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종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잔글 |
잔글 (→정의)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 }} | ||
− | ==''' | + | =='''내용'''== |
− | + | 조선 제5대 국왕 문종의 태실이다. | |
+ | 국왕으로 즉위 후 가봉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 태가 위치한 은풍현(殷豐縣)은 군으로 승격했는데 기천현(基川縣)을 합속시켜 풍기군(豐基郡)으로 이름했다. | ||
+ | |||
+ | 세종 때 난간을 나무로 만들게 했는데 잘 지켜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세조 때 태실의 석난간과 전석을 수리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1666년(현종 7) 울산부사 남천택이 문종 태봉이 위치한 곳에 전장(田莊)을 설치한 것이 발각되는 등 부침을 겪었다. | ||
=='''관련 기록'''== | =='''관련 기록'''== | ||
393번째 줄: | 396번째 줄: | ||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
− | ' <a href="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 | + | ' <a href="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05/PC005.htm" target="_blank">' + |
' <span class="title">문종 태실 초안지</span>' + | ' <span class="title">문종 태실 초안지</span>' + | ||
' </a>' + | ' </a>' + |
2020년 1월 13일 (월) 01:24 기준 최신판
문종 태실(文宗 胎室) | |
식별자 | PC005 |
---|---|
분류 | 국왕 태실 |
한글명 | 문종 태실 |
한자명 | 文宗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King Munjong |
피안자 명칭 | 문종(文宗) |
피안자 이칭 | 이향(李珦)·자(字) 휘지(輝之)·공순대왕(恭順大王)·현릉(顯陵) |
피안자 부 | 세종(世宗) |
피안자 모 |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414.11.15 |
피안자 몰년월일 | 1452.06.01 |
안태 연월일 | 미상 |
안태지 기록 | 경상도 풍기군 |
안태지 기록1 | 경상도 은풍현 『문종실록』 |
안태지 기록2 | 풍기(豊基) 명봉사(鳴鳳寺) 뒤 『정조실록』 |
안태지 기록3 | 경북 영주군 상리면 『서삼릉 문종 태실 후면 각자』 |
안태지 좌표(위도) | 36°77'85.68"N |
안태지 좌표(경도) | 128°37'63.73"E |
안태지 주소 | 경북 예천군 효자면 명봉리 산 2 |
문화재 지정여부 | 미정 |
이안 연월일 | 1929 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66'45.61"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86'06.29"E |
지문 | 永樂十二年甲午,正月,三日生,文宗大王胎,藏于榮州郡上里面,昭和四年,月,日移藏 |
지문 찬자 | 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석물 | 문종·장조 태실 석물군명봉사 경내 |
태항아리 | 문종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목차
- 1 내용
- 2 관련 기록
- 2.1 조선왕조실록
- 2.2 승정원일기
- 2.2.1 『승정원일기』 194책 (탈초본 10책) 현종 7년(1666) 4월 23일 계유(癸酉) 13/22 기사
- 2.2.2 『승정원일기』 195책 (탈초본 10책) 현종 7년(1666) 5월 11일 신묘(辛卯) 16/22 기사
- 2.2.3 『승정원일기』 195책 (탈초본 10책) 현종 7년(1666) 5월 28일 무신(戊申) 14/17 기사
- 2.2.4 『승정원일기』 195책 (탈초본 10책) 현종 7년(1666) 5월 29일 기유(己酉) 13/15 기사
- 2.2.5 『승정원일기』 198책 (탈초본 10책) 현종 7년(1666) 12월 25일 신미(辛未) 14/18 기사
- 2.2.6 『승정원일기』 796책 (탈초본 44책) 영조 11년(1735) 3월 7일 정축(丁丑) 12/14 기사
- 2.2.7 『승정원일기』 799책 (탈초본 44책) 영조 11년(1735) 윤 4월 15일 갑신(甲申) 22/22 기사
- 2.2.8 『승정원일기』 807책 (탈초본 45책) 영조 11년(1735) 8월 23일 기축(己丑) 28/42 기사
- 2.2.9 『승정원일기』 1568책 (탈초본 84책) 정조 8년(1784) 10월 8일 경인(庚寅) 46/48 기사
- 3 지식 관계망
- 4 시각자료
- 5 수치지형도
- 6 전자지도
- 7 참고 자료
- 8 주석
내용[편집]
조선 제5대 국왕 문종의 태실이다.
국왕으로 즉위 후 가봉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 태가 위치한 은풍현(殷豐縣)은 군으로 승격했는데 기천현(基川縣)을 합속시켜 풍기군(豐基郡)으로 이름했다.
세종 때 난간을 나무로 만들게 했는데 잘 지켜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세조 때 태실의 석난간과 전석을 수리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1666년(현종 7) 울산부사 남천택이 문종 태봉이 위치한 곳에 전장(田莊)을 설치한 것이 발각되는 등 부침을 겪었다.
관련 기록[편집]
조선왕조실록[편집]
『문종실록』2권, 문종 즉위년(1450) 7월 4일 병오(丙午) 2번째 기사[편집]
『문종실록』2권, 문종 즉위년(1450) 7월 26일 무진(戊辰) 6번째 기사[편집]
『문종실록』6권, 문종 1년(1451) 9월 28일 계해(癸亥) 7번째 기사[편집]
『세조실록』30권, 세조 9년(1463) 3월 4일 계사(癸巳) 1번째 기사[편집]
『현종실록』12권, 현종 7년(1666) 4월 21일 신미(辛未) 3번째 기사[편집]
『정조실록』18권, 정조 8년(1784) 9월 15일 정묘(丁卯) 1번째 기사[편집]
승정원일기[편집]
『승정원일기』 194책 (탈초본 10책) 현종 7년(1666) 4월 23일 계유(癸酉) 13/22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195책 (탈초본 10책) 현종 7년(1666) 5월 11일 신묘(辛卯) 16/22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195책 (탈초본 10책) 현종 7년(1666) 5월 28일 무신(戊申) 14/17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195책 (탈초본 10책) 현종 7년(1666) 5월 29일 기유(己酉) 13/15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198책 (탈초본 10책) 현종 7년(1666) 12월 25일 신미(辛未) 14/18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796책 (탈초본 44책) 영조 11년(1735) 3월 7일 정축(丁丑) 12/14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799책 (탈초본 44책) 영조 11년(1735) 윤 4월 15일 갑신(甲申) 22/22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807책 (탈초본 45책) 영조 11년(1735) 8월 23일 기축(己丑) 28/42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1568책 (탈초본 84책) 정조 8년(1784) 10월 8일 경인(庚寅) 46/48 기사[편집]
지식 관계망[편집]
태실 지식 관계망[편집]
시각자료[편집]
파노라마[편집]
스틸샷 갤러리[편집]
수치지형도[편집]
전자지도[편집]
참고 자료[편집]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편집]
1.고문헌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