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정의) |
잔글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태실조사카드 | {{태실조사카드 | ||
− | |사진= | + | |사진=OGPC017_001.jpg |
− | |사진출처=강원 영월군 영월읍 정양리의 정조 태실 터 전경 | + | |사진출처=강원 영월군 영월읍 정양리의 정조 태실 터 공중 전경 |
|식별자=PC017 | |식별자=PC017 | ||
|분류=국왕 태실 | |분류=국왕 태실 | ||
406번째 줄: | 406번째 줄: | ||
===스틸샷 갤러리=== | ===스틸샷 갤러리=== | ||
+ | |||
+ | <gallery> | ||
+ | File:SSNPC017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정조 태실 전면 | ||
+ | File:SSNPC017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정조 태실 후면 | ||
+ | File:OGPC017_001.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공중 전경 | ||
+ | File:OGPC017_002.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가봉태실 전경 | ||
+ | File:OGPC017_003.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가봉태실비 전경 | ||
+ | File:OGPC017_004.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가봉태실비 이수 | ||
+ | File:OGPC017_005.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아기씨태실비 전경 | ||
+ | File:OGPC017_006.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중동석 | ||
+ | File:OGPC017_007.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개첨석 | ||
+ | File:OGPC017_008.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사방석 | ||
+ | File:OGPC017_009.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난간석 | ||
+ | File:OGPC017_010.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동자석 | ||
+ | File:OGPC017_011.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횡죽석 | ||
+ | File:OGPC017_012.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안내판 | ||
+ | </gallery> | ||
+ | |||
+ | <gallery mode="slideshow"> | ||
+ | File:SSNPC017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정조 태실 전면 | ||
+ | File:SSNPC017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정조 태실 후면 | ||
+ | File:OGPC017_001.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공중 전경 | ||
+ | File:OGPC017_002.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가봉태실 전경 | ||
+ | File:OGPC017_003.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가봉태실비 전경 | ||
+ | File:OGPC017_004.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가봉태실비 이수 | ||
+ | File:OGPC017_005.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아기씨태실비 전경 | ||
+ | File:OGPC017_006.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중동석 | ||
+ | File:OGPC017_007.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개첨석 | ||
+ | File:OGPC017_008.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사방석 | ||
+ | File:OGPC017_009.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난간석 | ||
+ | File:OGPC017_010.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동자석 | ||
+ | File:OGPC017_011.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횡죽석 | ||
+ | File:OGPC017_012.jpg|영월 계족산 정조 태실 초안지 안내판 | ||
+ | </gallery> | ||
2020년 1월 13일 (월) 04:39 판
정조 태실(正祖 胎室) | |
식별자 | PC017 |
---|---|
분류 | 국왕 태실 |
한글명 | 정조 태실 |
한자명 | 正祖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King Jeongjo |
피안자 명칭 | 정조(正祖) |
피안자 이칭 | 이산(李祘)·자(字) 형운(亨運)·호(號) 홍재(弘齋)·선황제(宣皇帝)·건릉(建陵) |
피안자 부 | 장조(莊祖) |
피안자 모 | 헌경왕후(獻敬王后) 홍씨(洪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752.10.28 |
피안자 몰년월일 | 1800.08.18 |
안태 연월일 | 1753.01.21 『정조 태지석』 |
안태지 기록 | 강원도(江原道) 영월부(寧越府) 하동면(下東面) 정양리(正陽里) 계족산(鷄足山) 서쪽 기슭 계좌정향(癸坐丁向) 『영조실록』 |
안태지 기록1 | 영월(寧越) 『정조실록』 |
안태지 기록2 | 강원 영월군 하동면 『서삼릉 정조 태실 후면 각자』 |
안태지 좌표(위도) | 37°16'26.02"N |
안태지 좌표(경도) | 128°49'42.29"E |
안태지 주소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정양리467 |
문화재 지정여부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4호 |
이안 연월일 | 1929 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66'45.61"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86'06.29"E |
지문 | 壬申年,九月,二十二日,丑時生,元孫阿只氏胎,乾隆十八年,正月,二十一日,午時藏 |
지문 찬자 | 조선 예조(朝鮮 禮曹)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석물 | 정조 가봉태실 안태지 옆 산 중턱에 복원 |
태항아리 | 정조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목차
- 1 내용
- 2 관련 기록
- 2.1 조선왕조실록
- 2.1.1 『영조실록』70권, 영조 28년(1752) 11월 25일 임오(壬午) 3번째 기사
- 2.1.2 『영조실록』79권,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2번째 기사
- 2.1.3 『정조실록』4권, 정조 1년(1777) 12월 24일 병진(丙辰) 1번째 기사
- 2.1.4 『정조실록』25권, 정조 12년(1788) 1월 13일 병자(丙子) 1번째 기사
- 2.1.5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8월 10일 갑인(甲寅) 3번째 기사
- 2.1.6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0월 9일 임자(壬子) 2번째 기사
- 2.1.7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8일 신사(辛巳) 1번째 기사
- 2.1.8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8일 신사(辛巳) 4번째 기사
- 2.1.9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11일 갑신(甲申) 1번째 기사
- 2.2 승정원일기
- 2.2.1 『승정원일기』 1088책 (탈초본 60책) 영조 28년(1752) 11월 23일 경진(庚辰) 15/19 기사
- 2.2.2 『승정원일기』 1088책 (탈초본 60책) 영조 28년(1752) 11월 24일 신사(辛巳) 23/28 기사
- 2.2.3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6일 임술(任戌) 7/15 기사
- 2.2.4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18/38 기사
- 2.2.5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27/38 기사
- 2.2.6 『승정원일기』 1410책 (탈초본 78책) 정조 1년(1777) 12월 24일 병진(丙辰) 9/12 기사
- 2.2.7 『승정원일기』 1447책 (탈초본 79책) 정조 3년(1779) 8월 25일 병자(丙子) 20/21 기사
- 2.2.8 『승정원일기』 1607책 (탈초본 86책) 정조 10년(1786) 윤 7월 29일 경자(庚子) 21/23 기사
- 2.2.9 『승정원일기』 1629책 (탈초본 86책) 정조 11년(1787) 7월 6일 신미(辛未) 25/28 기사
- 2.2.10 『승정원일기』 1635책 (탈초본 87책) 정조 11년(1787) 10월 10일 갑진(甲辰) 19/20 기사
- 2.2.11 『승정원일기』 1638책 (탈초본 87책) 정조 12년(1788) 1월 13일 병자(丙子) 20/21 기사
- 2.2.12 『승정원일기』 1647책 (탈초본 87책) 정조 12년(1788) 10월 28일 병진(丙辰) 26/40 기사
- 2.2.13 『승정원일기』 1686책 (탈초본 89책) 정조 15년(1791) 1월 28일 계묘(癸卯) 16/16 기사
- 2.2.14 『승정원일기』 1722책 (탈초본 91책) 정조 17년(1793) 10월 29일 기축(己丑) 11/12 기사
- 2.2.15 『승정원일기』 1836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801) 4월 16일 임술(任戌) 26/26 기사
- 2.2.16 『승정원일기』 1840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8월 10일 갑인(甲寅) 19/19 기사
- 2.2.17 『승정원일기』 1840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8월 16일 경신(庚申) 21/22 기사
- 2.2.18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10월 9일 임자(壬子) 42/42 기사
- 2.2.19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10월 15일 무오(戊午) 27/27 기사
- 2.2.20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10월 17일 경신(庚申) 19/30 기사
- 2.2.21 『승정원일기』 1843책 (탈초본 98책) 순조 1년(1301) 11월 11일 갑신(甲申) 10/26 기사
- 2.2.22 『승정원일기』 1843책 (탈초본 98책) 순조 1년(1301) 11월 18일 신묘(辛卯) 22/23 기사
- 2.1 조선왕조실록
- 3 지식 관계망
- 4 시각자료
- 5 수치지형도
- 6 전자지도
- 7 참고 자료
- 8 주석
내용
조선 제22대 국왕 정조의 태실이다.
1752년(영조 28) 안태처로 강원도 원주 역안산·백운산·영월부 계족산·경상도 예천군 용문사 등이 거론되었으나 최종적으로 강원도 영월의 계족산에 안태하였다.
정조 즉위 초부터 신하들이 태실을 가봉할 것을 건의 하였으나 풍년인 해를 기다려 가봉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거의 매해 가봉을 미루었다. 하지만 이는 사도세자 태실 가봉을 이루기 위한 포석이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정조 치세 중 태실 가봉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정조 태실의 가봉은 1801년(순조 1) 10월에야 이루어졌다. 이 때 가봉의 의절은 경모궁 태실 가봉의 예를 따라 이루어졌다. 이 때 가봉에 쓰인 석물은 제천에서 생산한 것을 가져다 썼으며, 태실제도는 영조 태실을 기준으로 삼았다. 가봉이 이루어진 뒤 금표 영역을 300보로 넓히고 수호군도 기존 2명에서 6명을 더해 8명으로 두었다.
일제강점기 태실이 훼손된 후 석물들은 영월 MBC 마당 등으로 옮겨다녔다. 게다가 태실지에는 발전소가 건립되면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최근에 영월발전소 옆 봉우리에 태실 석물을 모두 옮겨 복원하였으나 태실과 태실비의 위치는 새롭게 고증이 필요하다.
관련 기록
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70권, 영조 28년(1752) 11월 25일 임오(壬午) 3번째 기사
『영조실록』79권,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2번째 기사
《비변사에서 원손궁의 장태사는 종2품으로 고쳐서 계하할 것을 청하다》
비변사에서 아뢰기를, "원손궁(元孫宮)의 장태사(藏胎使)는 청컨대 종2품으로 고쳐서 계하(啓下)하게 하소서." 하니, 윤허하였다. 備邊司啓: "元孫宮藏胎使, 請以從二品改啓下。" 允之。 |
||
출처: 『영조실록』79권,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2번째 기사 |
『정조실록』4권, 정조 1년(1777) 12월 24일 병진(丙辰) 1번째 기사
『정조실록』25권, 정조 12년(1788) 1월 13일 병자(丙子) 1번째 기사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8월 10일 갑인(甲寅) 3번째 기사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0월 9일 임자(壬子) 2번째 기사
《영월부에 있는 선대왕의 태실 가봉을 거행하도록 명하다》
영월부(寧越府)에 있는 선대왕(先大王)의 태실(胎室) 가봉(加封)을 이달 27일에 거행하도록 하라고 명하였다. 寧越府先大王胎室加封, 命以今月二十七日擧行。 |
||
출처: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0월 9일 임자(壬子) 2번째 기사 |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8일 신사(辛巳) 1번째 기사
《사당을 주토한 뒤에 종묘에 고유하는 일에 관한 하교》
차대하였다. 임금이 예조 판서를 앞으로 나오라고 명하고 하교하기를, "태실(胎室)을 가봉(加封)한 뒤에 별단(別單)을 닦아서 들이는 것이 옳겠다." 하였다. 次對。 上命禮判進前, 敎曰: "胎室加封後, 別單修入可矣。" |
||
출처: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8일 신사(辛巳) 1번째 기사 |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8일 신사(辛巳) 4번째 기사
《선대왕의 태봉 금표 안의 민가 민전을 헐지 말고 묵히지 말라고 명하다》
선대왕(先大王)의 태봉(胎封) 금표(禁標) 안에 있는 민가(民家)와 민전(民田)을 헐지 말고 묵히지 말라고 명하였다. 命先大王胎封禁標內民家民田, 勿毁勿陳。 |
||
출처: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8일 신사(辛巳) 4번째 기사 |
『순조실록』3권, 순조 1년(1801) 11월 11일 갑신(甲申) 1번째 기사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1088책 (탈초본 60책) 영조 28년(1752) 11월 23일 경진(庚辰) 15/19 기사
『승정원일기』 1088책 (탈초본 60책) 영조 28년(1752) 11월 24일 신사(辛巳) 23/28 기사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6일 임술(任戌) 7/15 기사
《職名이 없는 任鏡觀에게 口傳으로 軍職을 붙여줄 것을 청하는 吏曹의 草記》
李之億, 以吏曹言啓曰, 元孫阿只氏藏胎使從事官前正言任鏡觀, 時無職名, 令該曹口傳付軍職, 何如? 傳曰, 允。 |
||
출처: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6일 임술(任戌) 7/15 기사 |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18/38 기사
金致仁, 以備邊司言啓曰, 元孫宮藏胎使, 當以從二品差送, 而該曹誤以正二品啓下云。當該銓堂, 推考警責。發行擇日, 在於明日, 事勢甚急。分付該曹, 以從二品, 卽爲改啓下, 以爲趁卽發行之地, 何如?
傳曰, 允。 |
||
출처: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18/38 기사 |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27/38 기사
《朴正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吏曹口傳政事, 檢閱二, 朴正源·李命植單付, 元孫阿只氏藏胎使尹光毅。 |
||
출처: 『승정원일기』 1090책 (탈초본 60책) 영조 29년(1753) 1월 14일 경오(庚午) 27/38 기사 |
『승정원일기』 1410책 (탈초본 78책) 정조 1년(1777) 12월 24일 병진(丙辰) 9/12 기사
『승정원일기』 1447책 (탈초본 79책) 정조 3년(1779) 8월 25일 병자(丙子) 20/21 기사
『승정원일기』 1607책 (탈초본 86책) 정조 10년(1786) 윤 7월 29일 경자(庚子) 21/23 기사
『승정원일기』 1629책 (탈초본 86책) 정조 11년(1787) 7월 6일 신미(辛未) 25/28 기사
『승정원일기』 1635책 (탈초본 87책) 정조 11년(1787) 10월 10일 갑진(甲辰) 19/20 기사
『승정원일기』 1638책 (탈초본 87책) 정조 12년(1788) 1월 13일 병자(丙子) 20/21 기사
『승정원일기』 1647책 (탈초본 87책) 정조 12년(1788) 10월 28일 병진(丙辰) 26/40 기사
李洪載, 以觀象監官員, 以領事提調意啓曰, 寧越胎室加封事, 今春陳達, 旣承待秋成擧行之命矣。今則滌場不遠, 分付該曹, 使之卜日擧行, 何如?
傳曰, 待豐更稟, 可也。 |
||
출처: 『승정원일기』 1647책 (탈초본 87책) 정조 12년(1788) 10월 28일 병진(丙辰) 26/40 기사 |
『승정원일기』 1686책 (탈초본 89책) 정조 15년(1791) 1월 28일 계묘(癸卯) 16/16 기사
『승정원일기』 1722책 (탈초본 91책) 정조 17년(1793) 10월 29일 기축(己丑) 11/12 기사
『승정원일기』 1836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801) 4월 16일 임술(任戌) 26/26 기사
『승정원일기』 1840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8월 10일 갑인(甲寅) 19/19 기사
『승정원일기』 1840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8월 16일 경신(庚申) 21/22 기사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10월 9일 임자(壬子) 42/42 기사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10월 15일 무오(戊午) 27/27 기사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10월 17일 경신(庚申) 19/30 기사
宋祥濂, 以禮曹言啓曰, 今此莊陵奉審及胎室書標事進去, 本曹堂上所用奉使印信一顆, 依前例齎去之意, 敢啓。
傳曰, 知道。 |
||
출처: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1301) 10월 17일 경신(庚申) 19/30 기사 |
『승정원일기』 1843책 (탈초본 98책) 순조 1년(1301) 11월 11일 갑신(甲申) 10/26 기사
『승정원일기』 1843책 (탈초본 98책) 순조 1년(1301) 11월 18일 신묘(辛卯) 22/23 기사
지식 관계망
태실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스틸샷 갤러리
수치지형도
전자지도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