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전자지도) |
잔글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안태지 기록2= | |안태지 기록2= | ||
|안태지 기록3= | |안태지 기록3= | ||
− | |안태지 좌표(위도)=36°14' | + | |안태지 좌표(위도)=36°14'87.47"N |
− | |안태지 좌표(경도)=126°80' | + | |안태지 좌표(경도)=126°80'47.3"E |
|안태지 주소=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 산1-17 | |안태지 주소=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 산1-17 | ||
|문화재 지정여부=미지정 | |문화재 지정여부=미지정 | ||
266번째 줄: | 266번째 줄: | ||
var map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map'), // 지도를 표시할 div | var map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map'), // 지도를 표시할 div | ||
mapOption = { | mapOption = { | ||
− | center: new daum.maps.LatLng(36. | + | center: new daum.maps.LatLng(36.14847, 126.80473), // 지도의 중심좌표 |
− | level: | + | level: 12// 지도의 확대 레벨 |
}; | }; | ||
301번째 줄: | 301번째 줄: | ||
// 마커의 이미지정보를 가지고 있는 마커이미지를 생성합니다 | // 마커의 이미지정보를 가지고 있는 마커이미지를 생성합니다 | ||
var markerImage = new daum.maps.MarkerImage(imageSrc, imageSize, imageOption), | var markerImage = new daum.maps.MarkerImage(imageSrc, imageSize, imageOption), | ||
− | markerPosition = new daum.maps.LatLng(36. | + | markerPosition = new daum.maps.LatLng(36.14847, 126.80473); // 마커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
// 마커를 생성합니다 | // 마커를 생성합니다 | ||
320번째 줄: | 320번째 줄: | ||
// 커스텀 오버레이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 // 커스텀 오버레이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 ||
− | var position = new daum.maps.LatLng(36. | + | var position = new daum.maps.LatLng(36.14847, 126.80473); |
// 커스텀 오버레이를 생성합니다 | // 커스텀 오버레이를 생성합니다 |
2019년 11월 5일 (화) 12:00 판
선조 태실(宣祖 胎室) | |
식별자 | PC012 |
---|---|
분류 | 국왕 태실 |
한글명 | 선조 태실 |
한자명 | 宣祖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King Seonjo |
피안자 명칭 | 선조(宣祖) |
피안자 이칭 | 이균(李鈞)·이연(李昖)·하성군(河城君)·목릉(穆陵) |
피안자 부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 |
피안자 모 | 하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552.11.11 |
피안자 몰년월일 | 1608.02.01 |
안태 연월일 | 1570.10.21 |
안태지 기록 | 도정궁(都正宮) 후원 송림(松林) 『연려실기술』 |
안태지 기록1 | 임천(林川) 태봉(胎峯) 『숙종실록』 |
안태지 좌표(위도) | 36°14'87.47"N |
안태지 좌표(경도) | 126°80'47.3"E |
안태지 주소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 산1-17 |
문화재 지정여부 | 미지정 |
이안 연월일 | 1929.05 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39'52.9"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51'38.0"E |
지문 | 今主上殿下胎,皇明隆慶四年,十月二十一日,卯時藏 |
지문 찬자 | 조선 예조(禮曹)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석물 | 태실 터 인근 태실 석재 유구 2점 확인 |
유물1 | 충화 선조대왕태실비(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12호) 1570년 건립 |
유물2 | 선조대왕태실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17호) 1747년 건립 |
태항아리 | 선조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목차
- 1 정의
- 2 관련 기록
- 2.1 조선왕조실록
- 2.2 승정원일기
- 2.2.1 『승정원일기』 291책 (탈초본 15책) 숙종 8년(1682) 6월 23일 기해(己亥) 19/41 기사
- 2.2.2 『승정원일기』 458책 (탈초본 24책) 숙종 37년(1711) 2월 10일 기사(己巳) 24/29 기사
- 2.2.3 『승정원일기』 462책 (탈초본 25책) 숙종 37년(1711) 8월 23일 경진(庚辰) 4/22 기사
- 2.2.4 『승정원일기』 587책 (탈초본 31책) 영조 1년(1725) 2월 25일 계사(癸巳) 38/37 기사
- 2.2.5 『승정원일기』 631책 (탈초본 34책) 영조 3년(1727) 1월 27일 기사(己巳) 31/32 기사
- 2.3 연려실기술
- 3 지식 관계망
- 4 시각자료
- 5 전자지도
- 6 참고 자료
- 7 주석
정의
조선 최초의 대원군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과 하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정씨(鄭氏)의 3남이며, 조선의 13대 왕인 명종(明宗)의 후사로 즉위한 조선 14대 왕 선조의 안태지(安胎地).
관련 기록
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50권, 숙종 37년(1711) 10월 22일 정축(丁丑) 2번째 기사
『영조실록』65권, 영조 23년(1747) 3월 21일 신해(辛亥) 2번째 기사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291책 (탈초본 15책) 숙종 8년(1682) 6월 23일 기해(己亥) 19/41 기사
『승정원일기』 458책 (탈초본 24책) 숙종 37년(1711) 2월 10일 기사(己巳) 24/29 기사
『승정원일기』 462책 (탈초본 25책) 숙종 37년(1711) 8월 23일 경진(庚辰) 4/22 기사
『승정원일기』 587책 (탈초본 31책) 영조 1년(1725) 2월 25일 계사(癸巳) 38/37 기사
『승정원일기』 631책 (탈초본 34책) 영조 3년(1727) 1월 27일 기사(己巳) 31/32 기사
연려실기술
『연려실기술』별집(別集) 2권, 「사전전고(祀典典故)」장태조(藏胎條)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스틸샷 갤러리
전자지도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이규상, 『한국의 태실』, 청원문화원, 2005.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조선의 태실』, 전주이씨대동종약원, 1999.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