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군 녀 영수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잔글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태실조사카드 | {{태실조사카드 | ||
− | |사진= | + | |사진=OGPC027_001.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연산군 왕녀 영수 태실 추정지 공중 전경 |
|식별자=PC031 | |식별자=PC031 | ||
|분류=왕자공주 태실 | |분류=왕자공주 태실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안태 연월일=1502.11.12 | |안태 연월일=1502.11.12 | ||
|안태지 기록= | |안태지 기록= | ||
− | |안태지 좌표(위도)= | + | |안태지 좌표(위도)=37°70'69.51"N |
− | |안태지 좌표(경도)= | + | |안태지 좌표(경도)=127°16'05.76"E |
|안태지 주소=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 |안태지 주소=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 ||
|문화재 지정여부=미지정 | |문화재 지정여부=미지정 | ||
|이안 연월일=1929.05 <small>추정</small> | |이안 연월일=1929.05 <small>추정</small> | ||
|이안지=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
− | |이안지 좌표(위도)= | + | |이안지 좌표(위도)=37°66'45.61"N |
− | |이안지 좌표(경도)= | + | |이안지 좌표(경도)=126°86'06.29"E |
|지문=王女靈壽胎,弘治十五年,十一月十二日,藏于楊州郡榛接面,昭和四年,月,日移藏 | |지문=王女靈壽胎,弘治十五年,十一月十二日,藏于楊州郡榛接面,昭和四年,月,日移藏 | ||
|지문 찬자=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 |지문 찬자=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 ||
|지문 소장처=국립고궁박물관 | |지문 소장처=국립고궁박물관 | ||
+ | |석물= | ||
+ | |유물1= | ||
+ | |유물2= | ||
+ | |유물3= | ||
|태항아리=왕자 왕녀 영수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왕자 왕녀 영수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
|태항아리 소장처=국립고궁박물관 | |태항아리 소장처=국립고궁박물관 | ||
}} | }} | ||
− | ==''' | + | =='''내용'''== |
− | + | 연산군과 장녹수로 알려진 숙용 장씨의 소생이다. | |
+ | |||
+ | 《연산군일기》에 다수 등장하는 것으로 미루어 연산군이 아꼈던 딸임을 알 수 있다. | ||
+ | |||
+ | 지석의 내용에 따르면 1502년(연산군 8) 11월 12일 양주군 진접면에 태실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 ||
+ | |||
+ | 이 지역에는 성종의 왕자 수장의 태실이 있는 지역으로 태실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지역은 순강원 우강(右岡)과 제3062부대라 한다. | ||
+ | |||
+ | =='''상세'''== | ||
+ | 연산군(燕山君) 왕녀 영수(靈壽)의 태실은 이왕직에 의해 전국의 태실이 서삼릉으로 이안되는 과정에서 그 정확한 위치를 잃어버렸다. | ||
+ | |||
+ | 성종 왕자 수장의 태실과 함께 내각리에 위치한 두 태봉 중 하나가 영수의 태실로 추정되고 있다. | ||
+ | |||
+ | 영수는 장녹수(張綠水)로 널리 알려진 숙용 장씨(淑容張氏) 소생으로<ref>『燕山君日記』 8년(1502) 12월 8일 병오, 王嬖綠水生一女 名曰靈壽.</ref> 그 자세한 생애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유년기에 염질(染疾)이나<ref>위의 책, 11년(1505) 9월 4일 을유, 命加醫員朴繼善一資 賜銀帶 張淑容之女靈壽 適染疾 今繼善治之得愈 故有是命.</ref> 천연두(痘瘡)에 걸리는 등<ref>위의 책, 12년(1506) 3월 21일 신축, 傳曰 靈壽阿只 在具壽永家 痘瘡向瘳 其賜壽永米五十碩 鞍具馬一匹.</ref> 건강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조졸한 것으로 추정된다. | ||
+ | |||
+ | |||
=='''관련 기록'''== | =='''관련 기록'''== | ||
82번째 줄: | 101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계보도 지식관계망=== | ||
+ | {{NetworkGraph | title=영수_계보도.lst}}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gallery> | <gallery> | ||
− | File: | + | File:SSNPC031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영수 태실 전면 |
− | File: | + | File:SSNPC031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영수 태실 후면 |
− | File: | + | File:OGPC027_001.jpg|남양주 내각리 영수 태실 초안 추정지 공중 전경 |
− | File: | + | File:OGPC027_002.jpg|남양주 내각리 영수 태실 초안 추정지 전경 ① |
+ | File:OGPC027_003.jpg|남양주 내각리 영수 태실 초안 추정지 전경 ② | ||
+ | </gallery> | ||
+ | |||
+ | <gallery mode="slideshow"> | ||
+ | File:SSNPC031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영수 태실 전면 | ||
+ | File:SSNPC031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영수 태실 후면 | ||
+ | File:OGPC027_001.jpg|남양주 내각리 영수 태실 초안 추정지 공중 전경 | ||
+ | File:OGPC027_002.jpg|남양주 내각리 영수 태실 초안 추정지 전경 ① | ||
+ | File:OGPC027_003.jpg|남양주 내각리 영수 태실 초안 추정지 전경 ② | ||
</gallery> | </gallery> | ||
− | === | + | ===파노라마===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31/PC03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갤러리=== | ===갤러리=== |
2020년 9월 11일 (금) 23:00 기준 최신판
연산군 왕녀 영수 태실(燕山君 王女 靈壽 胎室) | |
식별자 | PC031 |
---|---|
분류 | 왕자공주 태실 |
한글명 | 연산군 왕녀 영수 태실 |
한자명 | 燕山君 王女 靈壽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Princess Yeongsu |
피안자 명칭 | 영수(靈壽) |
피안자 이칭 | 미상 |
피안자 부 | 연산군(燕山君) |
피안자 모 | 숙용 장씨(淑容張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502 추정 |
피안자 몰년월일 | 미상 |
안태 연월일 | 1502.11.12 |
안태지 좌표(위도) | 37°70'69.51"N |
안태지 좌표(경도) | 127°16'05.76"E |
안태지 주소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
문화재 지정여부 | 미지정 |
이안 연월일 | 1929.05 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66'45.61"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86'06.29"E |
지문 | 王女靈壽胎,弘治十五年,十一月十二日,藏于楊州郡榛接面,昭和四年,月,日移藏 |
지문 찬자 | 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태항아리 | 왕자 왕녀 영수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내용[편집]
연산군과 장녹수로 알려진 숙용 장씨의 소생이다.
《연산군일기》에 다수 등장하는 것으로 미루어 연산군이 아꼈던 딸임을 알 수 있다.
지석의 내용에 따르면 1502년(연산군 8) 11월 12일 양주군 진접면에 태실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지역에는 성종의 왕자 수장의 태실이 있는 지역으로 태실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지역은 순강원 우강(右岡)과 제3062부대라 한다.
상세[편집]
연산군(燕山君) 왕녀 영수(靈壽)의 태실은 이왕직에 의해 전국의 태실이 서삼릉으로 이안되는 과정에서 그 정확한 위치를 잃어버렸다.
성종 왕자 수장의 태실과 함께 내각리에 위치한 두 태봉 중 하나가 영수의 태실로 추정되고 있다.
영수는 장녹수(張綠水)로 널리 알려진 숙용 장씨(淑容張氏) 소생으로[1] 그 자세한 생애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유년기에 염질(染疾)이나[2] 천연두(痘瘡)에 걸리는 등[3] 건강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조졸한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 기록[편집]
조선왕조실록[편집]
『연산군일기』47권, 연산군 8년(1502) 12월 8일 병오(丙午) 1번째 기사[편집]
『연산군일기』59권, 연산군 11년(1505) 9월 4일 을유(乙酉) 1번째 기사[편집]
『연산군일기』61권, 연산군 12년(1506) 3월 21일 신축(辛丑) 3번째 기사[편집]
전교하기를,
"영수(靈壽) 아기가 구수영(具壽永)의 집에 있으면서 천연두[痘瘡]가 차차 나아가니, 수영에게 쌀 50석과 안장을 갖춘 말 한 필을 내리라." 하였다. 傳曰: "靈壽阿只, 在具壽永家, 痘瘡向瘳, 其賜壽永米五十碩, 鞍具馬一匹。" |
||
출처: 『연산군일기』61권, 연산군 12년(1506) 3월 21일 신축(辛丑) 3번째 기사 |
조선의 태실[편집]
『조선의 태실』2권, 「28.壽長 (추정 鳳安君)」[편집]
『조선의 태실』2권, 「54.靈壽 (燕山君 王女)」[편집]
지식 관계망[편집]
계보도 지식관계망[편집]
시각자료[편집]
파노라마[편집]
갤러리[편집]
전자지도[편집]
참고 자료[편집]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편집]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조선의 태실 2』, 전주이씨대동종약원,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