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종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잔글 |
잔글 (→스틸샷 갤러리)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 }} | ||
− | ==''' | + | =='''내용'''== |
− | 조선 | + | 조선 제8대 국왕 예종의 태실이다. |
+ | 세조가 잠저 시절 태어났기 때문에 본래 어디에 안태했는 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태지석의 내용으로 미루어 1462년(세조 8) 왕세자 책봉이 이루어진 이후 다시 고쳐 안태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후 가봉에 대한 기록은 실록에서 찾아볼 수 없다. 다만 가봉비의 내용과 이와 관련한 기록을 보면, 1578년(선조 11)에 처음 세워지고 1734년(영조 10)에 다시 비석을 입석한 것으로 되어있다. | ||
+ | |||
+ | 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1731년(영조 7) 세종·단종·현종 태실과 더불어 석물 수개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1734년 비석에 문제가 생겨 이 때 비석을 다시 마련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 전하는 비석의 음기에는 영조 때 수개 기록은 추각되어있지 않고 다만 선조 때 비석을 세운 기록만 남아있다. | ||
+ | |||
+ | 현재 본래 태실이 위치했던 곳은 분묘가 조성되어 있으며, 태실과 관련한 것으로 여겨지는 일부 석물이 확인된다. 태실과 관련한 석물은 현재 전주시 경기전 경내에 위치해있다. 태실 석물들은 현재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어있다. | ||
=='''관련 기록'''== | =='''관련 기록'''== | ||
325번째 줄: | 330번째 줄: | ||
File:OGPC007_01.jpg|완주 큰태봉산 전경 | File:OGPC007_01.jpg|완주 큰태봉산 전경 | ||
File:OGPC007_02.jpg|완주 큰태봉산 예종 태실 초안지 분묘 전경 | File:OGPC007_02.jpg|완주 큰태봉산 예종 태실 초안지 분묘 전경 | ||
− | File:OGPC007_03.jpg|완주 큰태봉산 예종 태실 초안지 | + | File:OGPC007_03.jpg|완주 큰태봉산 예종 태실 초안지 우전석 유구 |
File:OGPC007_04.jpg|완주 큰태봉산 예종 태실 초안지 안내판 | File:OGPC007_04.jpg|완주 큰태봉산 예종 태실 초안지 안내판 | ||
File:OGPC007_05.jpg|전주 경기전 예종 가봉태실 전경-1 | File:OGPC007_05.jpg|전주 경기전 예종 가봉태실 전경-1 | ||
436번째 줄: | 441번째 줄: | ||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
− | ' <a href="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 | + | ' <a href="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07/PC007.htm" target="_blank">' + |
' <span class="title">예종 태실 초안지</span>' + | ' <span class="title">예종 태실 초안지</span>' + | ||
' </a>' + | ' </a>' + |
2020년 5월 27일 (수) 23:02 기준 최신판
예종 태실(睿宗 胎室) | |
식별자 | PC007 |
---|---|
분류 | 국왕 태실 |
한글명 | 예종 태실 |
한자명 | 睿宗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King Yejong |
피안자 명칭 | 예종(睿宗) |
피안자 이칭 | 이황(李晄)·자(字) 명조(明照)·양도대왕(襄悼大王)·창릉(昌陵) |
피안자 부 | 세조(世祖) |
피안자 모 | 정희왕후(貞熹王后) 윤씨(尹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450.01.14 |
피안자 몰년월일 | 1469.12.31 |
안태 연월일 | 1462.10.15 『예종 태지석』 |
안태지 기록 | 전라도 전주부(全州府) 『영조실록』 |
안태지 기록1 | 전주(全州) 태실산(胎室山) 『정조실록』 |
안태지 기록2 | 전북 전주군 구이면 『서삼릉 예종 태실 후면 각자』 |
안태지 좌표(위도) | 35°74'28.17"N |
안태지 좌표(경도) | 127°14'24.18"E |
안태지 주소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산158 |
문화재 지정여부 |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26호 |
이안 연월일 | 1929 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66'45.61"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86'06.29"E |
지문 | 皇明景泰元年庚午,正月,初壹日,酉時生,王世子晃胎,天順陸年,拾月,拾伍日丙子,癸時藏 |
지문 찬자 | 조선 예조(朝鮮 禮曹)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석물 | 태조 가봉태실 경기전 내 복원 |
태항아리 | 예종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목차
- 1 내용
- 2 관련 기록
- 2.1 조선왕조실록
- 2.1.1 『세조실록』29권, 세조 8년(1462) 8월 22일 갑신(甲申) 2번째 기사
- 2.1.2 『영조실록』30권, 영조 7년(1731) 12월 15일 갑진(甲辰) 2번째 기사
- 2.1.3 『영조실록』30권, 영조 10년(1734) 4월 10일 을묘(乙卯) 3번째 기사
- 2.1.4 『영조실록』38권, 영조 10년(1734) 7월 11일 갑신(甲申) 2번째 기사
- 2.1.5 『정조실록』18권, 정조 8년(1784) 9월 15일 정묘(丁卯) 1번째 기사
- 2.1.6 『순조실록』32권, 순조 31년(1831) 11월 12일 경신(庚申) 1번째 기사
- 2.2 승정원일기
- 2.2.1 『승정원일기』 724책 (탈초본 40책) 영조 7년(1731) 6월 10일 신축(辛丑) 33/33 기사
- 2.2.2 『승정원일기』 727책 (탈초본 40책) 영조 7년(1731) 7월 28일 기축(己丑) 34/35 기사
- 2.2.3 『승정원일기』 736책 (탈초본 40책) 영조 7년(1731) 12월 16일 정미(丁未) 9/9 기사
- 2.2.4 『승정원일기』 748책 (탈초본 41책) 영조 8년(1732) 8월 5일 기미(己未) 31/31 기사
- 2.2.5 『승정원일기』 762책 (탈초본 42책) 영조 9년(1733) 7월 15일 갑오(甲午) 28/28 기사
- 2.2.6 『승정원일기』 777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4월 10일 을묘(乙卯) 24/24 기사
- 2.2.7 『승정원일기』 779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5월 12일 정해(丁亥) 16/28 기사
- 2.2.8 『승정원일기』 779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5월 14일 기축(己丑) 22/29 기사
- 2.2.9 『승정원일기』 783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7월 11일 갑신(甲申) 25/26 기사
- 2.2.10 『승정원일기』 783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7월 16일 기축(己丑) 16/20 기사
- 2.2.11 『승정원일기』 783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7월 16일 기축(己丑) 20/20 기사
- 2.2.12 『승정원일기』 1014책 (탈초본 55책) 영조 23년(1747) 3월 25일 을묘(乙卯) 30/30 기사
- 2.1 조선왕조실록
- 3 지식 관계망
- 4 시각자료
- 5 수치지형도
- 6 전자지도
- 7 참고 자료
- 8 주석
내용[편집]
조선 제8대 국왕 예종의 태실이다.
세조가 잠저 시절 태어났기 때문에 본래 어디에 안태했는 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태지석의 내용으로 미루어 1462년(세조 8) 왕세자 책봉이 이루어진 이후 다시 고쳐 안태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후 가봉에 대한 기록은 실록에서 찾아볼 수 없다. 다만 가봉비의 내용과 이와 관련한 기록을 보면, 1578년(선조 11)에 처음 세워지고 1734년(영조 10)에 다시 비석을 입석한 것으로 되어있다.
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1731년(영조 7) 세종·단종·현종 태실과 더불어 석물 수개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1734년 비석에 문제가 생겨 이 때 비석을 다시 마련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 전하는 비석의 음기에는 영조 때 수개 기록은 추각되어있지 않고 다만 선조 때 비석을 세운 기록만 남아있다.
현재 본래 태실이 위치했던 곳은 분묘가 조성되어 있으며, 태실과 관련한 것으로 여겨지는 일부 석물이 확인된다. 태실과 관련한 석물은 현재 전주시 경기전 경내에 위치해있다. 태실 석물들은 현재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어있다.
관련 기록[편집]
조선왕조실록[편집]
『세조실록』29권, 세조 8년(1462) 8월 22일 갑신(甲申) 2번째 기사[편집]
『영조실록』30권, 영조 7년(1731) 12월 15일 갑진(甲辰) 2번째 기사[편집]
『영조실록』30권, 영조 10년(1734) 4월 10일 을묘(乙卯) 3번째 기사[편집]
『영조실록』38권, 영조 10년(1734) 7월 11일 갑신(甲申) 2번째 기사[편집]
『정조실록』18권, 정조 8년(1784) 9월 15일 정묘(丁卯) 1번째 기사[편집]
『순조실록』32권, 순조 31년(1831) 11월 12일 경신(庚申) 1번째 기사[편집]
승정원일기[편집]
『승정원일기』 724책 (탈초본 40책) 영조 7년(1731) 6월 10일 신축(辛丑) 33/33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727책 (탈초본 40책) 영조 7년(1731) 7월 28일 기축(己丑) 34/35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736책 (탈초본 40책) 영조 7년(1731) 12월 16일 정미(丁未) 9/9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748책 (탈초본 41책) 영조 8년(1732) 8월 5일 기미(己未) 31/31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762책 (탈초본 42책) 영조 9년(1733) 7월 15일 갑오(甲午) 28/28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777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4월 10일 을묘(乙卯) 24/24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779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5월 12일 정해(丁亥) 16/28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779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5월 14일 기축(己丑) 22/29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783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7월 11일 갑신(甲申) 25/26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783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7월 16일 기축(己丑) 16/20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783책 (탈초본 43책) 영조 10년(1734) 7월 16일 기축(己丑) 20/20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1014책 (탈초본 55책) 영조 23년(1747) 3월 25일 을묘(乙卯) 30/30 기사[편집]
지식 관계망[편집]
태실 지식 관계망[편집]
시각자료[편집]
파노라마[편집]
스틸샷 갤러리[편집]
수치지형도[편집]
전자지도[편집]
참고 자료[편집]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편집]
1.고문헌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