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빈 성씨 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조선왕조실록) |
|||
119번째 줄: | 119번째 줄: | ||
葬宜嬪成氏。 卽孝昌墓左岡也。|출처=『정조실록』권22, 정조 10년(1786) 11월 20일 경인(庚寅) 1번째 기사}} | 葬宜嬪成氏。 卽孝昌墓左岡也。|출처=『정조실록』권22, 정조 10년(1786) 11월 20일 경인(庚寅) 1번째 기사}} | ||
− | |||
− | |||
− |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2020년 7월 21일 (화) 15:56 판
의빈성씨묘(宜嬪成氏墓) | |
식별자 | RT037 |
---|---|
분류 | 분묘 |
한글명 | 의빈성씨묘 |
한자명 | 宜嬪成氏墓 |
영문명 | Tomb of Royal Noble Consort Ui of the Changnyeong Sung clan |
피장자 명칭 | 의빈(宜嬪) 창녕성씨(昌寧成氏) |
피장자 이칭 | 정조 후궁 의빈 성씨 |
피장자 부 | 성윤우(成胤祐) |
피장자 모 | 임종주(林宗冑)의 딸 |
피장자 생년월일 | 1753.07.08 |
피장자 몰년월일 | 1786.09.14 |
초장 연월일 | 1786.11.20 |
초장지 기록 | 고양군 율목동 임좌원(壬坐原)의빈성씨묘비 |
초장지 기록1 | 효창묘(孝昌墓) 좌강(左岡)정조실록 |
초장지 기록2 | 경성부 금정(錦町) 이정목(二丁目)능원묘천봉안 |
문화재 지정여부 | 미지정 |
이장 연월일 | 1940.05.15 |
이장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장지 좌표(위도) | 37°66'56.84"N |
이장지 좌표(경도) | 126°85'84.06"E |
지문 | 宜嬪昌寧成氏之墓 |
지문 찬자 | 정조(正祖) |
지문 소장처 | 조선왕릉 서부지구관리소 |
목차
- 1 내용
- 1.1 조선왕조실록
- 1.1.1 『정조실록』권14, 정조 6년(1782) 8월 26일 경인(庚寅) 1번째 기사
- 1.1.2 『정조실록』권14, 정조 6년(1782) 9월 7일 신축(辛丑) 1번째 기사
- 1.1.3 『정조실록』권14, 정조 6년(1782) 12월 28일 경인(庚寅) 2번째 기사
- 1.1.4 『정조실록』권15, 정조 7년(1783) 2월 19일 경진(庚辰) 4번째 기사
- 1.1.5 『정조실록』권17, 정조 8년(1784) 윤3월 20일 을해(乙亥) 1번째 기사
- 1.1.6 『정조실록』권22, 정조 10년(1786) 9월 14일 갑신(甲申) 2번째 기사
- 1.1.7 『정조실록』권22, 정조 10년(1786) 9월 16일 병술(丙戌) 1번째 기사
- 1.1.8 『정조실록』권22, 정조 10년(1786) 11월 18일 무자(戊子) 2번째 기사
- 1.1.9 『정조실록』권22, 정조 10년(1786) 11월 20일 경인(庚寅) 1번째 기사
- 1.1 조선왕조실록
- 2 지식 관계망
- 3 시각자료
- 4 전자지도
- 5 참고 자료
- 6 주석
내용
조선 22대 왕 정조의 후궁인 의빈 성씨(1753~1786)의 묘 이다. 의빈 성씨의 본관은 창녕이고, 아버지는 성윤우(成胤祐)이며, 어머니는 임종주(林宗冑)의 딸이다.
1782년(정조 6) 상의(尙儀)의 신분으로 왕자를 출산한 뒤 소용(昭容)에 봉해졌다. 1783년(정조 7) 2월에는 의빈에 봉해졌고, 1784년(정조 8) 옹주를 출산하였다. 1786년(정조 10) 9월 사망하였다.
사망 이후 의빈 성씨는 아들의 묘인 효창묘 좌강(左岡)에 안장되었다. 정조를 비롯해 이후 국왕들의 전알 및 치제 등이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1940년 서삼릉 경내로 이장되었다.
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권14, 정조 6년(1782) 8월 26일 경인(庚寅) 1번째 기사
![]() |
《서유경을 권초관으로 삼다》
서유경(徐有慶)을 권초관(捲草官)으로 삼았다. 이때 상의(尙儀) 성씨(成氏)가 해산할 달이 이르렀기 때문이었다. 以徐有慶爲捲草官。 是時, 尙儀成氏彌月將屆也。 |
![]() |
출처: 『정조실록』권14, 정조 6년(1782) 8월 26일 경인(庚寅) 1번째 기사 |
『정조실록』권14, 정조 6년(1782) 9월 7일 신축(辛丑) 1번째 기사
『정조실록』권14, 정조 6년(1782) 12월 28일 경인(庚寅) 2번째 기사
![]() |
《성씨를 소용으로 삼다》
성씨(成氏)를 소용(昭容)으로 삼았다. 영의정 서명선이 또 건의하자, 윤허한 것이다. 以成氏爲昭容, 領議政徐命善, 又建請。 允之。 |
![]() |
출처: 『정조실록』권14, 정조 6년(1782) 12월 28일 경인(庚寅) 2번째 기사 |
『정조실록』권15, 정조 7년(1783) 2월 19일 경진(庚辰) 4번째 기사
![]() |
《소용 성씨에게 의빈의 칭호를 내리다》
소용 성씨(昭容成氏)에게 의빈(宜嬪)이란 칭호를 내렸다. 賜昭容成氏號曰宜嬪。 |
![]() |
출처: 『정조실록』권15, 정조 7년(1783) 2월 19일 경진(庚辰) 4번째 기사 |
『정조실록』권17, 정조 8년(1784) 윤3월 20일 을해(乙亥) 1번째 기사
![]() |
《호산청을 설치하다》
호산청(護産廳)을 설치하였는데, 당시 의빈 성씨(宜嬪成氏)가 딸을 낳았기 때문에 이 명이 있었다. 設護産廳。 時宜嬪成氏生女, 故有是命。 |
![]() |
출처: 『정조실록』권17, 정조 8년(1784) 윤3월 20일 을해(乙亥) 1번째 기사 |
『정조실록』권22, 정조 10년(1786) 9월 14일 갑신(甲申) 2번째 기사
『정조실록』권22, 정조 10년(1786) 9월 16일 병술(丙戌) 1번째 기사
『정조실록』권22, 정조 10년(1786) 11월 18일 무자(戊子) 2번째 기사
『정조실록』권22, 정조 10년(1786) 11월 20일 경인(庚寅) 1번째 기사
![]() |
《효창묘의 왼쪽 산등성이에 의빈 성씨의 장사를 치르다》
의빈(宜嬪) 성씨(成氏)의 장사를 치렀는데, 효창묘(孝昌墓)의 왼쪽 산등성이였다. 葬宜嬪成氏。 卽孝昌墓左岡也。 |
![]() |
출처: 『정조실록』권22, 정조 10년(1786) 11월 20일 경인(庚寅) 1번째 기사 |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현재의 묘역
초장 추정지
갤러리
동영상
전자지도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능원묘천봉안(陵園墓遷奉案)』, 1929 ~ 194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