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군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osamneung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새 문서: {{Button|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태실조사카드 |사진=OGPC_Yeongsan_Front_View01.JPG |사진출처=경기 파...)
 
잔글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태실조사카드
 
{{태실조사카드
|사진=OGPC_Yeongsan_Front_View01.JPG
+
|사진=OGPC052_001.jpg
 
|사진출처=경기 파주시 적성면 어유지리의 영산군 태실 전경
 
|사진출처=경기 파주시 적성면 어유지리의 영산군 태실 전경
 
|식별자=PC052
 
|식별자=PC052
13번째 줄: 13번째 줄:
 
|피안자 부=성종(成宗)
 
|피안자 부=성종(成宗)
 
|피안자 모=숙용(淑容) 심씨(沈氏)
 
|피안자 모=숙용(淑容) 심씨(沈氏)
|피안자 생년월일=1490
+
|피안자 생년월일=1490.윤09.24
 
|피안자 몰년월일=1538
 
|피안자 몰년월일=1538
|안태 연월일=1490.윤09.24
+
|안태 연월일=1494.윤08.25
 
|안태지 기록=미상
 
|안태지 기록=미상
 
|안태지 기록1=
 
|안태지 기록1=
39번째 줄: 39번째 줄:
 
}}
 
}}
  
=='''정의'''==
+
=='''내용'''==
조선의 9대 왕 성종과 숙용 심씨 소생으로, 성종의 13남인 영산군 안태지(安胎地).
+
영산군은 성종과 숙용심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
영산군은 태어난 직후 병조에서 안태를 하려하였으나 가뭄이 들고 농번기라는 이유로 성종이 정파(停罷)하게 했다.
 +
 +
영산군 태실과 관련한 석물은 현재 전해지지 않으며, 태실지로 추정되는 곳에도 분묘가 들어서고 군 초소가 들어서는 등 현상이 크게 변경되었다.
 +
 +
=='''상세'''==
 +
영산군(寧山君) 태실의 초안지는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어유지1리 산78의 위치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으나<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서삼릉 내 묘역 및 태실 역사성 회복 연구』,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2019, 94쪽. </ref> 『조선의 태실 Ⅱ』에는 1999년 당시 군부대 내 대공초소가 설치된 태봉산의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으로 남겼다.<ref>이주환, 이진훈, 조원교 공저, 『朝鮮의 胎室 Ⅱ』, 전주이씨대동종약원, 1999, 52쪽.</ref>
 +
 +
『조선의 태실 Ⅱ』에 특정된 태봉산의 위치는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어유지리 15이며 제28보병사단이 자리하고 있다.
 +
 +
초안지는 현재 대공초소 설치로 인해 현상이 크게 변경되어 이곳에 태실이 조성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는 흔적은 발견되지 않는다.
 +
 +
영산군은 성종의 후궁 숙용 심씨(淑容沈氏) 소생으로 태지석에 의하면 1490년 윤9월 24일 해시(亥時)에 태어났으며 아명은 복숭(福崇)이다.<ref>한편 남양주에 소재한 수종사(水鐘寺) 팔각오층석탑을 해체, 수리하는 과정에서 나온 석가여래상의 복장발원문(1493)에 나온 발원자 이름 가운데 복숭이 숙원김씨 소생으로 표기되어있어 복숭을 무산군(茂山君)으로 추정하는 견해도 존재한다. 윤무병, 「수종사팔각오층석탑내발견유물」, 『김재원박사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1969, 961~962쪽;김만중, 「강릉 모전리 貞福胎室碑와 성종의 子女에 대하여」, 『博物館誌』, 제7호, 강원대학교 박물관, 2000, 144쪽.</ref><ref>다만 심현용은 『전주이씨영산군파족보』(1928)의 영산군 출생일과 태지석의 출생일이 동일하므로 복숭을 통설대로 영산군으로 보았다. 심현용,  「朝鮮時代 胎室에 관한 考古學的 硏究」,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61쪽.</ref> 1494년 8월 25일 인시(寅時)에 안태하였다.<ref>『王子福崇胎誌石』, 1494, 皇明弘治三年閏九月二十四日亥時生 王子福崇阿只氏胎 弘治七年八月二十五日寅時藏.</ref>
 +
 +
『성종실록』에는 어느 왕자, 왕녀인지는 확인되지 않으나 숙용 심씨 소생의 아이가 태어나자 병조(兵曹)에서 태를 간직할 군사를 청하도록 하니 성종은 농번기를 이유로 정파(停罷)하도록 한 기록이 보인다.<ref>『成宗實錄』 25년(1494) 5월 13일 경자, 後宮沈氏生兒 兵曺啓定藏胎之軍 傳曰 藏胎亦不得已之事 然今方旱 農務甚殷 豈可以予子之故 煩苦農民乎 姑令停罷.</ref>
 +
 +
가장 가까운 시기에 태어난 숙용 심씨 소생의 왕자, 왕녀는 영산군 한 명으로 특정되기에 해당 기록은 영산군 태실과 관련된 기사로 파악된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태실 지식 관계망===
+
===계보도 지식 관계망===
{{NetworkGraph | title=영산군_태실.lst}}
+
{{NetworkGraph | title=영산군_계보도.lst}}
  
  
=='''시각자료'''==
+
=='''스틸샷 갤러리'''==
===파노라마===
+
<gallery>
 +
File:SSNPC052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영산군 태실 전면
 +
File:SSNPC052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영산군 태실 후면
 +
File:OGPC052_001.jpg|파주 어유지리 영산군 태실 초안지 태봉 원경
 +
File:OGPC052_002.jpg|파주 어유지리 영산군 태실 초안지 대공초소 전경
 +
</gallery>
  
 +
<gallery mode="slideshow">
 +
File:SSNPC052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영산군 태실 전면
 +
File:SSNPC052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영산군 태실 후면
 +
File:OGPC052_001.jpg|파주 어유지리 영산군 태실 초안지 태봉 원경
 +
File:OGPC052_002.jpg|파주 어유지리 영산군 태실 초안지 대공초소 전경
 +
</gallery>
  
===스틸샷 갤러리===
+
===파노라마===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52/PC05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2020년 9월 26일 (토) 21:06 기준 최신판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영산군 태실(寧山君 胎室)
경기 파주시 적성면 어유지리의 영산군 태실 전경
식별자 PC052
분류 왕자공주 태실
한글명 영산군 태실
한자명 寧山君 胎室
영문명 Placenta Chamber of Prince Yeongsan
피안자 명칭 영산군(寧山君)
피안자 이칭 이전(李恮)·충희공(忠僖公)
피안자 부 성종(成宗)
피안자 모 숙용(淑容) 심씨(沈氏)
피안자 생년월일 1490.윤09.24
피안자 몰년월일 1538
안태 연월일 1494.윤08.25
안태지 기록 미상
안태지 좌표(위도) 37°99'49.00"N
안태지 좌표(경도) 126°99'56.21"E
안태지 주소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어유지리 15
문화재 지정여부 미지정
이안 연월일 1929 추정
이안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안지 좌표(위도) 37°66'45.61"N,
이안지 좌표(경도) 126°86'06.29"E



내용[편집]

영산군은 성종과 숙용심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영산군은 태어난 직후 병조에서 안태를 하려하였으나 가뭄이 들고 농번기라는 이유로 성종이 정파(停罷)하게 했다.

영산군 태실과 관련한 석물은 현재 전해지지 않으며, 태실지로 추정되는 곳에도 분묘가 들어서고 군 초소가 들어서는 등 현상이 크게 변경되었다.

상세[편집]

영산군(寧山君) 태실의 초안지는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어유지1리 산78의 위치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으나[1] 『조선의 태실 Ⅱ』에는 1999년 당시 군부대 내 대공초소가 설치된 태봉산의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으로 남겼다.[2]

『조선의 태실 Ⅱ』에 특정된 태봉산의 위치는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어유지리 15이며 제28보병사단이 자리하고 있다.

초안지는 현재 대공초소 설치로 인해 현상이 크게 변경되어 이곳에 태실이 조성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는 흔적은 발견되지 않는다.

영산군은 성종의 후궁 숙용 심씨(淑容沈氏) 소생으로 태지석에 의하면 1490년 윤9월 24일 해시(亥時)에 태어났으며 아명은 복숭(福崇)이다.[3][4] 1494년 8월 25일 인시(寅時)에 안태하였다.[5]

『성종실록』에는 어느 왕자, 왕녀인지는 확인되지 않으나 숙용 심씨 소생의 아이가 태어나자 병조(兵曹)에서 태를 간직할 군사를 청하도록 하니 성종은 농번기를 이유로 정파(停罷)하도록 한 기록이 보인다.[6]

가장 가까운 시기에 태어난 숙용 심씨 소생의 왕자, 왕녀는 영산군 한 명으로 특정되기에 해당 기록은 영산군 태실과 관련된 기사로 파악된다.

지식 관계망[편집]

계보도 지식 관계망[편집]


스틸샷 갤러리[편집]

파노라마[편집]


수치지형도[편집]

전자지도[편집]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참고 자료[편집]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편집]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편집]

주석[편집]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서삼릉 내 묘역 및 태실 역사성 회복 연구』,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2019, 94쪽.
  2. 이주환, 이진훈, 조원교 공저, 『朝鮮의 胎室 Ⅱ』, 전주이씨대동종약원, 1999, 52쪽.
  3. 한편 남양주에 소재한 수종사(水鐘寺) 팔각오층석탑을 해체, 수리하는 과정에서 나온 석가여래상의 복장발원문(1493)에 나온 발원자 이름 가운데 복숭이 숙원김씨 소생으로 표기되어있어 복숭을 무산군(茂山君)으로 추정하는 견해도 존재한다. 윤무병, 「수종사팔각오층석탑내발견유물」, 『김재원박사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1969, 961~962쪽;김만중, 「강릉 모전리 貞福胎室碑와 성종의 子女에 대하여」, 『博物館誌』, 제7호, 강원대학교 박물관, 2000, 144쪽.
  4. 다만 심현용은 『전주이씨영산군파족보』(1928)의 영산군 출생일과 태지석의 출생일이 동일하므로 복숭을 통설대로 영산군으로 보았다. 심현용, 「朝鮮時代 胎室에 관한 考古學的 硏究」,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61쪽.
  5. 『王子福崇胎誌石』, 1494, 皇明弘治三年閏九月二十四日亥時生 王子福崇阿只氏胎 弘治七年八月二十五日寅時藏.
  6. 『成宗實錄』 25년(1494) 5월 13일 경자, 後宮沈氏生兒 兵曺啓定藏胎之軍 傳曰 藏胎亦不得已之事 然今方旱 農務甚殷 豈可以予子之故 煩苦農民乎 姑令停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