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효세자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새 문서: {{Button|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태실조사카드 |사진=OGPC_Insung_Front_View01.JPG |사진출처=충북 청...) |
잔글 (→태실 지식 관계망)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태실조사카드 | {{태실조사카드 | ||
− | |사진= | + | |사진=OGPC046_003.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경북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용문사 경내의 문효세자 태실 전경 |
|식별자=PC046 | |식별자=PC046 | ||
|분류=왕자공주 태실 | |분류=왕자공주 태실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 }} | ||
− | ==''' | + | =='''내용'''== |
− | + | 정조와 의빈 성씨의 아들인 문효세자의 태실이다. | |
+ | 문효세자의 태실을 정하는데 여러 논의가 있었다. 태실지의 등급에 관한 내용에서 비롯한 논의에서 결국 안태지로 예천이 정해졌다. | ||
+ | |||
+ | 본래 강원도 원주에 태실을 조성하려 하였으나 주변에 오래된 무덤이 있다는 이유로 경상도 예천의 용문사 뒤편으로 정한 것이다. 이후 태실 조성의 책임을 진 안태사(安胎使)로 서호수(徐浩修)를 임명하여 임무를 완수하게 하였다. | ||
+ | |||
+ | 태실 조성과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 중인 《원자아기씨안태등록(元子阿只氏安胎謄錄)》(규 13977)을 통해 전체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 ||
+ | |||
+ | 2019년 예천군이 한빛문화재연구원에 의뢰하여 용문사의 태실을 발굴한 결과 문효세자의 태실은 팔각형으로 땅을 파 직경 90센티미터, 높이 45센티미터 규모의 태함을 원형으로 다듬어 안치한 것이 드러났다.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 ==='''지식 관계망'''=== |
− | {{NetworkGraph | title= | + | ===계보도 지식관계망=== |
− | + | {{NetworkGraph | title=문효세자_계보도.lst}}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파노라마=== | ===파노라마===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46/PC02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스틸샷 갤러리=== | ||
− | + | <gallery> | |
+ | File:SSNPC046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문효세자 태실 전면 | ||
+ | File:SSNPC046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문효세자 태실 후면 | ||
+ | File:OGPC046_001.jpg|예천 내지리 문효세자 태실 초안지 공중 전경 | ||
+ | File:OGPC046_002.jpg|예천 내지리 문효세자 태실 초안지 태봉산 전경 | ||
+ | File:OGPC046_003.jpg|예천 내지리 문효세자 태실 초안지 전경 | ||
+ | File:OGPC046_004.jpg|예천 내지리 문효세자 태실 초안지 원자아기씨태실비 전면 | ||
+ | File:OGPC046_005.jpg|예천 내지리 문효세자 태실 초안지 원자아기씨태실비 후면 | ||
+ | </gallery> | ||
+ | <gallery mode="slideshow"> | ||
+ | File:SSNPC046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문효세자 태실 전면 | ||
+ | File:SSNPC046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문효세자 태실 후면 | ||
+ | File:OGPC046_001.jpg|예천 내지리 문효세자 태실 초안지 공중 전경 | ||
+ | File:OGPC046_002.jpg|예천 내지리 문효세자 태실 초안지 태봉산 전경 | ||
+ | File:OGPC046_003.jpg|예천 내지리 문효세자 태실 초안지 전경 | ||
+ | File:OGPC046_004.jpg|예천 내지리 문효세자 태실 초안지 원자아기씨태실비 전면 | ||
+ | File:OGPC046_005.jpg|예천 내지리 문효세자 태실 초안지 원자아기씨태실비 후면 | ||
+ | </gallery> | ||
=='''수치지형도'''== | =='''수치지형도'''== |
2020년 2월 2일 (일) 15:52 기준 최신판
문효세자 태실(文孝世子 胎室) | |
식별자 | PC046 |
---|---|
분류 | 왕자공주 태실 |
한글명 | 문효세자 태실 |
한자명 | 文孝世子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Crown Prince Munhyo |
피안자 명칭 | 문효세자(文孝世子) |
피안자 이칭 | 이순(李㬀)·문희묘(文禧廟) |
피안자 부 | 정조(正祖) |
피안자 모 | 의빈(宜嬪) 성씨(成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782.10.13 |
피안자 몰년월일 | 1786.06.06 |
안태 연월일 | 미상 |
안태지 기록 | 미상 |
안태지 좌표(위도) | 36°73'21.66"N |
안태지 좌표(경도) | 128°36'95.98"E |
안태지 주소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산82 |
문화재 지정여부 | 미지정 |
이안 연월일 | 1929 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66'45.61"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86'06.29"E |
목차
내용[편집]
정조와 의빈 성씨의 아들인 문효세자의 태실이다.
문효세자의 태실을 정하는데 여러 논의가 있었다. 태실지의 등급에 관한 내용에서 비롯한 논의에서 결국 안태지로 예천이 정해졌다.
본래 강원도 원주에 태실을 조성하려 하였으나 주변에 오래된 무덤이 있다는 이유로 경상도 예천의 용문사 뒤편으로 정한 것이다. 이후 태실 조성의 책임을 진 안태사(安胎使)로 서호수(徐浩修)를 임명하여 임무를 완수하게 하였다.
태실 조성과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 중인 《원자아기씨안태등록(元子阿只氏安胎謄錄)》(규 13977)을 통해 전체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2019년 예천군이 한빛문화재연구원에 의뢰하여 용문사의 태실을 발굴한 결과 문효세자의 태실은 팔각형으로 땅을 파 직경 90센티미터, 높이 45센티미터 규모의 태함을 원형으로 다듬어 안치한 것이 드러났다.
지식 관계망[편집]
지식 관계망[편집]
계보도 지식관계망[편집]
시각자료[편집]
파노라마[편집]
스틸샷 갤러리[편집]
수치지형도[편집]
전자지도[편집]
참고 자료[편집]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편집]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