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유옹주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osamneung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잔글 (→‎정의)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44번째 줄: 44번째 줄:
 
태실의 조성과 관련한 내용이 《승정원일기》와 《태봉등록》에서 보인다. 공사는 10월 30일 시작하여 11월 28일에 마쳤다. 태실을 조성하는데 약 한 달이 소용된 것이다.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남아의 태실과 여아의 태실은 안태까지 소용되는 기간이 다를 뿐 삼망(三望)으로 태실지를 선정한 뒤 낙점하는 모습이 드러난다.
 
태실의 조성과 관련한 내용이 《승정원일기》와 《태봉등록》에서 보인다. 공사는 10월 30일 시작하여 11월 28일에 마쳤다. 태실을 조성하는데 약 한 달이 소용된 것이다.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남아의 태실과 여아의 태실은 안태까지 소용되는 기간이 다를 뿐 삼망(三望)으로 태실지를 선정한 뒤 낙점하는 모습이 드러난다.
  
현재 태실지에는 어떤 석물도 보이지 않는다. 다만 태실비의 경우 당진의 순성초등학교 교정에 옮겨져있다. 이 비석 앞에 만들어진 설명판을 보면 태실이 훼손된 후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던 비석을 알 수 없는 시점에 학교 교정으로 옮긴 것으로 보인다. 설명판이 1989년 9월 25일에 만들어진 것으로 미루어 최소 이 시점에는 학교에서 관리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현재 태실지에는 어떤 석물도 보이지 않는다. 다만 태실비의 경우 당진의 순성초등학교 교정에 옮겨져있다.  
 +
 
 +
이 비석 앞에 만들어진 설명판을 보면 태실이 훼손된 후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던 비석을 알 수 없는 시점에 학교 교정으로 옮긴 것으로 보인다.  
 +
 
 +
설명판이 1989년 9월 25일에 만들어진 것으로 미루어 최소 이 시점에는 학교에서 관리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52번째 줄: 56번째 줄:
 
===스틸샷 갤러리===
 
===스틸샷 갤러리===
 
<gallery>
 
<gallery>
File:SSNPC_HwaYu01.JPG|서삼릉 태실 화유옹주 태실 전경
+
File:SSNPC_HwaYu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화유옹주 태실 전경
File:SSNPC_HwaYu02.JPG|서삼릉 태실 화유옹주 태실 후면  
+
File:SSNPC_HwaYu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화유옹주 태실 후면
 +
File:OGPC_HwaYu_san01.JPG|당진 순성면 성북리 태봉산 근경
 +
File:OGPC_HwaYu_san02.JPG|당진 순성면 성북리 태봉산 전경
 +
File:OGPC_HwaYu_Tashil_site02.JPG|당진 성북리 화유옹주 태실 초안지 전경 ①
 +
File:OGPC_HwaYu_Tashil_site03.JPG|당진 성북리 화유옹주 태실 초안지 전경 ②
 +
File:OGPC_HwaYu_Tashil_biseok_Front.JPG|당진 순성초등학교 경내 석조유물원 소재 화유옹주 태실비(胎室碑) 전경
 +
File:OGPC_HwaYu_Tashil_biseok_back.JPG|당진 순성초등학교 경내 석조유물원 소재 화유옹주 태실비 후면
 +
File:OGPC_HwaYu_Tashil_biseok_left.JPG|당진 순성초등학교 경내 석조유물원 소재 화유옹주 태실비 좌측
 +
File:OGPC_HwaYu_Tashil_biseok_right.JPG|당진 순성초등학교 경내 석조유물원 소재 화유옹주 태실비 우측
 +
File:OGPC_HwaYu_Tashil_biseok_board.JPG|당진 순성초등학교 경내 석조유물원 소재 화유옹주 태실비 안내판
 +
</gallery>
 +
 
 +
<gallery mode="slideshow">
 +
File:SSNPC_HwaYu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화유옹주 태실 전경
 +
File:SSNPC_HwaYu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화유옹주 태실 후면  
 
File:OGPC_HwaYu_san01.JPG|당진 순성면 성북리 태봉산 근경
 
File:OGPC_HwaYu_san01.JPG|당진 순성면 성북리 태봉산 근경
 
File:OGPC_HwaYu_san02.JPG|당진 순성면 성북리 태봉산 전경
 
File:OGPC_HwaYu_san02.JPG|당진 순성면 성북리 태봉산 전경
File:OGPC_HwaYu_Tashil_site02.JPG|당진 성북리 화유옹주 태실 전경 ①
+
File:OGPC_HwaYu_Tashil_site02.JPG|당진 성북리 화유옹주 태실 초안지 전경 ①
File:OGPC_HwaYu_Tashil_site03.JPG|당진 성북리 화유옹주 태실 전경 ②
+
File:OGPC_HwaYu_Tashil_site03.JPG|당진 성북리 화유옹주 태실 초안지 전경 ②
 
File:OGPC_HwaYu_Tashil_biseok_Front.JPG|당진 순성초등학교 경내 석조유물원 소재 화유옹주 태실비(胎室碑) 전경
 
File:OGPC_HwaYu_Tashil_biseok_Front.JPG|당진 순성초등학교 경내 석조유물원 소재 화유옹주 태실비(胎室碑) 전경
 
File:OGPC_HwaYu_Tashil_biseok_back.JPG|당진 순성초등학교 경내 석조유물원 소재 화유옹주 태실비 후면
 
File:OGPC_HwaYu_Tashil_biseok_back.JPG|당진 순성초등학교 경내 석조유물원 소재 화유옹주 태실비 후면
64번째 줄: 82번째 줄:
 
File:OGPC_HwaYu_Tashil_biseok_board.JPG|당진 순성초등학교 경내 석조유물원 소재 화유옹주 태실비 안내판
 
File:OGPC_HwaYu_Tashil_biseok_board.JPG|당진 순성초등학교 경내 석조유물원 소재 화유옹주 태실비 안내판
 
</gallery>
 
</gallery>
<!--
 
====현재의 묘역====
 
*가상현실 예시 : 충주 억정사지
 
<html>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37/Eokjeo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초장 추정지====
 
*가상현실 예시 : 용인 서봉사지
 
<html>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6/Sebo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
 
 
===파노라마===
 
===파노라마===
 
<html>
 
<html>

2020년 1월 13일 (월) 08:21 기준 최신판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화유옹주 태실(和柔翁主 胎室)
충남 당진시 순성면 성북리 태봉산 화유옹주 태실 터 전경
식별자 PC042
분류 왕자공주 태실
한글명 화유옹주 태실
한자명 和柔翁主 胎室
영문명 Placenta Chamber of Princess Hwayoo
피안자 명칭 화유옹주(和柔翁主)
피안자 이칭 미상
피안자 부 영조(英祖)
피안자 모 귀인 조씨(貴人 趙氏)
피안자 생년월일 1740.09.29
피안자 몰년월일 1777.05.21
안태 연월일 1740 추정
안태지 기록 미상
안태지 좌표(위도) 36°84'70.85"N
안태지 좌표(경도) 126°68'17.43"E
안태지 주소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 성북리 산188-1
문화재 지정여부 미지정
이안 연월일 1929 추정
이안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안지 좌표(위도) 37°39'52.9"N
이안지 좌표(경도) 126°51'38.0"E
지문 乾隆五年庚申,九月二十九日生,翁主阿只氏胎,藏于唐津郡順城面,昭和四年,月日移藏
지문 찬자 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지문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석물 화유옹주 아기씨 태실비 순성초등학교 교정 내 전시중
태항아리 영조 왕녀 화유옹주 태지석 및 외항아리 1점
태항아리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내용[편집]

영조와 귀인조씨 사이에서 태어난 옹주이다. 창성위(昌城尉) 황인점(黃仁點)에게 하가했다.

태실의 조성과 관련한 내용이 《승정원일기》와 《태봉등록》에서 보인다. 공사는 10월 30일 시작하여 11월 28일에 마쳤다. 태실을 조성하는데 약 한 달이 소용된 것이다.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남아의 태실과 여아의 태실은 안태까지 소용되는 기간이 다를 뿐 삼망(三望)으로 태실지를 선정한 뒤 낙점하는 모습이 드러난다.

현재 태실지에는 어떤 석물도 보이지 않는다. 다만 태실비의 경우 당진의 순성초등학교 교정에 옮겨져있다.

이 비석 앞에 만들어진 설명판을 보면 태실이 훼손된 후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던 비석을 알 수 없는 시점에 학교 교정으로 옮긴 것으로 보인다.

설명판이 1989년 9월 25일에 만들어진 것으로 미루어 최소 이 시점에는 학교에서 관리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지식 관계망[편집]


시각자료[편집]

스틸샷 갤러리[편집]

파노라마[편집]

전자지도[편집]

전자지도[편집]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참고 자료[편집]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편집]

1.고문헌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이규상 편, 『한국의 태실』, 청원문화원, 2005.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편집]

주석[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