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군 녀 영수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잔글 |
잔글 |
||
95번째 줄: | 95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gallery> | <gallery> | ||
− | File: | + | File:SSNPC031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영수 태실 전면 |
− | File: | + | File:SSNPC031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영수 태실 후면 |
File:OGPC027_001.jpg|남양주 내각리 영수 태실 초안 추정지 공중 전경 | File:OGPC027_001.jpg|남양주 내각리 영수 태실 초안 추정지 공중 전경 | ||
File:OGPC027_002.jpg|남양주 내각리 영수 태실 초안 추정지 전경 ① | File:OGPC027_002.jpg|남양주 내각리 영수 태실 초안 추정지 전경 ① | ||
103번째 줄: | 103번째 줄: | ||
<gallery mode="slideshow"> | <gallery mode="slideshow"> | ||
− | File: | + | File:SSNPC031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영수 태실 전면 |
− | File: | + | File:SSNPC031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영수 태실 후면 |
File:OGPC027_001.jpg|남양주 내각리 영수 태실 초안 추정지 공중 전경 | File:OGPC027_001.jpg|남양주 내각리 영수 태실 초안 추정지 공중 전경 | ||
File:OGPC027_002.jpg|남양주 내각리 영수 태실 초안 추정지 전경 ① | File:OGPC027_002.jpg|남양주 내각리 영수 태실 초안 추정지 전경 ① |
2020년 1월 13일 (월) 08:11 판
연산군 왕녀 영수 태실(燕山君 王女 靈壽 胎室) | |
식별자 | PC031 |
---|---|
분류 | 왕자공주 태실 |
한글명 | 연산군 왕녀 영수 태실 |
한자명 | 燕山君 王女 靈壽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Princess Yeongsu |
피안자 명칭 | 영수(靈壽) |
피안자 이칭 | 미상 |
피안자 부 | 연산군(燕山君) |
피안자 모 | 숙용 장씨(淑容張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502 추정 |
피안자 몰년월일 | 미상 |
안태 연월일 | 1502.11.12 |
안태지 좌표(위도) | 37°70'69.51"N |
안태지 좌표(경도) | 127°16'05.76"E |
안태지 주소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
문화재 지정여부 | 미지정 |
이안 연월일 | 1929.05 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66'45.61"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86'06.29"E |
지문 | 王女靈壽胎,弘治十五年,十一月十二日,藏于楊州郡榛接面,昭和四年,月,日移藏 |
지문 찬자 | 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태항아리 | 왕자 왕녀 영수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내용
연산군과 장녹수로 알려진 숙용 장씨의 소생이다.
《연산군일기》에 다수 등장하는 것으로 미루어 연산군이 아꼈던 딸임을 알 수 있다.
지석의 내용에 따르면 1502년(연산군 8) 11월 12일 양주군 진접면에 태실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지역에는 성종의 왕자 수장의 태실이 있는 지역으로 태실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지역은 순강원 우강(右岡)과 제3062부대라 한다.
관련 기록
조선왕조실록
『연산군일기』47권, 연산군 8년(1502) 12월 8일 병오(丙午) 1번째 기사
『연산군일기』59권, 연산군 11년(1505) 9월 4일 을유(乙酉) 1번째 기사
『연산군일기』61권, 연산군 12년(1506) 3월 21일 신축(辛丑) 3번째 기사
전교하기를,
"영수(靈壽) 아기가 구수영(具壽永)의 집에 있으면서 천연두[痘瘡]가 차차 나아가니, 수영에게 쌀 50석과 안장을 갖춘 말 한 필을 내리라." 하였다. 傳曰: "靈壽阿只, 在具壽永家, 痘瘡向瘳, 其賜壽永米五十碩, 鞍具馬一匹。" |
||
출처: 『연산군일기』61권, 연산군 12년(1506) 3월 21일 신축(辛丑) 3번째 기사 |
조선의 태실
『조선의 태실』2권, 「28.壽長 (추정 鳳安君)」
『조선의 태실』2권, 「54.靈壽 (燕山君 王女)」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갤러리
전자지도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조선의 태실 2』, 전주이씨대동종약원,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