 命除胎室安慰祭。 前此, 安胎後, 每三年一次行祭, 謂之胎室安慰祭。 至是, 禮曹令書雲觀稽舊例, 太祖、恭靖王安胎後, 竝不行安慰祭, 乃命罷之。|출처=『세종실록』13권, 세종 3년(1421) 10월 10일 기해(己亥) 5번째 기사}} | ||
+ | |||
+ | |||
+ | ====『세종실록』150권, 「지리지」경상도(慶尙道) 진주목(晉州牧), 곤남군(昆南郡)==== | ||
+ | {{Blockquote|본조(本朝) 금상(今上)이 즉위한 원년(元年) 기해에 어태(御胎)를 현(縣)에서 20리 북쪽 소곡산(所谷山)에 안치하고, 남해현(南海縣)을 곤명현(昆明縣)에 합쳐서 곤남군(昆南郡)으로 승격시켰다. | ||
+ | |||
+ | 本朝今上卽位元年己亥, 安御胎于縣北二十里所谷山, 以南海縣合于昆明, 陞爲昆南郡。|출처=『지리지」경상도(慶尙道) 진주목(晉州牧), 곤남군(昆南郡)}} | ||
251번째 줄: | 257번째 줄: | ||
公忠監司洪羲瑾馳啓言: "今月初四日, 忠州 九萬里, 景宗大王胎室蓋簷石、隅裳石、坐臺石、正南下磚石、橫帶石、蓮葉柱石、俱有作變之痕, 山下居民及監官, 一倂捉囚, 罪人則今方譏捕。" 敎曰: "夜見錦伯狀啓, 不勝驚悚, 而不知胎封作變, 古亦有之。 且作變旣在道內, 則地方官, 與道伯, 當有勘罪與否, 其例有無, 幷欲知之, 大臣入來, 稟處。" 仍召見左右相, 左議政李相璜言: ‘胎封作變, 旣在道內, 則道臣地方官, 不可無論勘之擧, 而從前外道有事, 雖干係甚重, 如事關綱常等獄, 道臣無因此被罪之例。 至於地方官, 不可無論勘, 而第念殿牌作變邑守令之不爲論勘, 實出先朝深惟遠覽之聖竟。 且考見《春官通考》, 古亦有瑞山胎封作變之事, 而有曰, 「事端由於謀害本宮」 云。 今若論勘守令, 則以今民心之不古, 難保無來後之慮, 故不敢以論罪仰奏矣。’ 又言, ‘肅廟朝因昆陽、全州、大興四朝胎峰立表補頉之役, 以禮曹堂上及監役官下去, 著爲定式, 英廟朝林川胎室修改時, 亦遵行此例, 今亦當依此擧行, 今番則與尋常有頉有異, 若別遣奉審, 則恐合情文矣。’ 命遣禮堂奉審。|출처=『순조실록』32권, 순조 31년(1831) 11월 12일 경신(庚申) 1번째 기사}} | 公忠監司洪羲瑾馳啓言: "今月初四日, 忠州 九萬里, 景宗大王胎室蓋簷石、隅裳石、坐臺石、正南下磚石、橫帶石、蓮葉柱石、俱有作變之痕, 山下居民及監官, 一倂捉囚, 罪人則今方譏捕。" 敎曰: "夜見錦伯狀啓, 不勝驚悚, 而不知胎封作變, 古亦有之。 且作變旣在道內, 則地方官, 與道伯, 當有勘罪與否, 其例有無, 幷欲知之, 大臣入來, 稟處。" 仍召見左右相, 左議政李相璜言: ‘胎封作變, 旣在道內, 則道臣地方官, 不可無論勘之擧, 而從前外道有事, 雖干係甚重, 如事關綱常等獄, 道臣無因此被罪之例。 至於地方官, 不可無論勘, 而第念殿牌作變邑守令之不爲論勘, 實出先朝深惟遠覽之聖竟。 且考見《春官通考》, 古亦有瑞山胎封作變之事, 而有曰, 「事端由於謀害本宮」 云。 今若論勘守令, 則以今民心之不古, 難保無來後之慮, 故不敢以論罪仰奏矣。’ 又言, ‘肅廟朝因昆陽、全州、大興四朝胎峰立表補頉之役, 以禮曹堂上及監役官下去, 著爲定式, 英廟朝林川胎室修改時, 亦遵行此例, 今亦當依此擧行, 今番則與尋常有頉有異, 若別遣奉審, 則恐合情文矣。’ 命遣禮堂奉審。|출처=『순조실록』32권, 순조 31년(1831) 11월 12일 경신(庚申) 1번째 기사}} | ||
− | |||
− | |||
− | |||
− | |||
− | |||
===승정원일기=== | ===승정원일기=== |
2020년 7월 18일 (토) 05:09 판
세종 태실(世宗 胎室) | |
식별자 | PC004 |
---|---|
분류 | 국왕 태실 |
한글명 | 세종 태실 |
한자명 | 世宗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King Sejong |
피안자 명칭 | 세종(世宗) |
피안자 이칭 | 이도(李祹)·자(字) 원정(元正)·충녕대군(忠寧大君)·장헌대왕(莊憲大王)·영릉(英陵) |
피안자 부 | 태종(太宗) |
피안자 모 |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397.04.10 |
피안자 몰년월일 | 1450.02.17 |
안태 연월일 | 미상 |
안태지 기록 | 진주 곤명현가봉 후 곤남군으로로 승격 |
안태지 기록1 | 전라도 보성 실록의 오기(誤記) |
안태지 기록2 | 곤양 소곡산 『정조실록』 |
안태지 기록3 | 경남 사천군 곤명면 『서삼릉 세종 태실 후면 각자』 |
안태지 좌표(위도) | 35°13'54.87"N |
안태지 좌표(경도) | 127°90'47.39"E |
안태지 주소 | 경남 사천시 곤명면 은사리 산 27 |
문화재 지정여부 | 경상남도 기념물 제30호 |
이안 연월일 | 1929 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66'45.61"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86'06.29"E |
지문 | 世宗大王胎室,皇明萬曆二十九年,三月,二十二日,改藏 |
지문 찬자 | 조선 예조(朝鮮 禮曹)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석물 | 세종 태실 석물군가봉비 외 다수 석재 |
태항아리 | 세종 태지석 및 내항아리 몸체와 뚜껑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목차
- 1 내용
- 2 관련 기록
- 2.1 조선왕조실록
- 2.1.1 『세종실록』1권, 세종 즉위년(1418) 8월 14일 신묘(辛卯) 9번째 기사
- 2.1.2 『세종실록』1권, 세종 즉위년(1418) 8월 29일 병오(丙午) 2번째 기사
- 2.1.3 『세종실록』1권, 세종 즉위년(1418) 10월 25일 신축(辛丑) 5번째 기사
- 2.1.4 『세종실록』2권, 세종 즉위년(1418) 11월 1일 정미(丁未) 3번째 기사
- 2.1.5 『세종실록』2권, 세종 즉위년(1418) 11월 3일 기유(己酉) 8번째 기사
- 2.1.6 『세종실록』2권, 세종 즉위년(1418) 11월 3일 기유(己酉) 11번째 기사
- 2.1.7 『세종실록』2권, 세종 즉위년(1418) 11월 5일 신해(辛亥) 5번째 기사
- 2.1.8 『세종실록』2권, 세종 즉위년(1418) 11월 5일 신해(辛亥) 6번째 기사
- 2.1.9 『세종실록』2권, 세종 즉위년(1418) 11월 11일 정사(丁巳) 5번째 기사
- 2.1.10 『세종실록』3권, 세종 1년(1419) 3월 27일 신미(辛未) 5번째 기사
- 2.1.11 『세종실록』13권, 세종 3년(1421) 10월 10일 기해(己亥) 5번째 기사
- 2.1.12 『세종실록』150권, 「지리지」경상도(慶尙道) 진주목(晉州牧), 곤남군(昆南郡)
- 2.1.13 『명종실록』1권, 명종 즉위년(1545) 7월 19일 기묘(己卯) 5번째 기사
- 2.1.14 『영조실록』26권, 영조 6년(1730) 5월 10일 정축(丁丑) 1번째 기사
- 2.1.15 『영조실록』30권, 영조 7년(1731) 12월 15일 갑진(甲辰) 2번째 기사
- 2.1.16 『영조실록』38권, 영조 10년(1734) 7월 11일 갑신(甲申) 2번째 기사
- 2.1.17 『순조실록』32권, 순조 31년(1831) 11월 12일 경신(庚申) 1번째 기사
- 2.2 승정원일기
- 2.2.1 『승정원일기』 706책 (탈초본 39책) 영조 6년(1730) 5월 10일 정축(丁丑) 18/18 기사
- 2.2.2 『승정원일기』 717책 (탈초본 39책) 영조 7년(1731) 1월 22일 병술(丙戌) 22/23 기사
- 2.2.3 『승정원일기』 719책 (탈초본 39책) 영조 7년(1731) 3월 25일 무자(戊子) 38/39 기사
- 2.2.4 『승정원일기』 720책 (탈초본 39책) 영조 7년(1731) 4월 5일 정유(丁酉) 29/29 기사
- 2.2.5 『승정원일기』 723책 (탈초본 39책) 영조 7년(1731) 5월 23일 을유(乙酉) 30/30 기사
- 2.2.6 『승정원일기』 727책 (탈초본 40책) 영조 7년(1731) 7월 28일 기축(己丑) 34/35 기사
- 2.2.7 『승정원일기』 736책 (탈초본 40책) 영조 7년(1731) 12월 16일 정미(丁未) 9/9 기사
- 2.2.8 『승정원일기』 747책 (탈초본 41책) 영조 8년(1732) 7월 5일 기축(己丑) 36/36 기사
- 2.2.9 『승정원일기』 748책 (탈초본 41책) 영조 8년(1732) 8월 5일 기미(己未) 31/31 기사
- 2.2.10 『승정원일기』 762책 (탈초본 42책) 영조 9년(1733) 7월 15일 갑오(甲午) 28/28 기사
- 2.2.11 『승정원일기』 777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4월 10일 을묘(乙卯) 24/24 기사
- 2.2.12 『승정원일기』 779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5월 12일 정해(丁亥) 16/28 기사
- 2.2.13 『승정원일기』 779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5월 14일 기축(己丑) 22/29 기사
- 2.2.14 『승정원일기』 783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7월 11일 갑신(甲申) 25/26 기사
- 2.2.15 『승정원일기』 783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7월 16일 기축(己丑) 16/20 기사
- 2.2.16 『승정원일기』 783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7월 16일 기축(己丑) 20/20 기사
- 2.1 조선왕조실록
- 3 지식 관계망
- 4 시각자료
- 5 수치지형도
- 6 전자지도
- 7 참고 자료
- 8 주석
내용
조선 제4대 국왕 세종의 태실이다.
초안지는 알 수 없으나 즉위한 1418년 가봉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이 때 태실 가봉을 위해 도감(都監)을 설치했다. 태실 가봉을 위해 도감을 설치한 기록이 처음 보이는 사례이며, 앞 서 다른 국왕의 태실을 가봉할 때도 도감이 설치되었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정이오(鄭以吾)를 태실 증고사(胎室證考使)로 삼은지 약 두 달 만에 태실산도(胎室山圖)를 바쳤고 그대로 진주 곤명으로 결정지었다. 이 때 태실에 대한 제도가 갖추어진 것으로 보인다. 태실도감에서는 태실(胎室)에 시위(侍衛)하는 품관(品官) 8인과 수호(守護) 8인을 두기를 청하였고 상왕으로 있던 태종은 이를 따랐다. 또한 태실에 돌난간을 설치하면 지맥을 손상시킨다는 이유로 나무를 이용하여 난간을 만들게 했다. 혹 난간이 썩으면 고쳐서 다시 만들라고 했다. 여기에 더해 가봉처로 태를 봉안하는 절차도 갖추어졌다.
세종 태실은 정유재란(1597) 당시 도굴 당해 파손되었다. 이에 선조는 1601년(선조 34)에 다시 정비했다. 현재 전하는 석물의 대부분은 이 때 다시 갖추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태봉비는 숙종 때 마련하였으나 훼손된 것으로 보이며 영조 때 다시 마련되었다. 1734년(영조 10)에 세종·단종·예종·현종의 태봉에 비를 세우게 했다. 이 때 예조의 당상과 선공감역을 각각 1원을 보내 감독하게 했다. 태실이 위치했던 곳은 분묘가 들어서 있으며, 일부 석물은 태실의 것을 활용했을 가능성이 있어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다만 가봉비를 비롯하여 몇몇의 석물은 수습되어 인근 길 옆에 모아져있다. 유물들은 현재 경상남도 기념물 제30호로 지정되어있다.
관련 기록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1권, 세종 즉위년(1418) 8월 14일 신묘(辛卯) 9번째 기사
『세종실록』1권, 세종 즉위년(1418) 8월 29일 병오(丙午) 2번째 기사
《전 대제학 정이오를 태실 증고사로 삼다》
전 대제학(大提學) 정이오(鄭以吾)를 태실 증고사(胎室證考使)로 삼고, 모관(毛冠)과 목화(靴子)와 약(藥)을 하사하였다. 以前大提學鄭以吾爲胎室證考使, 賜毛冠及靴藥。 |
||
출처: 『세종실록』1권, 세종 즉위년(1418) 8월 29일 병오(丙午) 2번째 기사 |
『세종실록』1권, 세종 즉위년(1418) 10월 25일 신축(辛丑) 5번째 기사
《태실 증고사 정이오가 태실산도를 바치다》
태실 증고사(胎室證考使) 정이오(鄭以吾)가 진양(晉陽)으로부터 와서 태실산도(胎室山圖)를 바치니, 그 산은 진주의 속현 곤명(昆明)에 있는 것이었다. 胎室證考使鄭以吾來自晋陽, 獻胎室山圖。 山在晋州屬縣昆明。 |
||
출처: 『세종실록』1권, 세종 즉위년(1418) 10월 25일 신축(辛丑) 5번째 기사 |
『세종실록』2권, 세종 즉위년(1418) 11월 1일 정미(丁未) 3번째 기사
『세종실록』2권, 세종 즉위년(1418) 11월 3일 기유(己酉) 8번째 기사
『세종실록』2권, 세종 즉위년(1418) 11월 3일 기유(己酉) 11번째 기사
《태실 도감 제조 김자지에게 동옷 등을 내리다》
태실 도감 제조(胎室都監提調) 김자지(金自知)에게 동옷(襦衣)과 모관(毛冠)과 신을 내려 주었다. 賜胎室都監提調金自知襦衣、毛冠、靴。 |
||
출처: 『세종실록』2권, 세종 즉위년(1418) 11월 3일 기유(己酉) 11번째 기사 |
『세종실록』2권, 세종 즉위년(1418) 11월 5일 신해(辛亥) 5번째 기사
『세종실록』2권, 세종 즉위년(1418) 11월 5일 신해(辛亥) 6번째 기사
『세종실록』2권, 세종 즉위년(1418) 11월 11일 정사(丁巳) 5번째 기사
『세종실록』3권, 세종 1년(1419) 3월 27일 신미(辛未) 5번째 기사
『세종실록』13권, 세종 3년(1421) 10월 10일 기해(己亥) 5번째 기사
『세종실록』150권, 「지리지」경상도(慶尙道) 진주목(晉州牧), 곤남군(昆南郡)
본조(本朝) 금상(今上)이 즉위한 원년(元年) 기해에 어태(御胎)를 현(縣)에서 20리 북쪽 소곡산(所谷山)에 안치하고, 남해현(南海縣)을 곤명현(昆明縣)에 합쳐서 곤남군(昆南郡)으로 승격시켰다.
本朝今上卽位元年己亥, 安御胎于縣北二十里所谷山, 以南海縣合于昆明, 陞爲昆南郡。 |
||
출처: 『지리지」경상도(慶尙道) 진주목(晉州牧), 곤남군(昆南郡) |
『명종실록』1권, 명종 즉위년(1545) 7월 19일 기묘(己卯) 5번째 기사
『영조실록』26권, 영조 6년(1730) 5월 10일 정축(丁丑) 1번째 기사
『영조실록』30권, 영조 7년(1731) 12월 15일 갑진(甲辰) 2번째 기사
『영조실록』38권, 영조 10년(1734) 7월 11일 갑신(甲申) 2번째 기사
『순조실록』32권, 순조 31년(1831) 11월 12일 경신(庚申) 1번째 기사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706책 (탈초본 39책) 영조 6년(1730) 5월 10일 정축(丁丑) 18/18 기사
『승정원일기』 717책 (탈초본 39책) 영조 7년(1731) 1월 22일 병술(丙戌) 22/23 기사
『승정원일기』 719책 (탈초본 39책) 영조 7년(1731) 3월 25일 무자(戊子) 38/39 기사
『승정원일기』 720책 (탈초본 39책) 영조 7년(1731) 4월 5일 정유(丁酉) 29/29 기사
『승정원일기』 723책 (탈초본 39책) 영조 7년(1731) 5월 23일 을유(乙酉) 30/30 기사
『승정원일기』 727책 (탈초본 40책) 영조 7년(1731) 7월 28일 기축(己丑) 34/35 기사
『승정원일기』 736책 (탈초본 40책) 영조 7년(1731) 12월 16일 정미(丁未) 9/9 기사
『승정원일기』 747책 (탈초본 41책) 영조 8년(1732) 7월 5일 기축(己丑) 36/36 기사
『승정원일기』 748책 (탈초본 41책) 영조 8년(1732) 8월 5일 기미(己未) 31/31 기사
『승정원일기』 762책 (탈초본 42책) 영조 9년(1733) 7월 15일 갑오(甲午) 28/28 기사
『승정원일기』 777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4월 10일 을묘(乙卯) 24/24 기사
『승정원일기』 779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5월 12일 정해(丁亥) 16/28 기사
『승정원일기』 779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5월 14일 기축(己丑) 22/29 기사
『승정원일기』 783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7월 11일 갑신(甲申) 25/26 기사
『승정원일기』 783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7월 16일 기축(己丑) 16/20 기사
『승정원일기』 783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7월 16일 기축(己丑) 20/20 기사
지식 관계망
태실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스틸샷 갤러리
수치지형도
전자지도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 조선 예조, 『세종대왕단종대왕태실표석견립시의궤(世宗大王端宗大王胎室表石竪立時儀軌)』,사천시청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