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흥대원군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osamneung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잔글 (→‎정의)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태실조사카드
 
{{태실조사카드
|사진=OGPC_Deokheung_Front_panorama.JPG
+
|사진=OGPC_Deokheung_Sky_View.jpg
|사진출처=충남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덕흥대원군 태실 터 전경
+
|사진출처=충남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덕흥대원군 태실 터 공중 전경
 
|식별자=PC034
 
|식별자=PC034
 
|분류=왕자공주 태실
 
|분류=왕자공주 태실
39번째 줄: 39번째 줄:
 
}}
 
}}
  
=='''정의'''==
+
=='''내용'''==
조선의 11대 왕인 중종(中宗)과 창빈(昌嬪) 안씨(安氏)의 3남이며, 조선 14대 왕 선조(宣祖)의 사친(私親)으로 조선 최초의 대원군(大院君) 작위를 추숭받은 덕흥대원군 이초의 안태지(安胎地).  
+
중종과 창빈안씨 소생으로 그의 아들 하성군이 명종의 뒤를 이어 국왕이 되었기 때문에 사친(私親)으로 조선 최초로 대원군(大院君) 작위를 추숭받았다.
 +
 
 +
덕흥대원군의 태실은 태조 태실 인근에 있었다고 전해지며 그와 관련해 태실비 일부와 태석함이 전한다. 지금 이 유구들은 금산역사문화박물관으로 옮겨졌으며, 태석함은 야외 전시 중이고, 비석편은 실내 전시장에 있다.
  
 
=='''태실 터 현황'''==
 
=='''태실 터 현황'''==
94번째 줄: 96번째 줄:
 
-->
 
-->
 
===갤러리===
 
===갤러리===
 +
===파노라마===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34/PC03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수치지형도'''==
 
=='''수치지형도'''==
[[파일:수치지형도_덕흥대원군태실_초안지.png|100%|center]]
+
[[파일:수치지형도_덕흥대원군태실_초안지.png|1200px|center]]
<center>'''출처 - 1:5000 수치지형도 "36813051" ([http://www.nsdi.go.kr/lxmap/index.do?flag=99 국가공간정보포털지도서비스] 제공)'''</center>
+
<center>'''출처 - 1:5000 수치지형도 "36714019"와 "36714029" ([http://www.nsdi.go.kr/lxmap/index.do?flag=99 국가공간정보포털지도서비스] 제공)'''</center>
<center>'''좌표 정보 - 위도 : 37°39'52.9"N, 경도 : 126°51'38.0"E'''</center>
+
<center>'''좌표 정보 - 위도 : 36°20'16.2N, 경도 : 127°46'05.4"E'''</center>
<center>'''현대주소 -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번지'''</center>
+
<center>'''현대주소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산 1-2'''</center>
 
 
  
 
=='''전자지도'''==
 
=='''전자지도'''==
118번째 줄: 123번째 줄:
  
 
<body>
 
<body>
<div id="map" style="width:960px;height:540px;"></div>
+
<div id="map" style="width:100%;height:700px;"></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dapi.kakao.com/v2/maps/sdk.js?appkey=89916f622dee27781f9dd08224b875a1"></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dapi.kakao.com/v2/maps/sdk.js?appkey=89916f622dee27781f9dd08224b875a1"></script>
125번째 줄: 130번째 줄:
 
     mapOption = {  
 
     mapOption = {  
 
         center: new daum.maps.LatLng(36.20162, 127.46054), // 지도의 중심좌표
 
         center: new daum.maps.LatLng(36.20162, 127.46054), // 지도의 중심좌표
         level: 12// 지도의 확대 레벨
+
         level: 8// 지도의 확대 레벨
 
     };
 
     };
  

2020년 1월 13일 (월) 02:22 기준 최신판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덕흥대원군 태실(德興大院君 胎室)
충남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덕흥대원군 태실 터 공중 전경
식별자 PC034
분류 왕자공주 태실
한글명 덕흥대원군 태실
한자명 德興大院君 胎室
영문명 Placenta Chamber of Grand Internal Prince Deokheung
피안자 명칭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피안자 이칭 이초(李岹)·이환수(李歡壽)·자(字) 경앙(景仰)
피안자 부 중종(中宗)
피안자 모 창빈(昌嬪) 안씨(安氏)
피안자 생년월일 1530.03.05
피안자 몰년월일 1559.05.09
안태 연월일 1530.07.16
안태지 기록 충남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안태지 좌표(위도) 36°20'16.2N
안태지 좌표(경도) 127°46'05.4"E
안태지 주소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산 1-2
문화재 지정여부 미지정
이안 연월일 1929
이안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안지 좌표(위도) 37°39'52.9"N
이안지 좌표(경도) 126°51'38.0"E
지문 皇明嘉靖九年,三月初五日午時生,王男歡壽阿只氏胎,嘉靖九年,七月十六日,卯時藏
지문 찬자 조선 예조(禮曹)
지문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석물 덕흥대원군 태석함 및 아기씨태실비금산역사문화박물관 소장
태항아리 덕흥대원군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태항아리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내용[편집]

중종과 창빈안씨 소생으로 그의 아들 하성군이 명종의 뒤를 이어 국왕이 되었기 때문에 사친(私親)으로 조선 최초로 대원군(大院君) 작위를 추숭받았다.

덕흥대원군의 태실은 태조 태실 인근에 있었다고 전해지며 그와 관련해 태실비 일부와 태석함이 전한다. 지금 이 유구들은 금산역사문화박물관으로 옮겨졌으며, 태석함은 야외 전시 중이고, 비석편은 실내 전시장에 있다.

태실 터 현황[편집]

기존 덕흥대원군 태실 터로 추정되던 주소지들은 다음과 같다.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산 1-65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산 1-60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산 1-2

상술한 주소지 가운데 산 1-65와 산 1-60은 금산군 관광문화체육과 문화예술부 김성수 주무관의 제보로 확인이 가능하였으며, 산 1-2는 심현용의 저서 『한국 태실 연구』에 추정지로 서술되어 있다.

답사 이전 전자지도를 통한 각 주소지의 주변의 입지 및 풍수형국 등을 종합적으로 비교한 결과 가장 태실이 위치했을 법한 장소로 산 1-2가 판정되어 답사를 진행했다.

태실 터로 추정한 산 1-2 인근에는 미삭리저수지와 민가 한 채가 자리하고 있다. 또한 산 중턱까지 분묘 수 기가 자리하고 있으며, 정상부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분묘 뒷편으로 수풀을 헤치고 나아가 능선을 따라 올라가는 방법 밖에 없어 접근하기 매우 힘든 상황이다.

정상부 역시 연고를 알 수 없는 분묘 1기가 자리하고 있으며 해당 분묘가 본래 덕흥대원군 태실 터를 그대로 장지(葬地)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지식 관계망[편집]


시각자료[편집]

갤러리[편집]

파노라마[편집]

수치지형도[편집]

수치지형도 덕흥대원군태실 초안지.png
출처 - 1:5000 수치지형도 "36714019"와 "36714029" (국가공간정보포털지도서비스 제공)
좌표 정보 - 위도 : 36°20'16.2N, 경도 : 127°46'05.4"E
현대주소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산 1-2

전자지도[편집]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참고 자료[편집]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편집]

1.고문헌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이규상 편, 『한국의 태실』, 청원문화원, 2005.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편집]

주석[편집]