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정공주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내용) |
||
44번째 줄: | 44번째 줄: | ||
효종의 다른 여러 공주들과 함께 안태의 논의가 있었다. 1660년(현종 1) 3월 18일 처음 태봉 조성에 대한 내용이 보이는데 왕자군과 동일하게 삼망(三望) 중 한 곳을 낙점하고 있다. 다만 출생한 해에 따라 조성 시점을 달리 잡고 있다. 숙정공주의 경우 숙휘공주와 함께 태실이 조성되었다. | 효종의 다른 여러 공주들과 함께 안태의 논의가 있었다. 1660년(현종 1) 3월 18일 처음 태봉 조성에 대한 내용이 보이는데 왕자군과 동일하게 삼망(三望) 중 한 곳을 낙점하고 있다. 다만 출생한 해에 따라 조성 시점을 달리 잡고 있다. 숙정공주의 경우 숙휘공주와 함께 태실이 조성되었다. | ||
− | 태실지에는 | + | 태실지에는 인성군 태실과 같이 봉분이 있고 앞에 각각 공주의 태실비가 세워져 있다. 태실 옆 복원기가 있는데 내용을 살펴보면 1993년에 복원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완벽한 복원인지는 의문이다. |
인근 골짜기를 살펴보면 태실의 것으로 보이는 석물들이 흩어져 있다. 빠른 시일에 지표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인근 골짜기를 살펴보면 태실의 것으로 보이는 석물들이 흩어져 있다. 빠른 시일에 지표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2021년 11월 25일 (목) 12:48 기준 최신판
숙정공주 태실(淑靜公主 胎室) | |
식별자 | PC038 |
---|---|
분류 | 왕자공주 태실 |
한글명 | 숙정공주 태실 |
한자명 | 淑靜公主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Princess SookJeong |
피안자 명칭 | 숙정공주(淑靜公主) |
피안자 부 | 효종(孝宗) |
피안자 모 | 인선왕후(仁宣王后) 장씨(張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645 |
피안자 몰년월일 | 1668.06.13 |
안태 연월일 | 1664.11.07 |
안태지 좌표(위도) | 37°26'38.1"N |
안태지 좌표(경도) | 127°87'2.61"E |
안태지 주소 |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대안3리 1974-1번지(운산태봉) |
문화재 지정여부 | 미지정 |
이안 연월일 | 1930.05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39'52.9"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51'38.0"E |
지문 | 丙戌年,十一月初七日亥時誕生,淑靜公主阿只氏胎,康熙元年十一月二十五日,巳時藏 |
지문 찬자 | 조선 예조(禮曹)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석물 | 숙정공주 아기씨태실비(淑靜公主阿只氏胎室碑) |
태항아리 | 효종 왕녀 숙정공주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내용[편집]
효종과 인선왕후 사이의 소생이다.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에게 하가했다.
효종의 다른 여러 공주들과 함께 안태의 논의가 있었다. 1660년(현종 1) 3월 18일 처음 태봉 조성에 대한 내용이 보이는데 왕자군과 동일하게 삼망(三望) 중 한 곳을 낙점하고 있다. 다만 출생한 해에 따라 조성 시점을 달리 잡고 있다. 숙정공주의 경우 숙휘공주와 함께 태실이 조성되었다.
태실지에는 인성군 태실과 같이 봉분이 있고 앞에 각각 공주의 태실비가 세워져 있다. 태실 옆 복원기가 있는데 내용을 살펴보면 1993년에 복원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완벽한 복원인지는 의문이다.
인근 골짜기를 살펴보면 태실의 것으로 보이는 석물들이 흩어져 있다. 빠른 시일에 지표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상세[편집]
숙정공주(淑靜公主) 태실 초안지는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대안3리 1974-1에 소재한다.
대안리 태실(大安里胎室), 운산태실(雲山胎室) 등의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언니인 숙휘공주(淑徽公主)와 함께 쌍태실(雙胎室)로 조성되었다.
1929년 이왕직에 의해 태실이 서삼릉으로 이안되면서 본래의 경관이 훼손되었으나 1993년 11월 금물산 클럽이라는 민간단체가 흩어져 있던 태함과 함개, 아기태실비 등을 수습해 지금과 같이 복원하였다.[1] 인근 골짜기를 살펴보면 태실 석물로 추정되는 돌이 흩어져 있어 지표조사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기태실비는 비수와 비신 상부가 절단되어 유실된 것을 새로 만들어 결합하였으며 명문이 새겨져있다. 명문의 앞면은 ‘淑靜公主阿只氏胎室’이며 뒷면 우측에는 ‘康熙元年十一月二十五日巳時立’이라 새겨져 아기태실비의 건립년도가 1662년 11월 25일임을 확인할 수 있다.
뒷면 우측에는 ‘咸豊五年三月十七日六代孫基鎬’라는 명문이 각자되었는데 1855년 3월 17일에 숙정공주의 6대손 정기호(鄭基鎬)라는[2] 사실만이 명시되어 이것이 아기태실비의 수개(修改)나 개건(改建)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명확하지 않다.[3]
숙정공주는 효종과 인선왕후(仁宣王后)의 5왕녀로 태지석에 의하면 1646년 11월 초7일 해시(亥時)에 태어났으며 1662년 11월 25일 사시(巳時)에 안태했다.[4] 정태화(鄭太和)의 아들인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에게 하가(下嫁)하였으며 1668년 5월 5일 24세의 일기로 사망했다.[5]
관련 기록[편집]
지식 관계망[편집]
시각자료[편집]
파노라마[편집]
전자지도[편집]
참고 자료[편집]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편집]
1.고문헌
- 조선 예조(禮曹), 『가례등록(嘉禮謄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이규상 편, 『한국의 태실』, 청원문화원, 2005.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편집]
주석[편집]
- ↑ 홍성익, 「江原地域 胎室에 관한 硏究」, 『江原文化史硏究』, 제3권, 1998, 강원향토문화연구회, 72쪽.
- ↑ 숙정공주는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에게 하가하였으므로 ‘六代孫基鎬’는 정기호(鄭基鎬)라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 ↑ 江原鄕土文化硏究會, 『原州의 歷史와 文化遺蹟』, 원주시, 1997, 640쪽; 김성찬, 「原州 胎室考」, 『原州얼』, 제6호, 원주문화원부설 원주얼심기협의회, 1996, 101쪽; 홍성익, 위의 논문(1998), 75쪽.
- ↑ 『淑靜公主胎誌石』, 1662, 丙戌年十一月初七日亥時誕生 淑靜公主阿只氏胎 康熙元年十一月二十五日巳時藏.
- ↑ 『顯宗改修實錄』 9년(1668) 5월 5일 임인. 淑靜公主卒 公主 上之女弟也 下嫁東平尉 鄭載崙 至是 以疾卒 上震悼 停朝市三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